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결락 Jan 18. 2021

울음

단상

 





나는 무엇인가? 쇠북이요 경쇠다. 쇠북이나  것은 두드려야 운다. 두드리지 않으면 비록 1년 내내 울지 않아도 괜찮다. 옛날엔 형님인 남유상이 두드리고, 오원이 두드리면 내가 울었다. 두 사람이 죽고 나서 나는 울지 않은지 오래되었다.

-남유용 「임계백시발」 中



태어나서 처음이 울음이라 아이 때에는 참 많이도  울었다. 얇은 피부와 조그만 정신의 크기만큼 해지던  관심방어할 수 있었던 건 울음소리의 크기였다. 두드려 맞아도 울고, 보듬어도 울고, 탯줄이 끊기던 첫울음 때부터  모태와 멀어질수록  소리는 아이의 무기가 되었다.


초등학교 6학년 때, 여섯 살배기 동생이 죽었다. 한 이틀을 엉엉 울고 동무들과 어울리다 웃었나 보다. “동생이 죽었는데 니는 웃고 노나.”  동네형의 알듯 모를듯한 눈빛과 함께 들었던 한 마디가 지금도 가슴에 돌아다닌다. 더 울어야만 했.  


강하지 못해서 마음껏 울 수 있던 시절이 있었다. 결혼을 하고 아이를 낳고 지천명을 넘어서도 물론 난 강하지 않다. 그래도 울 수가 없다. 관계가 엉크러지고 떠나고 남아도 가슴을 두드려 맞아도 괜찮다. 아내에게 듣기로는 며칠 전 술에 취해 아이들 앞에서 울었다고 한다.  나는 기억나지 않지만 울었다니 울었겠지.


눈물의 근원이 아직 남아 있는가. 비우는 것보다는 채우는  것이 먼저인 건가. 렇게 나이가 한 살 더 들었다.

작가의 이전글 백년 동안의 고독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