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와 등교 개학, 무엇이 우선일까
2주 전, 이태원 발 코로나 발병 확대로 전국이 난리었다. 그리고 인천의 한 학원강사의 잘못으로 인한 추가 감염이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고, 20일부터 고3이 개학하면서 교육계는 신경이 곤두서있는 상황이다.
이태원 발 감염 확산으로 인해 교육부도 질본과 협의해서 추가적인 등교 연기를 단행했다. 그리고 여러 차례 무엇인가를 검토하고 있다고 했다. 검토 결과 추가적인 개학 연기는 없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많은 전문가들이 모여서 협의를 진행하고 결정을 한다지만, 문제는 학교 현장의 그 어느 누구도 이 협의에 참여하지 못 한다.
학교는 교육 시스템의 가장 말단에 위치하지만, 그러면서도 동시에 학생들과 만나는 가장 가까운 접점에 있기도 하다. 교육 정책의 방향을 결정하고 집행하는 주체들이 학교 현장의 목소리를 담지 못하는 것이 아니라, 담지 않는 것이라면 여러 불편한 상황을 마주하게 된다.
많은 기업들이 그러하듯, 그리고 많은 공공기관의 관료 체계가 그러하듯, 나와 교육부는 별개의 존재이고, 교사들의 의견은 당국의 지침 결정에 반영되지 않는다. 3-4월에 추가 연기에 대한 의견을 묻는 설문 이외에는 우리의 목소리를 드러낼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다. 뉴스를 보면, 교사들의 의견보다 학부모의 의사, 국민 대다수의 정서 등을 먼저 고려하고 있다는 걸 쉽게 알 수 있고, 이 과정에서 교사들의 목소리는 죽어있으며, 본질은 흐려지기 마련이다.
그래서 어렵겠지만, 매스컴에서 교육 문제가 다뤄질 때 '교육부의 입장과 결정이 학교와 교사의 그것과 동일할 것이다'라는 인식에 기반해서 비난의 화살을 교사에게까지 쏘아부치지 않았으면 하는 바람이 있다. 정치적 이해관계에 따라 당연한 결정도 유보되는 게 일상다반사라. 차라리 의견 수렴과 정책 집행에 사소한 작은 목소리라도 반영되었더라면 오히려 나름 감수했을 것이다.
일반인들과 마찬가지로 학교와 교사들도 교육부의 방침에 대한 최초의 소식을 뉴스를 통해 듣는다. 그 소식은 각 시도 교육청으로, 그리고 교육지원청으로 내려와 각 학교에 전달된다. 그리고 그 때부터 정해진 방침에 따라 부랴부랴 학사 일정을 조정하기 시작한다. 뒤집고, 다시 뒤집고, 복귀하고, 또 뒤집고, 새로 짜고를 수없이 반복한다.
대체 왜 코로나19로 인한 등교 연기 문제를 학교 현장 경험이 전무한 선출직 공무원들이 중심이되어 처리하는지에 대해서는 납득할 수 없다. 그리고 많은 사람들이 납득하지 않기도 바란다. 선출직 공무원은 적절한 상황 판단을 위해 필요한 전문가를 모아서 의견을 수렴하고, 수렴된 의견에 따라 결정하고, 책임을 지는 직책일 뿐이다. 그런데 전문가를 모집하는 과정부터 모순이 생겨났고, 이로 인해 야금야금 변경되어 온 개학 방침에 학생과 교사들의 피로도가 쌓여갔다.
안전과 학업, 모두 중요한 가치이고 어느 하나를 결정하더라도 불만족스러운 부분은 항상 발생하기 마련이지만, 결정 과정 자체에 대해 불만족스러운 부분이 있다는 건 안타까운 일이다. 코로나19로부터의 안전과 학생들의 학업 사이에서 어느 하나가 우선시되어야 하는 것처럼, 교육 이슈를 결정짓는 과정에서도 우선시되어야 할 가치가 있다.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권을 치켜세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조직 내부에서 교권의 소중함과 가치를 알고 인정해주는 것도 교권을 보호하는 또 하나의 축이지 않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