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연은미 Aug 24. 2022

시작-엄마의 부엌

부엌의 빛깔

소유하는 물건, 장소는 주인을 닮는다. 똑같은 핸드폰이라도 누구 건 만질 때 산뜻하고 누구 건 그렇지 않다. 자동차를 타 보아도 주인의 성격이 드러난다. 그 중 부엌만큼 안주인의 성격이 드러나는 장소도 드물 것이다. 


안 주인, 엄마! 엄마의 부엌을 떠올려본다. 어릴 적 엄마의 부엌은 늘 정갈했지만 삭막하고 냉기가 흘렀다. 그 냉기는 비단 허름한 부엌 문 틈으로 들어오는 차가운 공기 탓만은 아니었을 것이다. 


엄마는 아빠와 사이가 좋지 않으셨다. 아버지는 ‘법 없이도 살 사람’이라는 주위의 평을 들었으나 엄마에게는 그 뿐이었다. 엄마랑 대화가 통할 나이가 됐을 때부터 가끔 넋두리를 하셨다. “너네 아빠는 정이 없었어. 그래도 애들 아빠라고 일 끝날 때 맞춰 애들 셋 앞세워 마중을 나가면 한 번도 반가워하며 자식들을 들어 올려 안아 준 적이 없었다”  


사랑의 바탕도 없이 자식 셋과 씨름하던 젊은 여자는 고단했고, 그 고단함은 묵직한 한숨이 되어 그녀의 주위를 채웠다. 팽팽한 긴장감이 꽉 찬 엄마의 부엌은 차갑고 건조한 회색빛이었다.   


시간은 세월이라 표현할 만큼 흐르고 나는 엄마의 나이를 훨씬 지나 내 부엌을 가지고 있다. 결혼을 하고 세 번의 이사를 했다. 가만히 떠올려 보니 세상을 대하는 마음에 따라 부엌 분위기가 많이 달랐다. 첫 번째 부엌은 먹기 위해 억지로 마주하는 공간이었다. 직업인으로 우선해 살았기에 부엌은 관심영역 밖이었다. 아이 둘을 낳고 온전히 아이들에게 나를 내어줄 때인 두 번째 부엌은 정리되지 않고 늘 산만했다. 육아처럼 시작도 끝도 없는 뒤죽박죽 공간이었다. 세 번째가 지금의 부엌이다.  


요즘은 아이들과 남편에게 한 발짝 떨어져 나 자신에게 집중하는 시기이다. 그러면서 가장 많이 바뀐 곳이 부엌이다. 부엌은 작은 미션들을 시도해볼 수 있는 호기심 공간이 되고 있다. 또한 ‘비움’과 ‘숨김’의 부엌이다. 소중한 것은 소중하지 않은 것을 비움으로서 찾을 수 있다. 미련에 걸려 비울 수 없는 것들은 안으로 숨김으로서 일단은 비움의 상쾌함을 맛본다. 내 마음대로 행할 수 있는 부엌, 그 자유가 좋다. 


엄마의 회색빛 부엌을 겪은 나는 자주 생각한다. 내 부엌은 무슨 빛일까? 나는 내 부엌이 아이들에게 따뜻한 추억의 장소로 남으면 좋겠다. 무지개빛처럼 재미있는 공간으로 기억됐으면 좋겠다. 그래서 균형감, 정갈함의 욕구 위에 아이들의 자유의 욕구를 얹어 무질서를 허용하게 된다. 


장소는 곧 그 사람이다. 그 사람이 담고 있는 수많은 것은 알게 모르게 자신이 결정하고 선택한 것들이기 때문이다. 내 부엌은 몸을 살피고 아껴주는 곳이다. 아이들과 일상을 쌓아가는 곳이다. 이왕 내가 드러나는 곳이니 즐겁고 포근한 곳, 따뜻함이 흐르는 공간으로 만들자. 


부엌을 둘러본다. 관심을 받지 못하고 먼지가 덮인 죽은 곳들이 눈에 걸려든다. 죽은 곳들에 관심이 생긴다. 너를 비울까? 살릴까? 오늘도 즐겁게 작은 미션을 내어 본다. 

매거진의 이전글 '책'과 '사람'은 나를 어디로 데려다 줄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