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유원썸 Jun 20. 2020

집 나가도 돌아오게 하는 그 음식,  있는가

#우리家한식-2020한식문화공모전

하나-


참 이상한 밥상이었다.

여덟명의 번잡스런 숟가락, 젓가락질에도 전혀 옆사람과 부딪히지않다니!

8인용식탁은 커녕 기껏해야 4인용이 되었을까싶은 크기의 밥상이었다.

모서리에 앉으면 모진 소리를 듣는다고 구석에는 절대 못앉게 했음에도 부족하지않았던 밥상에서는

쨍도 아니고 땡도 아닌 가벼운 양은소리가 쉬없이 들렸다.

 

반찬은 또 김치다. 겨울에는 이가 시릴 정도의 얼음김치일 때가 많았고

여름에는 뻘건 국물의 열무김치다.

너무 많다싶으면 난 위 아래로 한번씩 훓어 김치양념을 걷어내어 그릇 주변에 묻힌다.

나에겐 걷어내는 거고 엄마가 봤을 때는 아까운 양념을 지저분하게 버린다고해서

더러 혼이 나는데도 다음 식사때에 또 그짓을 하면 야단치는 목소리가 늘어난다.

머리가 좋은 언니들의 잔소리가 엄마의 화를 그나마 진정시켰다.


고(故)최진실배우가 가난해서 늘 수제비를 먹었다고했는데 우리집은 그렇게까지는 가난한 기억은 내게 없다.

밥을 굶거나 도시락을 싸가지못하거나 집주인에게 쫒겨났거나 하지않았으니 하는 말이다.

 엄마가 쉬딱쉬딱 잘하시고 자주하셨던 요리가 바로 그  밀가루요리였다.

어떤 날은 주전자 뚜껑으로 꾹꾹 누른 만두피에 김치와 만두소를 넣은 김치만두를,

어떤 날은 만두피를 만드는가싶었는데 수건처럼 몇 번 접고 얇게 썰어 칼국수를,

어떤 날은 멸치의 비릿한 냄새가 온 집안에 풍기더니 이내 김치를 넣어 칼칼한 수제비를

그렇게 쉬딱쉬딱 잘도 만드셨다.


엄마김치는 시원하면서 짰다. 오랫동안 그 짠 맛에 길들여진 우리식구는 짜기는 커녕 김치 수제비, 김치찌개, 김치부침개등의 칼칼한 김치 변신에 세상말로 환장하고 먹었는데 새언니가 들어온 뒤 김치와 관련한 음식은 한 켠으로 밀려나고 고기나 단품요리가 자리를 채웠다.


" 김치가 아니라 소금덩어리야."

조카가 태어나고 우리집 식구가 되었다싶은 2-3년이 지났을 때 새언니는 조심스럽게 엄마의 음식, 특히 김치가 짜다는 소리를 했다.

" 그렇게 짜?"

" 처음 먹었을 때 깜짝 놀랐어. 너무 짜서..."

엄마나이 환갑이 지나 며느리를 보았는데 그 때 엄마의 미각이 떨어지고 있을 무렵이었으니 새언니가 그럴만도 했겠다.  


언니들이 모두 출가했고 오직 밥 한 그릇과 국으로만 식사를 하시는 아버지, 그리고 바같밥의 횟수가 잦아지면서 엄마의 음식은 냉장고에서 대기번호를 받을 정도가 되었다.

엄마가 혼자 드시는 밥상은 재방송같았다.  

찬 밥에 물말아 당신이 만든 파김치, 배추김치, 생채무침, 마늘짱아찌가 반찬이었다.

아, 물에 담근 오이짱아찌도 간혹 있었다. 그게 무슨 맛일까 호기심에 먹었다 바로 뱉은 적이 있다.

아이쿠 짜라..새언니말대로 엄마음식이 짜구나싶었다.

그러나 참 바보같은 미각을 가진 나다. 외식을 하고 나면 여러컵의 물을 들이키면서도 바같밥이 엄마것보다 더 짜다는 것을 몰랐으니 그렇다.


막내인 나까지 출가를 하고 얼마 후 임신이 되었다. 

퇴근을 하고 집에 오면 냉장고에 그득그득 쌓여있는 반찬통, 엄마가 다녀가신게다.

특히 후라이팬에 있는 김치부침개의 시큼한 냄새에 침이 꼴깍했다.

입덧을 하면 심지어 고무타이어도 맛보고싶어지고  강한 입덧일수록 아이가 건강하다는 증거라는데

난 고무타이어까지는 아니었다.


속이 미식할 수록 먹고싶은 건 오직 수제비, 그것도 김치가 들어간 수제비였다.

밥냄새, 부엌냄새, 냉장고냄새는 절대 못맡을 초기였으니 요리는 생각도 하기싫었는데 이상하게 그 수제비는

코끝에 있었다. 


친정집에 들어서기 무섭게 엄마에게 수제비를 주문하면  엄마는 첨부터 김치를 넣고

숟가락에서 떨어질랑말랑한 반죽을 젓가락으로 뚝뚝 떼어내어 형용할 수 없는 모양의 반죽들이 이리저리 헤엄을 친다. 요란하다. 한 그릇 뚝딱하면 미식거렸던 속이 시원하다.


