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대학원 공공정책
사람특성 : 혼자사는 것보다 가족과 같이 사는 지역에 대한 애착이 높다.
환경특성 : 농촌지역은 도시지역보다 애책도가 높다. 아파트보다 빌라의 애착도가 놓다.
거주종류 특성 : 공원이나 공동사용공간이 애착도가 높다는 것을 볼 수 있다.
중심지이론(central place theory)은 크리스탈러(W. Christaller)가 그의 저서 '남독일의 중심지(1933)'에서 최초로 제기하였다. 이 이론은 정주체계를 구성하고 있는 취락(도시) 상호간 수의 분포관계, 거리관계 및 상호 계층간 지역구조에 관한 현상을 중심지개념에 비추어 원리적으로 설명하려는 이론으로 일반적인 공간이론 정립을 위한 기본이론이라 할 수 있다. 중심지이론에서는 중심성의 크고 작음에 따라 도시를 중심지와 보완지역으로 나누고 이들 중심지의 기능 및 중심성 문제에 대하여 이론적 체계를 세웠다. 여기에서 말하는 중심지란 인구와 산업활동이 집중된 도시지역을 의미하고 보완지역은 중심지 주변의 서비스를 받는 지역을 의미한다. 중심지는 시장범위가 넓은 지역에 미치는 고차중심지로부터 그보다 좁은 지역에 미치는 저차중심지까지 여러 가지 계층으로 나뉘게 된다.
시장범위는 해당 중심지에서 공급하는 재화나 서비스의 시장범위 또는 임계인구에 의해 결정된다. 크리스탈러는 이렇게 여러 계층으로 나누어진 중심지가 다수 분포할 경우 중심지의 최소요구치를 만족시키는 공간규모는 중심기능의 최대도달범위와 최소요구치의 공간범위가 일치할 때이며, 이때의 중심지 형태는 6각형구조를 이루고 있다고 하였다. 즉 인구밀도나 소비수준이 균등한 공간에서 전지역에 빠짐없이 균등한 재화.서비스를 공급하기 위해서는 각 시설에 입지한 중심지와 그 세력권은 6각형구조를 이루어 입지하는 것이 합리적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시장공급의 합리성만 추구하였을 경우, 중심지와 교통 및 행정구획과의 관계가 비합리적일 수 있으므로 이와는 별도로 교통원리 및 행정원리에 근거한 중심지 시스템 모델을 제시하였다. 중심지이론은 자체의 이론적 결함과 제약에도 불구하고 공간구조를 설명하고 기능과 자원의 효율적 이용을 위한 계획모델로서 지역정책적 차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또한 정기시장이나 도매 중심입지론 등 인접 분야를 설명하는 데 응용되기도 하여, 지역시스템 분석의 기본적 이론으로서 중요시된다.
(출처 : 월간 국토 2004년 9월호 "용어풀이")
단어 : 젊다'라는 것으로는 아무런 연결을 만들어낼 수 없다. 이것 자체로는 구체적으로 연결 될 수 있는게 저다.
단어 + 행위 : 젊게 보이려고 운동을 한다'라고 할 때 사회적으로 연결되는 부분이 생긴다. 누군가 나를 보고 있다는 것이 전제되어 있고 그것을 의식하고 있다는 것과 함께 행동이 연결된다.
단어 + 행위 + 권력 : 젊게 보이려고 운동을 했는데 사람들이 좋아요를 많이 눌러줘서 운동기구를 추천했다'라고 하는 것은 행위와 함께 사람들에게 받은 권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렇게 connoation이라는 단어는 이 모든 것들을 담아내는 기능을 한다.
Accumulation of Meanings at space : 박물관이나 전통가옥은 그 자체로 시간과 역사를 담은 의미를 축적하는 장소이다. 이 축적된 장소와 시간,사람이 연결되면서 connotaion은 늘어날 수 밖에 없다.
Dimenstions of space : 장소는 차원의 관점에서 쉽게 isolation fuction과 relationship position으로 나누어진다. locational dimention은 농공단지,상업지구가 될 것이고 symbolic dimention은 포항, 세종, 경주, 과천, 강릉이 될 것이다. 한산도나 남원 혹은 밀라도나 파리, 영국, 나오시마는 shared meaning에 포함된다.
'장소'는 의미를 축적하고 다양한 차원을 가지면서 확장된다. 아래 그림과 같이 중심성을 가진 '기능' 랜드마크와 '연결성'을 가진 플랫폼들이 생겨난다. 이렇게 기능적으로 분화되는 과정을 볼 수 있다. 이 관점은 수평적인 관점이다.
도시는 미시적으로 구성 요소를 해체했을 때 그 내부에 다양한 측면을 포함하고 있지만 도시 전체적으로도 하나의 특성을 갖는다. 하나의 도시는 중심지로 파악될 수도 있고, 도시 규모에 따라 소도시 혹은 대도시 따위의 도시 규모로 파악될 수도 있으며, 공업도시나 금융도시 등 도시 기능에 따라 파악될 수도 있다. 이처럼 ‘하나의 점’으로 이해되는 각 도시들이 다른 도시들과 어떤 관련을 갖는지에 대한 논의를 도시체계론이라 한다.
도시지리학자들은 다수의 도시들은 인구 규모나 위치적 특성 면에서 특수성을 가지며, 개별 도시들의 ‘개성’들 간에 모종의 질서가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도시들이 보유하는 종류별 제조업, 상업, 서비스업 등의 기능을 통해 도시를 분류하고 인구 규모를 통해 위계와 입지 조건을 통해 위상을 설정하여 도시 간의 질서를 규명하려 한 것이 도시 체계론이다. 도시와 도시들 간의 ‘관계’를 밝히는 도시 체계 연구는 1950년대에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다. 1933년, 독일의 지리학자 발터 크리스탈러(Walter Christaller)의 중심지 이론이 출간되었고, 1950년대 미국 지리학자들은 계량적 기법을 통해 지리학을 공간분석학으로 정립시키며 중심지 이론을 발전시켰다.
장소는수평적으로 보면 기능적으로 분화되고 중심지와 주변지로 나누어지기도 하지만, 아래와 같이 수직적으로 위계를 가지기도 한다.
아래 그림에서 보면 맨 상위층에 있는 단위는 중심성과 기능성이 커지는 것을 볼 수 있다.
여기서 변수는 '인구규모'가 매우 큰 부분을 참지하지만 매슬로의 욕구 5단계에서 볼 수 있듯이 욕구를 실현할 수 있는가가 중요한 변수가 된다.
인구규모만으로는 서비스 제공이나 만족도를 알 수 없기 때문이다. 또한 보건기능이나 숙박기능 등의 서비스는 그 장소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유동성을 반영해야 한다. 따라서 인구라는 것으로만 볼 수 없다.
매슬로는 장소와 연결해서 기본적으로 생리적인 욕구를 충족시키는 장소를 기본으로 해서 욕구와 연결시켰다. 최종적으로 자신이 속한 지역이 자신의 이상을 실현할 수 있는 곳이 최고의 장소가 되는 것이다.
Relations between public space and symbolic space 공공장소와 상징공간의 관계성
Identity and high value-added 정체성과 상위가치의 연결
Culturally grounded-growth strategy 문화적인 배경에서 성장하기 위한 전략
인구분산, 수도권 대책, 주택공급, 분권화 대응 : 중심성의 관점에서 이러한 문제들을 고민해보아야 한다.
Weakness of this process of symbolicsation
공간, 건물의 사회문화적 의미, 과거 종교와 현대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