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노박사 레오 Dec 21. 2022

외로움..
사람에 대한 목마름..

Photo by Frederik Löwer on Unsplash



1. 당신은 외로움을 느낀 적이 있습니까?


Photo by Sasha  Freemind on Unsplash


외로움을 느낀 적이 있습니까?

보통 외로움이란, '홀로 되어 쓸쓸한 마음' 또는 '혼자라는 느낌' 등으로 정의할 수 있습니다. 

이와 같은 정의 안에는 두 가지 의미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하나는 '혼자되는'이며, 다른 하나는 '쓸쓸한 느낌'입니다. 


때로는 "혼자" 있더라도 외롭지 않고, 오히려 편안하고 자유로운 느낌을 받기도 합니다. 

때로는 많은 사람들에게 둘러 쌓여 있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혼자"만 있는 것 같은 쓸쓸한 마음'을 느끼기도 합니다. 

이처럼 "혼자"있다고 해서 외로운 것도 아니며, 주변에 사람이 있다고 해서 안 외로운 것도 아닙니다. 


만약 외로움을 자주 느끼고 그 마음이 불편하고 해결하고 싶다면 자신이 느끼는 '외로움'에 대해서 정확하게 이해해야 합니다. 

그래야만 내 외로움을 해결하고 대처하여 스스로 나의 외로움과 나의 마음을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습니다. 



2. '외로움'이라는 감정 이면에 숨겨진 원리


Photo by Bernard Hermant on Unsplash


우리는 감정적으로 '외로움'을 느낍니다. 

그런데 이와 같은 '외로움'을 느끼는 원인과 과정은 다 다릅니다. 

그리고 이와 같은 원인과 과정은 보통 성격에 따라 다른 경향을 보입니다. 

우선 외로움이라는 감정을 느끼는 과정 자체가 다릅니다. 


정서적으로 예민하고 민감한 사람들의 경우(주로 감정형 성격)에는 어느 날 문득 외롭다는 느낌이 들게 됩니다. 

뚜렷한 이유나 원인을 설명하기 어렵지만, '외로움'이라는 감정을 주관적으로 느낍니다. 

특히 자신의 내적 심리상태에 대한 내성 능력이 우수(주로 내향형)하거나 자기감정을 진지하게 인식하고 모니터링하는 습관이 강한 사람들(주로 감정형)에게서 흔히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에 반하여 생각이 복잡하고 많은 사람들의 경우(주로 사고형 성격)에는 '외롭다'와 관련되거나 결국 '외로움'이라는 감정을 느끼도록 하는 생각을 자주 합니다. 

더 정확히 말하면 애매하고 막연하게 불편한 감정이 느껴지는 경우, '왜? 이러지?', '대체 이 느낌은 뭐야?', '왜 이런 느낌이 들까?' 등등의 생각에 집중합니다. 

그 결과 '외로움'이라는 감정을 불러일으킬만한 생각('내가 요즘 애인이 없어서 그래..', '내가 혼자라서 그래..', '내 주변에 좋은 사람들이 없어서 그래..' 등)들에 더 깊이 빠지거나 그 생각들을 정교화하는 것입니다. 



3. 사람에 대한 목마름..


Photo by Andrew Moca on Unsplash


외로움이라는 것은 결국 사람들 사이의 관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감정 중 한 종류입니다. 

그래서 대인관계에 대한 동기나 관심 수준 및 관계에 대한 기대 수준 등이 크게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쉽게 말해서 대인관계에 대한 동기와 관심이 높을수록 외로움을 많이 & 자주 경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더불어 대인관계에 대한 기대 수준이 높을수록 외로움을 많이 & 자주 경험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사람들은 각자의 성격과 경험 수준에 따라서 대인관계에 대한 동기와 관심 수준이 다릅니다. 

어떤 사람들은 많이 사람들과 다양한 관계를 맺고 싶어 하는 반면에 다른 사람들은 소수의 관계로도 충분히 만족하는 경우들도 있습니다. 

또한 대인관계의 양과는 별도로 대인관계에 대한 관심이 많으며 (관계의 양에 상관없이) 좋은 관계를 맺고자 하는 요구 자체가 많은 경우들도 있습니다. 

즉, 다른 사람들이 보기에, 또는 객관적으로 친구의 양이 얼마나 많은지와는 다르게, 각 사람의 대인관계에 대한 동기와 관심이 높을수록 외로움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또 다른 차원은 관계 내에서의 기대 수준입니다. 

일상적인 관계는 물론 친밀한 관계에서는 더욱더 관계에서 기대하는 요구와 만족 수준이 다릅니다. 

어떤 경우에는 너무 이상적이고 진지한 관계를 기대하는 경우 아무리 사람을 많이 사귀더라도 대인관계에서 목마름과 갈증이 느껴지는 경우들이 많습니다. 

하지만 관계 내에서의 기대 수준이 그리 높지 않은 경우에는 여러 관계 속에서 만족감과 안정감을 쉽게 느낄 수 있으며, 외로움을 덜 느끼게 되겠지요. 



