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대 체질이던 어린시절부터 PPT가 일상이 된 지금의 나까지
어린시절, 나는 실전에 강한 무대체질이었다. 한참 바이올린을 배울때도, 왠지 모르게 학예회 무대에 서면 더 자신감이 붙어서 평소보다 잘했다. 관중의 주목을 받는다는건 두려운 일이기도 했지만, 잘 마무리했을 때의 성취감은 몇배의 짜릿함이 있다는걸 어릴때부터 인지하고 있었던것 같다.
그래서일까, 초등학교에 입학하고 나서도 발표를 하고 내 생각을 말하는데 망설임이 없었던것 같다. 조별 과제를 해도 난 기꺼이 발표를 도맡아 했고, 그 짜릿함을 즐겨왔다.
발표 짬이 늘어서인지, 취준을 시작했을때도 면접에 대한 부담감은 거의 없었다. 왠만한 질문에도 크게 당황하지 않았고, 부담감도 많이 없었던것 같다. 하지만 이런 과한 자신감이 독이 된 것일까, 나는 항상 최종 면접에서 아쉽게 탈락하길 반복했다.
엎친데 덮친 격으로, 어렵게 입사 후 나를 괴롭게하던 상사가 매번 팀 회의때마다 갖은 이유를 붙이며 망신을 주는 바람에 나의 자신감은 점점 바닥을 치기 시작했다. 평생을 자신감있게 발표하던 나에게, 기나긴 슬럼프가 오기 시작했다.
취업도 했고, 악명높은 상사는 1년만에 다른 팀으로 발령이 났다. 그런데도 내 발표 자신감은 쉽게 회복되지 않았다. 어쩌다 큰 발표를 하게되면 예전과 달리 목소리가 떨렸고, 작은 질문에도 당황하며 버벅거리기도 했다. 내 안에 스스로 틀을 만들고, 옥죄는 기분이었다. 예전의 발표 잘하던 나는 영영 돌아오지 않을 것 같았다.
하지만 직무 특성상 발표는 나에게 피해선 안되는, 꼭 필요한 스킬이었다. 원래 이런 문제는 복잡한 생각보단 부딪혀 보는게 답이라고 생각하고, 나는 왠만한 발표는 도맡아하며 두려움과 맞서기 시작했다.
처음엔 수십개의 눈이 나만 보는것 같은 생각에 식은땀이 나기도 했지만, 어느순간 내 발표에 온전히 집중하는 방법을 배웠다. 숨쉬는 타이밍까지 적어뒀던 스크립트는 과감히 버리고, 발표 자료를 몇번씩 돌려보며 자연스럽게 대화하듯 말하는 연습을 하기 시작했다. 점점 이 모든 과정이 익숙해지자, 발표하는 내 목소리에는 떨림대신 자신감이 묻어나기 시작했다.
무대체질 꼬맹이에서 발표공포증까지 겪으며 느낀점은, 두려움은 마주하고 깨부쉈을때 더 크게 성장할 수 있는 원동력이 된다는 점이다. 지금은 무섭고 어려울지 몰라도, 하나씩 과감히 마주하다보면 어느새 두려움은 성취의 쾌감으로 바뀐다. 2022년, 나는 이제 또 다른 두려움들을 쾌감으로 하나씩 바꿔나가보려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