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느림보 Mar 18. 2024

재미있었으면 다행이야

하고 싶은 말이 뭔데? 몰라. 

이동진 평론가는 이런 말을 남겼다. 


영화를 보는 것은 메시지를 보기 위해서가 아니다.


만일 몇 줄의 메시지로 추리면 대부분의 영화는 같은 영화가 되어 버린다. ‘노예 12년’ ‘장고’는 분명 다른 영화지만 내용을 요약하면 ‘과거 흑인 노예의 비극적인 삶’이고, 메시지는 “차별은 안 된다”로 통일된다. 하지만 두 영화는 엄연히 별개의 작품이고, 보는 이들은 이 두 영화를 보며 다른 감정을 느낀다. 만약 메시지가 영화의 필요조건이었다면 메시지가 겹치는 수많은 영화는 존재 의미를 잃는다. 


영화에 대한 훈련이 되어 있지 않았을 때 나도 늘 영화에서 메시지를 찾았다. “그래서 대체 하고 싶은 말이 뭔데?”라는 질문을 일삼으며 영화를 대했다. 영화뿐만이 아니었다. 드라마나 음악, 그림에서도 ‘주장’을 파헤치려 했다. 아마 이 글을 읽고 있는 독자들도 비슷한 경험이 있을 것이다. 아니면 주변에서 이런 소리를 하는 사람을 심심치 않게 볼 수 있을 것이다. 그만큼 무슨 얘기를 하려는지 이해가 안 가서 재미없었다는 감상은 너무도 쉽게 접할 수 있는 흔한 클리셰가 됐다.


그런 탓에 콘텐츠 소상공인이 되고 싶은 나는 언제나 ‘메시지’를 축으로 두었다. 메시지가 강하고 명확한 작품이 최고라 생각했으니 말이다. 그래서 대부분의 글을 “결혼을 왜 굳이 해야 해!” “열심히 안 살아도 돼!” “돈은 행복을 보장하지 않아!” 같은 분명한 주장을 내뱉으며 전개했다. 알기 쉽게 이런 메시지를 제목이나 표어로 걸고 사람들이 쉽게 접근할 수 있으면 그걸로 되는 줄 알았다. 하지만 착각이었다. 추리고 추린 뼈만 남긴 말에 사람들은 “오오 그렇구나” 느끼고 사람들은 대부분 떠나간다는 현실을 몰랐던 것이다. 살을 음미하고, 마음대로 뜯어보고, 이것저것 탐구해 볼 여지가 없으니, 그런 콘텐츠를 보고 공감은 하겠지만 그것이 장기적 애정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나는 해리 포터 시리즈를 사랑한다. 어릴 때부터 나의 자아 형성에 엄청난 영향을 준 작품이다. 하지만 내가 해리 포터를 애정하는 이유가 ‘사랑의 중요성’이라는 메시지에서 오지 않는다. 물론 그러한 메시지를 곳곳에 잘 담는 작가의 용의주도함에 빠진 면도 무시할 수 없다. 하지만 그 작품 속 주인공인 해리가 성장하면 느꼈을 상실감과 외로움, 이런 결핍을 학교에서 만난 론이나 헤르미온느와 같은 인연들과 슬기롭게 이겨나가며 성장하는 모습, 마법 세계에서 벌어지는 신비로운 일들, 이러한 이 작품 속 담긴 수많은 콘텐츠가 나를 이 작품에서 빠져나오지 못하게 만드는 족쇄 역할을 한 것이다. 그렇다. 중요한 것은 ‘주장’이 아니었다. 그 내부의 흥미를 끄는 수많은 요소들이었던 것이다.


사람은 지식을 얻었을 때, 자신의 효용을 뽐낼 때, 새로운 경험을 했을 때, 동질감을 느낄 때 재미를 느낀다. 그래서 '슈카월드' '조승연의 탐구생활' 같은 유튜브 채널이 엄청난 인기를 끈다. 누군가에게 자신의 장기나 능력을 뽐내며 쾌락을 느낀다. 가 본 적 없는 곳에 간다. 에세이를 읽으며 감동받는다. 그래서 나는 내가 생각한 이 재미 요소들을 충족시킬 수 있는 사람이 되고 싶다. 자지러지게 웃기는 그런 사람이 될 수 없겠지만 ‘나답게 재미있는 사람’이 되기 위해 오늘도 고군분투 중이다. 


소수에게라도 나라는 사람이 만드는 무언가가 재미있었으면 좋겠다. 그것 하나면 충분하다. 

작가의 이전글 발전은 힘들어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