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마일스톤 경제 Mar 08. 2019

국민소득 3만달러 돌파.. 이유는?

체감되지 않는 서민들


국민소득 3만 달러

지난해 대한민국 1인당 국민 총소득(GNI)이 3만 달러를 돌파하였다.

이는 2만 달러의 문턱을 넘어선지 약 12년 만이다. 

출처: SBS 8시 뉴스


2006년 2만 달러 시대 이후 우리는 지독한 금융위기를 겪은 영향으로 다른 국가에 비해서는 꽤 느린 편에 속한다.

출처: SBS 8시 뉴스

보통 3만 달러를 넘어서면 선진국의 관문을 통과한 것이라 평가하기도 한다. 

인구 5천만명 이상 국민소득 3만 달러 이상의 국가가 가입하는 30-50 클럽에도 세계에서 7번째로 들게 되었다.


국민 총소득이 올라갔다는 것은 좋은 일이라고 볼 수 있지만 실질적인 내부 사항은 축배를 들 상황은 아니다.

우리 경제가 훨씬 좋아졌는가라 하면 체감도 잘되지 않고 오히려 더 힘들다는 의견이 꽤 많다.




왜 실질적으로 체감이 되지 않을까?

이 통계에는 가계뿐 아니라 기업과 정부의 소득이 모두 포함되어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이 중에 가계가 차지하는 비중은 계속 줄어드는 상황이다.


그리고 2017년의 환율 대비 작년에 하락한 부분(원화 가치 상승)도 3만 달러를 넘어선 것에 큰 영향을 준 것이기에 실제 개인들의 삶의 질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말하기는 어려울 듯하다.



환율의 영향?

그렇다면 환율이 이번 3만 달러 돌파에 1등 공신이라는데 왜 그럴까? 

예를 들어 환율이 1달러에 1,200원인데 1,100원으로 떨어졌다면 원화 가치가 상승한 것이다. 


다시 말해 1,200원을 갖고 있었는데 환율이 1,100원으로 떨어지면 100원어치의 달러를 더 살 수 있지 않은가.

결국 100원 하락한 환율의 상황에서 소득을 달러로 환산하게 되면 100원어치의 달러를 더 벌게 된 셈이 된다.


그래서 작년에 하락했던 달러 환율 기준으로 소득이 올라간 것처럼 보이게 되는 것이다.

출처:https://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28&aid=0002445382

2-3년 전에는 실질 국민총소득 증가율이 국민총생산 증가율을 넘어선 상태였는데 작년엔 1%를 기록하며 역전이 되었다.

이는 성장이 더딘 와중에 실질 소득마저도 더 적어졌다는 의미이다. 성장률은 6년 만에 최저를 기록했다.


더불어 양극화도 갈수록 심해지고 있다는 것을 보면 결국 서민들의 삶이 좋아졌다고는 말할 수 없을 것 같다.

실제로 가끔 만나시는 분들 중에 최근 경제가 IMF 사태 상황보다도 힘들게 느껴진다고 말씀하시는 분들을 꽤 보았다. 


물론 각자 상황에 따라 다르겠지만 확실히 국민총소득 상승의 체감을 못하고 있는 것은 사실이다. 실제로 작년 말부터는 어려운 상황에 대한 문의 건수가 상당수 늘어났다.


출처: SBS 8시 뉴스

가구 월평균 소득 증감률을 보면 저소득층의 평균 소득은 약 18% 가까이 하락하였고 고소득층의 평균 소득은 10%가량 증가하였다고 한다. 못 버는 사람은 더 못 벌게 되고 잘 버는 사람은 더 잘 벌게 되는 양극화가 갈수록 심해지는 것이다. 평균이 더 이상 평균이 아닌 시대가 되는 듯하다.


경제 상황이 대부분에게 비슷한 영향을 끼치기는 하지만, 누군가는 지금이 최악이라고 말하고 다른 누군가는 지금이 가장 돈 벌기 좋은 시대라고 말하기도 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우한 폐렴에 아시아 국가 통화가치 하락 / 금리 인하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