"입덧도 참... 싼 걸로 한다. 고기라던가 회라던가 대게라던가 뭐 평소 못먹던 걸로 해야 대접받지."

엄마도 남편도 내 입덧을 한심해했다.


둘-


엄마의 밥상은 점점 초라해졌다. 

신김치, 멸치 두어개와 물을 넣고 팔팔 끓인 후 마지막으로 당면을 넣은 게 다다.

짭조름이 아니라 소태다. 당뇨를 생각해서 현미밥에 그 김치국인지 김치찌개인지로 한 끼를 떼운다.

"입맛이 없어. 다른 건 다 싫어."

없어진 입맛을 살려볼까, 유명한 중국요리집에도 신선한 보리밥집에도 모시고 다녔는데 엄마는

당신이 만든 김치에 당면이 최고라신다.

그러면서 뜬금없이 김치만두를 빚을까라며 우리의 의견을 물으신다.

"누가 먹는다고. 엄마 힘들어, 하지마."

" 너는 왜 맨날 못하게 하나?"

안그래도 엄마 냉장고에 있는 수제만두가 몇 번이나 버려졌다. 엄마보러 놀러왔다 냉장고 청소만 여러번이다.

" 예전에 너희들 어릴 때 내가 만두하면 환장하고 먹었는데..."

누가 그러던데...엄마가 만든 음식  버리더라도 그냥 하게 하라고.

당신들이 먹고싶어서가 아니라 자식들 잘 먹었던 것 그리워서 그런거라고.  

음식이 버려진들 그게 얼마나 되겠나고말이다.

그러나 난 만드는 수고와 버려지는 수고가 싫었다.

"엄마, 하지마. 그거 누가 먹는다고. 내가 맛있는 만두 사올까?"


셋-


엄마가 갑자기 돌아가셨다. 계획에 없던 이별이었다. 

엄마집을 정리하면서 많이 울었다. 밥통뚜껑에 송편 한 개가 말라붙어있다. 

찌그러진 송편에 밥 알 몇개가 역시나 말라붙어있다. 

입맛이 늘 없으셨으니 달달한 송편이라도 따뜻하게 드시고싶으셨을까

퇴원하시면 드시려 했던 냉장고안 반찬이 모두 김치다.

엄마김치도 있고 다른 집 김치도 있고 당면넣은 김치도 있다.


오늘 다 못먹어도 절대 버리지못하는 양반.

냄새는 부엌뿐이 아니다.

한 번도 안입었던 속옷에, 양말에, 파자마에 장농속 나프탈렌 냄새가 엉켜있다.

새것이 있어도 늘 내일 입고, 내일 먹고, 내일 쓰려고 남겨두셨는데.


" 니 어머니가 입었던 옷 다 좋은 거 아니냐,  버리지말고 나 줘라."

시어머니는 먼저 돌아가신 사부인 옷을 탐내신게 아니다.

" 나라도 입고있음 니가 엄마생각할 거 아니냐."

시어머니앞에서 처음으로 엉엉 울었다.


넷-


입덧이 끝나고 안정기에 들었을 때 먹었던 음식이 하나 더 있다.

삼척이 고향인 시어머니의 음식, 식해다.

생선이 흔했던 고향에서는 가자미로 식해를 만든다고 했다.

명절이 되면 삭힌 홍어처럼 모든 생선을 찜통에 찐다. 온 집안은 생선 비린내와 암모니아냄새로 가득하다.

엄마 김치가 소태라던 새언니처럼 나도 시어머니의 생선은 입에 맞지않았다.

어떤 날은 김하고 계란하고만 밥을 먹은 적도 있다.

그래도 가자미식해만큼은 욕심내어 먹었다.

젓갈인가싶어 젓가락으로 살짝 떼먹어본다. 

부시맨이 된 느낌이다. 

이게 뭐지? 

이번에는 좀 더 과감하게 좀 더 많이 떼먹어본다. 

매운 것 같기고 하고 단맛도 있고 뒷맛이 아린게 뭔가 씹힌다. 

아삭거리는 무말고 톡톡 입안에서 터지는게 생선알일까 

뻘건 양념이 그득해서 들어간 재료를 알 수 없기에 젓가락으로 헤쳐보았다.

무도 있고 조밥도 있고 듬성듬성 썰은 생선조가리도 있다. 희한하게 비린내가 없고 가시도 없다.

생선은 무조건 튀기거나 굽거나가 다인 서울요리법에 없는 메뉴다.

" 니 그런 거 처음 먹어보재?" 

삼척이 고향인 분들에게는 그닥 귀한 맛이 아니란다. 덕분에 올곳이 내 몫이 되었다.  

하얀 쌀밥에 얹어 먹다보면 밥 한 공기로는 부족하다.

식혜인지 식해인지도 구분못했던 서울 며느리는 시어머니의 고향이 고마울 정도다.



