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이킷 124 댓글 14 공유 작가의 글을 SNS에 공유해보세요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열두 살의 박완서, 마흔두 살의 박완서

by 나묭 Apr 23. 2023


 박완서 님을 만났다.

 30여 년 전 일이다. 엄마가 같은 아파트 옆 레인 사는 할머니에게 떡을 전해주고 오라고 했다. 같은 성당 다니는 분이랬다.

 “유명한 작가셔. 우리나라에서 손꼽히는.”

 당시 난 초등학생이었다. 열두 살 쯤이었을 것이다. 작가라는 말에 혹했지만 그분의 책을 읽어본 적 없기에 초인종을 딩동 누르고 무심결에 떡을 전해드리고 왔다. 머리를 쓰다듬어주셨던가, 아마도. 그 후로 두어 차례 더 엄마의 잔심부름을 하러 그 할머니네 초인종을 눌렀다.

 중학생이 되고 엄마 책장에 있던 그분 책을 읽었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남성성이 막 꿈틀거리던 시기라 먼 나라 얘기 같았지만 어쨌든 꾸역꾸역 다 읽었다. 그때만 해도 와, 그 할머니 진짜 작가이셨구나, 그랬던 것 같다.

 어른이 되어 박완서 님을 다시 만났다.

 돌아가셨다는 뉴스를 접하고 나서였다. 그분이 남긴 소설과 산문집을 읽으니 단단했던 마음이 뜻 모르게 허물어지고, 허물어진 마음이 다시 단단하게 여물었다. 훈계하지 않는 글이었다. 성찰과 여백만 가득한데 읽는 이를 들끓였다. 이 분이 나 어릴 적 머리를 쓰다듬어주셨단 말이지? 엄마 그때 좀 더 호들갑 떨어주지 그랬어 나한테. 머리라도 며칠 안 감았을 건데.

 지난겨울 인천 문학소매점에서 구매한 박완서 님 단편집을 봄이 다 되어서야 읽었다. 여직껏 못 읽은 그의 책이 많다. 이번 단편집 제목은 <배반의 여름>이었다. 부사 하나 찾기 어려운 담백한 문체로 쓴 짧은 소설들에 출퇴근길 기차간에서 몇 번이나 눈시울을 붉혔는지 모른다. 내가 태어나기도 훨씬 전에 쓰였다는 첫 단편 <겨울나들이>부터 마지막 <공항에서 만난 사람>까지 어느 하나 빠지거나 보탤 것 없이 안쓰럽고 사랑스러웠다. 그가 적어낸 삶은 남루했지만 그의 이야기는 근사했다. 이 단편집을 백 년도 넘은 거리, 말로는 못할 나만의 기억을 간직한 골목의 소담한 책방에서 집어 들었다는 것조차 근사했다.

 책을 덮을 무렵 기찻길 창문 바깥으로 해가 여물었다. 이젠 그 시절의 나 만한 아들내미를 둔 아빠가 된 마당에, 불현듯 30여 년 전 어린 나에게 타임머신을 타고 가서 신신당부라도 해주고 싶어졌다.

 ‘지금 이 순간을 똑바로 기억해 둬. 어쩌면 생애 가장 근사한 기억이 될지도 모르니까. 네가 떡을 전해드릴 그분이 말이지…’



브런치 글 이미지 1
매거진의 이전글 실패할 줄 알면서도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