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씨앗을 품어 볼까요

깻잎전 ♡


깻잎전


깻잎은 깨끗이 씻어 물기를 빼둔다.

두부 한 모는 어제 저녁에 채반에 그릇으로

눌러 물기를 빼두었다.


두부, 다진 소고기, 계란, 소금, 후추, 맛술 넣고 반죽을 치댄다.

찰지게 반죽이 되면 깻잎에 만두처럼 넣고 납작하게  반을 접어준다.

( 남은 고기반죽은 냉동시켰다가 동그랑땡처럼 부쳐먹기도  한다.)


소를 넣은 깻잎 밀가루와 계란물을 입혀서 구워준다.

두부가 들어갔으니

밥없이 한 끼 먹어도 든든하다.



두부처럼 담백하고 솔직한 책 한 권을 소개한다.

< 읽고 싶은 이어령 / 이어령 > 이다.

미사여구 없으며 눈에 밟히는 구절이 딱히 있었던 건 아니다.

그런데 신기하다.

마지막 책장을 덮을때까지만 해도

기억나는게 없을 줄  알았는데

설거지하다가 또는 청소하다가, 길을 걷다가

톡톡 기억이 나는 것이다.

마치 카라카라 오렌지를 껍질까고

입에 넣었을때

과육이 터져나오듯.


이어령씨의 글이 그렇다.

이 책은 “ 고맙다, 인호야.” 로 시작이 된다.

최인호씨가 생전에 이어령씨에게 새 글을 쓰면  

책을 내자고 권유하였고

 그것을 계기로 에세이집을 출판한 것이다.

몇 년전에 읽고 다시 읽어 보았다.


이런 구절이 있다.

< 씨앗은 당장 먹을 수 있는 건 아니다.

  아무리 배고파도농부는 씨앗을 먹지 않는다. 씨앗은 간직하는 것이고

내일을 위해 뿌리는 것이다.

 눈앞에 있는 것을 거두어 들이려고

낫부터 가는 사람은 씨를 보존하거나 그걸

뿌리는 자의 마음을 알지 못하는 사람이다…>


이어령씨는 민족과 문화는 씨앗과 같다고 말하고 있다.

며칠동안 계속 중국이 한복을 중국의 전통의상이라고 우기고 있는 기사를 접했는데 그건 씨앗도둑과 다름이 없다.

지금부터 만들어진 것들이

다 자기나라의 역사가 될 거라고 우긴다면 ,

그 유명한 중식 셰프 이연복의 눈꽃 탕수육도

지금부터는 우리나라 고유의 음식이라고

우겨도 상관없는거 아닌가…


내가 생각하는 씨앗은 노력과 성실함이다.

당장의 결과를 알 수 없더라도

미래를 위해 반드시

지속적으로 저장되어야 하는

 인간의 기본적인 덕목이랄까.

아니, 사람마다 각각의 씨앗이 있겠지.

그리고 그 씨앗은 각자의 자존심이 될 것이다.

나를 올바로 세우기 위한 작업을 위해

심고 물주고 발아시키는 일에

게을리 하지 말아야겠다.


누구를 위해서 적선하듯 사는 삶이 아닌

내가 진정한 주체가 되어

올 한 해도 씨앗을 품어 보리라.


오늘도 굿모닝^^

https://youtu.be/K8YXU0ZuE_k


매거진의 이전글 잠시 발리에 다녀왔습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