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글쓰는 멈가 Aug 30. 2023

일기에서 딱 한 발짝만 더 나가면 에세이가 됩니다.


 누군가 말했다. 일기만 쓸 줄 알면 글쓰기를 할 수 있다고. 물론 할 수는 있다. 걸음마를 시작한 아기가 어떻게든 반대쪽으로 가는 것처럼. 다만, 여러 차례 넘어지고 기는 것은 각오해야 한다.


  그래도 조금은 에세이다운 글을 쓰는 데까지는 시행착오가 있었다. 일기에서 딱 한 발짝만 더 나아가면 됐는데, 방향 감각조차 없던 나는 어디로 발을 뻗어야 할지 몰랐다.


 어쨌든 나는 글을 썼다. 아니, 쌌다는 표현이 적절한지도 모르겠다. 그야말로 똥글이었다. 그래도 어렵게 싸 낸 글을 보면 쾌변한 듯이 뿌듯했다. 다만, 일기와 다를 바 없는 이 글을 도대체 누가, 왜 읽을까 싶었다. 친구의 일기는 놀리는 맛이라도 있지만 말이다.


 그때까지도 에세이가 정확히 뭔지 몰랐다. 그냥 조금 감성적이고 여백이 많은 책정도? 그도 그럴 것이 에세이는 그 뜻이 다소 모호하다. 검색해 보면 [일정한 형식을 따르지 않고 일상에서 느낌이나 체험을 생각나는 대로 쓴 산문 형식의 글]이라고 나온다. 일기와 한 끗 차이다. 30여 년간 써본 글이라고는 일기가 다였으니, 내 글이 일기 같은 것은 당연했다.


 일기를 에세이로 바꾸기 위해서 사전적 의미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내가 느낀 에세이가 일기와 다른 점은 두 가지이다.


 타인이 읽고 공감하든가 재미있든가.

 

 적어도 두 가지 중 하나는 포함해야 에세이라고 할 수 있다. 둘 다 포함하면 더 좋고, 거기에 배울 점까지 있으면 금상첨화이다.


 지금 쓰는 이 글을 에세이라 부를 수 있는 이유도 위 조건을 충족시키기 때문이다. 글쓰기를 처음 시작한 사람이라면 내가 겪은 막막함에 공감할 것이다. 하지만 재미있는 글은.. 아직 어렵다.


 내 글이 어떠한가를 객관적으로 알려면 자꾸만 다른 사람에게 내보여야 한다. 처음엔 허접한 글을 세상에 내놓는 것이 부끄러워 혼자만 썼다. 문제는 그렇게 하면 내 글이 재미있는지, 유익한지, 혹은 공감을 불러일으키는지 알기 어렵다. 내가 쓴 글은 대체로 예뻐 보이고 재미있기 때문이다.


 독자를 만들고 반응을 얻어야 한다. 결국 일기를 에세이로 바꾸는 데 필요한 한 발짝은 내 글을 세상에 내놓는 것이다. 블로그도 좋고 어떤 SNS도 상관없다. 그러고는 에세이라고 우기자. 그러다 보면 놀랍게도 일기 같았던 글은 점차 에세이가 된다.

매거진의 이전글 호모 사피엔스의 욕구불만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