작가의 글을 더 이상 구독하지 않고,
새 글 알림도 받아볼 수 없습니다.
남아있게 된 기록들
E-7-(1)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동천왕 20년 겨울 10월) ● (득래得來가) ① 여러 차례 ② 왕을 말렸지만[諫] ● (왕이) ③ 따르지 않았다. ④ 득래가 ⑤ 한숨쉬며[嘆] ● 말하기를 "⑥ 서서 ⑦ 이 땅을 보니, ● (이 땅은) ⑧ 장차 ⑨ 쑥을 낳겠구나."라고 하였고 ● 이윽고 ⑩ 먹지 않다가 죽었다. (東川王二十年冬十月)●①數②諫王●③不從④得來⑤嘆●曰⑥立⑦見此地●⑧將⑨生蓬蒿●遂⑩不食而死
E-7-(2) 삼국사기 고구려본기: (동천왕 20년 겨울 10월) ① 무구검毋丘儉이 ② 여러 군대들에게 명령하니 ● (군대들이) ③ 그(=득래의) 무덤을 무너뜨리지 않았고 ④ 그(=무덤의) 나무를 베지 않았고 ⑤ 그(=득래의) 아내, 아이를 얻었으나 ⑥ 모두 놓아주고 그들[之]을(=득래의 아내, 아이를) 보냈다. (東川王二十年冬十月)①毋丘儉②令諸軍●③不壞其墓④不伐其樹⑤得其妻子⑥皆放遣之
P-(1) 삼국지 위서 무구검전: ① (고)구려句驪의 패자沛者는 ● 이름하기를 ② 득래得來라고 하였는데, ● (득래가) ③ 여러 차례 ④ 궁宮을 말렸다[諫]. ⑤ 궁이 ⑥ 그(=득래의) 말을 따르지 않으니, ⑦ 득래가 ⑧ 한숨쉬며[歎] ● 말하기를 "⑨ 서서 ⑩ 이 땅을 보니, ● (이 땅은) ⑪ 장차 ⑫ 쑥을 낳겠구나."라고 하였고 ● 이윽고 ⑬ 먹지 않다가 죽었다. ⑭ 국國의 모두가 ⑮ 그[之](=득래)를 슬기롭다고 하였다. ①句驪沛者●名②得來●③數④諫宮⑤宮⑥不從其言⑦得來⑧歎●曰⑨立⑩見此地●⑪將⑫生蓬蒿●遂⑬不食而死⑭擧國⑮賢之
P-(2) 삼국지 위서 무구검전: ① (무구)검儉이 ② 여러 군대들에게 명령하니 ● (군대들이) ③ 그(=득래의) 무덤을 무너뜨리지 않았고 ④ 그(=무덤의) 나무를 베지 않았고 ⑤ 그(=득래의) 아내, 아이를 얻었으나 ⑥ 모두 놓아주고 그들[之]을(=득래의 아내, 아이를) 보냈다. ①儉②令諸軍●③不壞其墓④不伐其樹⑤得其妻子⑥皆放遣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