다섯-


아들이 제법 매운 김치맛을 알아갈 때였다. 

적당히 신김치와 한 덩어리의 앞다리살이 어우려져 온 집안이 기름과 김치냄새로 범벅이 되면 아들의 목소리가 들뜨기 시작한다.  

" 엄마는 왜 이렇게 요리를 잘해?"

웃음, 아니 폭소가 터져나온다. 사실은 미안하다. 정말 미안해진다.

난 요리에 완전 꽝손이다. 바같밥을 먹고 왜 물을 그래 마시는지도 몰랐던 후진 입맛이다.

단지 맛있는 김치와 돼지 앞다리살에 적당한 마늘, 고춧가루를 첨가했을뿐인데....


그즈음 TV 요리프로에선가 이런 멘트를 했었다.

" 가출을 해도 엄마가 만든 그 음식을 먹고싶어서 집에 돌아가게끔 해야합니다.

그런 메뉴 하나정도는 있어야합니다. "


' 김치찌개로 이 녀석이 집에 돌아올까나? 그러려면 김치는 계속 00표를 사야겠는걸.'

김치찌개가 맛있으려면 무조건 김치가 맛있어야한다. 그게 비결이다.


여섯-


코로나로 평소 안만들어보던 요리를 아주 많이 해보았다. 

어떤 것은 시도로 버려지고 어떤 것은 사는게 낫지만 그나마 바같에 못나가니하며 먹었던 것도 있고 어떤 것은 생각보다 괜찮은데 엄지를 올리게 한 것도 있다.

그래도 내가 하는 음식은 아들을, 딸의 가출을 막기는 커녕 돌아오지도 않을 듯하다.

가짓수는 많은데 깊이가 없다. 무엇보다 사연이 없다.


엄마의 김치가 유난히 짰던 이유는 김치말고는 먹을 게 없던 때다. 

뒷마당에 땅을 파고 장독을 반쯤 심고 애써 만든 김치를 차곡차곡, 눈 내린 다음날이면 하얀 눈을 치우고 조심스레 꺼냈을 김치. 싱거우면 군내가 난다. 그러니 굵은 소금으로 절이고 뿌리고 또 뿌릴 수밖에 없다.


엄마가 만들고싶어했던 만두도 수제비까지 넣으려면 그런 김치가 넉넉히 들어가야 했다. 


커다란 배추김치를 손으로 찌-익 찢어 밥위에 올려주면 제비처럼 잘 받아먹던 자식들, 

눈에 넣어도 아프지않을, 보기만해도 아까운 자식들이 어디 나가서 모진 소리 들을까 모서리에는 앉지도 못하게 한 그 작은 밥상에서 여뎗명이 어떻게 어깨도 부딪히지않고 먹을 수 있었을까 

여전히 미스테리다.

 

시어머니의 식해가 특이하고 맛있는 건 생선이 넘치는 어촌이니 당연한걸까? 

아니다. 

제대로의 삭힘과정이 없다면 그렇게 알싸한 맛이 날까싶다.  

손도 많이 가는 음식이다.

그럼에도 삼척이 고향인 가족들에게는 더이상 가자미식해를 밥반찬으로 여기지않는다. 막걸리에 곁들이는 안주정도로 여기는 듯하다. 

남들이 다 사갖고 간 뒤 상품가치가 없는 조막막한 크기의 가자미, 새벽 번개시장에서 제일 늦게 가 한 바구니 사오는 사람이 있었는데 바로 시아버지였단다.  

어쩌면 손이 기억하는 맛과 머리가 기억하는 맛은 다를 수 있겠다.   

" 그 때 시골에서 무슨 고기가 있겠나? 구경도 못했다. 서울사람들이나 사먹지."

시골이나 서울이나 왜 그렇게 먹고 사는게 힘들었을까. 먹고 사는게 그래 힘들었을까

소금과 삭힘이 없이는 오래오래 먹을 수 없기에 재우고 뿌리고 삭히고가 꼭 필요했을게다. 



일곱-


오늘은 친정엄마의 수제비와 엊그제 시어머니가 담아주신 가자미식해를 상견례시켜봤다.


"이렇게 훌륭한 아들을 키우시느라 수고많으셨습니다."

"이렇게 예쁜 딸을 저희집에 주셔서 감사합니다."


김치가 들어가지않은 내 수제비는 그냥 수저로 만들었다고해서 수접, 수제비일뿐이다. 

한끼를 떼워 볼 뿐이다. 그래도 양념듬뿍인 가자미와 곁들였으니 앞맛은 담백, 뒷맛은 칼칼이다.  


먼저 가신 사부인의 옷도 아무 거리낌없이 그 딸을 위해 입으신다는 시어머니 마음도 참 고맙다. 


그런데 그거 아는가?

엄마표고 시어머니표고 그분들의 음식은 유효기간이 있다는 걸, 그것도 아주 아주 짧다는 걸 말이다.

#우리家한식-20202한식문화 공모전 


 


      



  

 


 



 





  

 



 

 




 



작가의 이전글 화무십일홍(花無十日紅)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