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현수 Sep 16. 2024

정신증에 관한 융과 프로이트의 차이

-- 마이클 아이건 다시 읽기 - 정신증의 핵 시리지 2차 -2 

마이클 아이건의 눈과 치료적 경험으로 정신증 환자를 다시 경험하기 

이 자료는 마이클 아이건의 책을 요약한 것입니다. 

제 방식대로 요약한 것입니다. 저의 학습을 위해 쌓아나가려고 하는 작업입니다. 

읽는 분들에게 도움이나 영감의 불씨가 된다면 좋겠습니다. 


정신증의 역동 27-38      


융은 위대한 치료자란 정신병원에서 삶을 보내야할 사람이며, 단지 그가 치료자로서 그 곳에 있을지, 환자로서 있을지가 유일한 문제다 라고 말한 적이 있다 (27)      


꿈의 과정이 펼쳐지는 정신적 영역은 다른 공간이다. 꿈에 대한 최초의 초벌 지도를 그리는 일이 나의 일이다 (30) : 프로이트, 정신분석의 기원, 244-245      


융과 프로이트의 공통점 : 무의식이 물질적 우주만큼이나 알 수 없는 정신적 실재 라는데 동의, 프로이트에게 무의식이란 진정한 정신적 실재로 작용하는 것이다. 우리 본성의 가장 기본적인 것은 알려질 수 없는 것이다. 우리는 암시와 실마리에 의존해서 살고 있고 있다. (33)      


우리가 알려지지 않은 것이나 알려질 수 없는 것과 갖는 관계는 정신증의 심리학에서 핵심적 역할을 한다 (33)      


정신증의 산물에 대한 프로이트와 융의 공통점 : 본래적 의미와 관련 (33) 

1) 환각적 이미지란 발달과정에서 실패한 상황에서 무언가에 사로잡힌 내재적 환상 세계와 연관되어 있다고 본다 

2) 환각적 이미지 – 자기 상태에 대한 메시지, 자기가 입은 상처의 본질, 자기의 진화에 필요한 요소들 

2) 과대망상을 정신증의 연구와 인간 삶의 이해에 핵심적인 것으로 보았다.      


프로이트와 융의 차이점 (34) 

1) 종교에 대한 차이      


* 프로이트는 

(1) 종교를 해독하려고 시도 --> 정신증과 유아의 정신을 해독하려고 노력 

(2) 신은 죽지 않았고 환자로서 살아있다      


** 융은 

(1) 신화 연구 통해 인간들의 삶 속에 정신증이 널리 퍼져 있다고 주장 

(2) 종료란 정체성이자, 집단무의식의 반영이다.      


2) 정신증 증상의 기원에 대한 차이 

* 프로이트는 리비도의 표현으로 생각

** 융은 종교적 측면이 더 강하다고 생각      


- 융은 원형적 어머니의 중요성을 강조 (35) 

치료 상황이란 환자만이 아니라 치료자 자신도 심오한 발달을 요구받는 상황이라는 사실을 깨닫도록 했다. 융은 환자와 치료자가 얼마나 철저하게 상호작용 해야하는지를 묘사할 때 화학적 상호작용을 모델로 사용하기도 했다.      


- 프로이트와 융 모두 정신증 환자와의 작업에서 어려움 뿐 아니라 인내심을 강조했다. (37) 

정신증적 개인은 

1) 철수 혹은 단절

2) 매달리기 혹은 요구하기를 오간다      

정신증 환자는 완벽한 어머니, 완전히 융합되고 통제하는 어머니를 요구하는 유아가 발견된다 (37)

정신증 환자에게서 왜곡되거나 중단된 신과의 관계에 고착된 망가진 신비주의자를 볼 수 있기도 하다 (37)      

정신증 환자와의 만남은 모든 정신적 진화가 발생할 수 있는 통행 지점과 만나는 곳이기도 하다 (38) 

작가의 이전글 은둔일까? 퇴각일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