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MJ Lee Apr 08. 2018

진짜 달력스러운 우크라이나의 달력 이야기

013. 우크라이나 러시아를 낳다

크림반도 케르치의 성니콜라이 교회 앞에 붙어 있는 정교회 축일 안내판 ©Lee Myeong Jae


동슬라브인은 원래 달의 변화에 따라 1년을 12달로 나눈 음력을 사용했다. 그리고 언제부터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12년마다 일곱 번씩 13번째 달을 추가하는 양력을 사용했다. A.D. 10세기 무렵에는 봄 농사가 시작되는 3월 1일에 새해를 기념했고, 1492년부터는 가을걷이가 끝날 무렵인 9월 1일로 새해가 옮겨졌다. B.C. 5508년 9월 1일을 천지창조일로 간주한 비잔틴의 연호를 도입한 것이다. 이후 표트르 대제는 7208년, 다시 말해 A.D. 1700년의 12월 31일에 “다음 날을 A.D. 1701년 1월 1일로 한다.”는 칙령을 발표했다. 물론, 서구식 연호만 가져왔고 달력 자체는 유럽 가톨릭 국가들이 사용하던 그레고리우스력이 아닌, 율리우스력을 여전히 사용했던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10월 혁명 직후인 1918년 초에 그레고리우스력을 도입했다. 참고로, 우리가 10월 혁명이라고 부르는 1917년의 그 사건도 율리우스력으로 10월 25일의 일이기 때문에 그렇게 부른다. 지금 달력으로 구소련의 10월 혁명기념일은 11월 7일이다. 국가의 공식 달력으로 끝까지 율리우스력을 고집한 사람들이 동슬라브 인일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확인한 바로는 1923년 그레고리우스력을 도입한 그리스가 마지막인 듯하다. ‘최후’라는 타이틀은 아깝게 그리스인들에게 넘어갔다.  


아무튼 이런 와중에서도 우크라이나인들은 동슬라브 민족 고유의 달 이름을 지켜왔다. 고대 동슬라브인들은 자연현상을 관찰하면서 당시 농경사회에서 그 달에 꼭 해야 하는 일과 관련된 것으로 각 달의 이름을 지었다고 한다. 그리고 그 달력의 흔적은 러시아가 아닌 동슬라브인의 고향 우크라이나에 가장 잘 남아있는 것으로 보인다. 


Sichen’ (1월) : ‘얼음 알갱이가 섞인 눈발이 강한 바람에 흩날리며 얼굴을 때리다’는 뜻의 동사 siktyi에서 유래했다. 

Lyutyi (2월) : ‘악(惡)한’이라는 의미의 형용사에서 유래했다. 아주 ‘혹독한 추위’를 의미한다. 

Berezen’ (3월) : 봄의 시작을 알리는 bereza(자작나무) 잎이 나오기 시작하는 것에 기인한다. 

2004.1.8. 카르파티아 산맥 바로흐타 마을의 1월 ©Lee Myeong Jae
2003.2.26. 키예프 솁첸코 공원의 2월(좌), 3월 어느 날 키예프의 한 지하철역 입구에서 팔고 있는 버드나무 가지(우) ©Lee Myeong Jae


Kviten’ (4월) : ‘꽃’을 의미하는 명사 kvity에서 유래했다.  

Traven’ (5월) : ‘풀’을 의미하는 명사 trava에서 유래했다. 

Cherven’ (6월) : 우크라이나어 ‘chervonyi’는 러시아어로 krasnyi(붉은), 아름답다는  뜻의 형용사 krasivyi로 번역된다. ‘아름다운 계절’이라는 의미가 아닐까 싶다. 이맘때부터 본격적으로 ‘붉은’ 산딸기 채집이 가능하기 때문에 6월을 그렇게 불렀다는 설도 있다.  

Lipen’ (7월) : lipa라는 이름의 풀에서 유래했다고 한다. 이 풀은 향기 매우 좋고, 차(茶)로도 마실 수 있다.

2002.4.21. 키예프 변두리의 4월 ©Lee Myeong Jae
2003.5.9. 체르니고프의 5월(좌), 2003.6.21. 키예프의 6월(중), 2002.7.16. 키예프 동굴대수도원의 7월(우) ©Lee Myeong Jae


Serpen’ (8월) : 낫이나 호미 같은 도구를 의미하는 serp에서 유래했다. 8월 경부터 수확을 시작하고, 겨우내 가축들이 먹을 풀을 베기 시작하기 때문이 아닐까 싶다.  

Veresen’ (9월) : 사철 초록색 관목인 veres에서 유래했다. veres는 이맘때 분홍색 꽃을 피우고, 꿀을 얻을 수 있다.  

Zhovten’ (10월) : 우크라이나어 zhovtyi는 러시아어로 zoltyi(노랗다)라는 뜻이다. 즉 단풍을 의미한다. 우크라이나에서는 크림반도 일부를 제외하고는 노란색 단풍밖에 볼 수 없다.  

2002.8.7 카먀네츠 포돌스키의 8월(좌), 2003.9.6 키예프 피로고보 야외 박물관의 9월(우) ©Lee Myeong Jae
2002.10.15. 키예프의 10월 ©Lee Myeong Jae


Listopad (11월) : 나뭇잎(list)이 떨어지는(padat’) 계절이라는 의미다. 

Gruden’ (12월) : ‘눈이 많이 쌓여서 힘들게 눈을 헤치며 가다’라는 의미다.

2002.11.6. 키예프 변두리의 11월, 2003.12.26. 키예프 안드레이 교회 주변의 12월 ©Lee Myeong Jae


우크라이나에는 서로 다른 날짜와 방법으로 1월을 맞이하는 다양한 부류의 사람들이 살고 있다. 1월 1일, 동슬라브 정교회에서 기념하는 1월 14일 구력 새해, 고려인 동포들과 중국인들의 음력설, 그리고 타타르인 등 무슬림의 이슬람 새해까지. 서로의 문화를 존중하면서, 매년 여러 차례 새해를 기념하고 축하하는 것, 나름 유쾌하고 의미 있는 일이 아닐까 싶다. 

매거진의 이전글 동슬라브인의 새해맞이- 샴페인, 불꽃놀이, 풍성한 식탁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