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우주 oozoo Oct 09. 2019

디테일의 공간, 젠틀몬스터 쇼룸

계동 중앙탕의 새로운 쓰임

(2019년 5월 방문)


내가 이십 년을 넘게 살아온 우리 동네에는 목욕탕이 두 세 개쯤 있었다. 일요일에는 외할머니와 함께 목욕탕에 갔다가 초콜릿 우유 하나 물고 집으로 돌아오는 게 그렇게 좋았다. 목욕 문화가 조금씩 달라지면서 목욕탕은 하나씩 문을 닫았고 이제는 딱 한 개만 남았다. 과연 '한양탕'은 언제까지 영업할 수 있을까, 궁금해하며 지켜보는 중이다.


조용한 동네 계동. 동네 목욕탕이었던 중앙탕이 선글라스 매장으로 바뀌었다. 문을 연 지 4~5년쯤 되었고 지나가다가 한 번 들러봤지만, 안국역을 지나다 생각이 나 다시 한번 가봤다.


쇼룸 입구 ⓒ 우주 OOZOO


예전에 봤던 어떤 사진에서는 예스러운 폰트로 '목욕탕'이 써진 간판이 달려있었다. 무슨 사연인지 간판은 떼어지고, 입구의 'bathhouse'만이 목욕탕이었음을 짐작하게 한다.


목욕탕 설비들 ⓒ 우주 OOZOO


계동 쇼룸에서 가장 좋았던 점은 젠틀몬스터라는 브랜드의 느낌과 캐릭터를 한껏 살리면서도 공간의 역사와 맥락을 잃지 않았다는 점이었다. 물을 데우던 보일러나 사우나실을 연상케 하는 나무 벽 같은 것들. 그리고 물, 비누, 욕탕 구조처럼 관련된 무언가를 떠오르게 하는 디테일들.


직원들이 하얀색 옷을 입고 있던 것도 왠지 목욕 가운이 생각났다. 이것도 연출된 모습일까?


목욕탕이 저절로 떠오르는 공간 활용 ⓒ 우주 OOZOO


목욕탕이었던 공간을 활용하는 경우, 목욕탕 특유의 냄새 때문에 목욕탕이었던 흔적을 많이 유지할 수는 없다는 이야기를 들은 적이 있다. 젠틀몬스터 쇼룸 안에서는 딱히 냄새를 의식하지 못했는데, 공사하면서 그런 부분을 잘 처리했나 보다. 디퓨저가 곳곳에 있었던 것 같기도 하다.


예전 목욕탕 모습이 상영되는 자투리 공간 ⓒ 우주 OOZOO


맨 꼭대기 층으로 올라가는 계단 옆에 다락방이었을 것 같은 자투리 공간이 있었다. 벽에 설치된 빔에서 옛날 목욕탕 모습이 차례로 나타났다. 그냥 보기에는 철거하다가 '에이, 힘드니까 그만하자' 하고 버려둔 것 같은 벽이지만, 이런 차분한 톤의 사진이 연속으로 등장하니 이 자체로 훌륭한 콘텐츠가 된다.


가벽을 세워 창고로 써도 될법한 공간을 이렇게 활용할 수 있다는 건 상상력이 그만큼 세밀하다는 것이겠지. 건축법상 비워놓아야 하는 공간이더라도, 여기가 계동 쇼룸의 가장 디테일한 포인트라고 생각했다.


쇼룸 3층 ⓒ 우주 OOZOO


쇼룸의 가장 윗 층은 자연광을 활용하고 있었다. 1, 2층에서는 완전히 닫힌 공간이었는데, 3층은 갑자기 탁 트인 느낌이라 '우와~' 소리가 저절로 나왔다. 마침 날씨가 좋아 하늘색과 나무가 더 예쁘게 보였다.


3층은 두 개의 테라스가 연결되어 있다. 옛날 목욕탕 굴뚝을 구경할 수 있었다. 목욕탕을 리모델링한 곳은 꼭 굴뚝을 남겨놓더라.


옛 중앙탕 굴뚝 ⓒ 우주 OOZOO


고가의 선글라스를 팔고, 유행에 민감한 이들이 주 고객층인 브랜드가 이렇게라도 옛 정취를 남겨두는 것이 조금은 다행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완전히 사라지는 것보다는 아주 조금이나마 추억할 수 있는 공간이 남아있긴 하니까. 하지만 어쩐지 섭섭했다. 계동 사람들은 이제 어디서 목욕을 할까.

매거진의 이전글 새로운 나를 발견하는 공간, 취향관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