4. 주관적 만족감 VS 상대적 비교


Photo by HamZa NOUASRIA on Unsplash


이처럼 내면의 심리적 과정에 따라 외로움을 느끼는 정도나 취약성이 사람마다 다릅니다. 

이에 더하여 외로움에 영향을 미치는 또 한 가지 변인은 타인과의 비교 경향입니다. 

더 정확히 말하면 다른 사람들은 어떤지에 대한 판단과 그것에 비교한 자신의 주관적 만족감 수준입니다. 


자신의 외모나 능력에 대한 자신감을 가지고 있으며, 충분히 만족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어느 날 나보다 월등히 뛰어난 외모나 넘사벽의 능력을 가진 사람을 만나게 되면, 가끔 나 자신이 초라해 보일 수가 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지금까지 충분히 대인관계에서 만족을 해 왔다고 하더라도, 다른 사람들과 비교를 하다 보면 상대적인 외로움을 겪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와 같이 타인을 신경쓰거나 타인과 비교하는 경향이 높은 경우에는 자신의 현재 관계에 대한 만족감이 줄어들고 상대적인 외로움과 박탈감, 그리고 공허함이 커지기 쉽습니다.  


이처럼 남들이 보기에는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이는데도 불구하고 스스로 남들과 자신을 비교하여 외로움을 많이 느끼는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는 루트는 바로 '카.페.인.'입니다. 

다른 사람들의 카카오스토리, 페이스북, 인스타그램 등을 따라다니면서 자신의 상황이나 처지와 비교를 합니다. 

그 결과 '남들은 다 나보다 행복하고 즐겁게 사는구나..', '남들은 저렇게 다양한 사람들과 즐겁게 재미있는 시간을 보내는구나..', '그런데 왜 나는 저렇게 살지 못하는 걸까?..', '알고 보니 내가 정말 외로운 사람이었구나..' 등등의 생각과 그에 따른 감정의 늪에 빠지게 되는 것입니다. 



5. 외로움은 자기 만의 색깔이 있다. 


Photo by 愚木混株 cdd20 on Unsplash


(현실적으로 가능한 것은 아니지만..) 같은 수준 또는 같은 양의 외로움을 겪는 두 사람이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같은 수준 또는 같은 양의 외로움을 겪더라도 그 내용이나 과정은 사람마다 판이하게 다릅니다. 

그 사람의 성격과 개인적인 경험, 그리고 그 사람이 처해 있는 주변과 주변 사람들의 패턴 및 자신이 처한 환경에 대한 관심과 민감성 정도 등에 따라 매우 다릅니다. 

즉, 우리는 외로움은 자기 만의 색과 다름이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외로움에 대처하거나 해결하는 방법 또한 사람마다 다릅니다. 

유튜브나 대인관계 또는 여러 자기계발서를 아무리 많이 봐도 궁극적인 나의 외로움이 쉽게 해결되지 않는 이유가 바로 그것입니다. 

자신의 외로움을 정말로 해결하거나 개선하고 싶다면, 또는 외로움을 극복하고 사람들 속에서 따뜻함과 애정을 느끼고 싶다면..

나의 애정 패턴과 외로움을 느끼는 과정에 대한 분석과 그에 따른 맞춤형 접근이 필요한 것입니다. 


외로움의 세가지 요소, 

1) 혼자라는 느낌 또는 감정 자체, 

2) 관계, 특히 친밀한 관계에 대한 관심과 동기 수준,

3) 주변에 대한 인식, 특히 비교 경향 & 특히 부정적 비교 경향(남들에게는 긍정적 면을 & 나에게는 부족한 점을)

등을 잘 생각해본다면, 내 외로움의 색깔을 발견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세상에는 "진정한 내 편"이라고 생각되는 한 사람만 있어도 외롭지 않은 사람도 있습니다. 

그리고 그 사람이 물리적으로 옆에 없더라도 항상 함께 하는 듯한 느낌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반면에 수많은 친구들이 있으며, 즐겁고 행복해 보이는 이벤트와 활동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그들과 헤어져 혼자가 되는 순간 강력한 외로움이 엄습해 오는 사람도 있습니다. 

심지어는 그들 속에서 너무 즐겁게 웃고 떠드는 가운데에 '이런 게 다 무슨 소용인가...'라는 생각에 처절한 '군중 속의 외로움'을 겪는 경우들도 있습니다. 


당신은 외로움을 느끼십니까?

외로움을 극복하기 위해 수많은 책과 유튜브를 보면서 노력했는데도 해결이 안되나요?

주변에 사람들이 가득한데도.. 사람에 대한 갈증과 외로움이 느껴지십니까?


당신의 시선을 당신 자신에게 맞추어 보세요!

당신 외로움의 색깔은 무엇입니까?

당신의 외로움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이해한다면 당신은 당신의 외로움을 극복하고 보다 행복하고 즐거운 대인관계를 스스로 만들어 나갈 수 있을 것입니다!!^^  



https://hellobot.co/skills/24407



매거진의 이전글 내 험담을 들었을 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