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나무나비 Dec 23. 2020

하찮은 인생

많이 살았는데 아직도 하찮은 인생

대학에 처음 들어갔을 때였다.

대부분의 학생들이 그랬겠지만 나도 매우 지쳐 있었다. 끊임없이 성적으로 평가받으며 끝도 알 수 없는 길을 달려야 하는 것이. 


이제 대학도 들어왔으니, 더는 그런 생활은 사절하고 싶었다. 그래서 내가 정한 목표는 '중간만 가자'는 것이었다. 그래도 너무 뒤로 가면 욕을 먹으니까, 딱 욕 먹지 않을 정도만. 너무 앞에 가려고 해도 그것 때문에 스트레스를 받으니까 적당히만 하자고 생각했다.


그리고 대학을 졸업하고 한참 후가 된 지금까지, 나는 꽤 마음먹은 대로 잘 해내고 있다. 문제는 너무 잘 해내고 있다는 것이다. 이제는 그만 좀 앞서나가도 될 텐데, 도무지 그게 잘 되지를 않는다. 오래달리기를 할 때 아무리 다리에 힘을 줘도 앞사람을 따라잡을 수 없는 사람처럼.


드라마, 영화, 소설, 모든 곳에서 인간은 두 부류로 나뉜다. 앞서가는 사람과 뒤에 있는 사람. 앞에 있는 사람은 아마 주인공일 테고, 뒤에 있는 사람은 그런 주인공을 방해하는 인물일 테다. 중간에 있는 사람들은 대개 드러나지 않는다. 한 마디로 존재감이 없다. 배역은 있으니 나오기는 하는데, 아무도 그가 누군지 모른다. 그 영화나 드라마, 소설의 매니아라도 말이다.


나 역시 이 두 부류의 사람들을 즐겨 썼다. 아주 잘 하는 사람과, 못하지만 질투심만 많은 사람. 대개 주인공들은 뭘 하든 성공한다. 학창시절에 가장 좋은 대학 수석 입학은 놀랍지도 않은 것이다. 그는 자신이 있는 자리에서 모든 기록을 갈아치우며 승승장구한다. 그렇게 써야 주인공이 될 수 있었다.(적어도 내가 쓰는 장르문학에서는 말이다.)


하지만 그들의 창조자인 나는, 그들에 대해 쓸 때마다 늘 쭈굴쭈굴해질 수밖에 없었다. 대학에 가서도 목표가 '중간만 가자'는 사람이었던 나는, 직장다니던 때에 열심히 준비를 했지만 결국 실력 부족으로 일을 망쳤던 나는, 지금도 웹소설 작가라고 부지런히 글을 쓰지만 딱히 눈에 띌 만한 성과가 없는 나는. 아마도 내가 소설 속 세계로 들어간다면 열혈 독자들도 나를 기억하지는 못할 것이다. 어느 곳에 이름도 없이 묻혀있을 테니까.


나도 내 인생이 이렇게 하찮아질 줄은 몰랐다. '네가 웹소설을 쓴다고? 어디?'라고 물어서 알려줬더니 아무도 그 글을 안 보게 될 줄은 몰랐다.(극소수를 제외하고.) 글이 론칭될 때마다 늘 일말의 기대를 품지만 여지없이 무너지게 될 줄은 정말 몰랐다.


보통 주인공들은 시련을 겪더라도 초반에 끝난다. 난 인생 초반이라고 하기에는 너무 많이 와 버렸다. 이미 주인공 실격이다. 아직까지 '성공'을 하지 못하다니. 그렇다고 악독한 것도 아니니 악역으로 성공하기도 글렀다. 이미 그렇게 된 것이다, 내 인생이라는 것은.


그래서 나는 그냥 내 하찮음을 찬양하기로 했다. 인생 좀 하찮게 살면 어떤가. 모두가 주인공일 수는 없지 않은가. 잘하는 사람이 있으면 잘못하는 사람도 있어야 하고, 실수를 하는 사람도 있어야 한다. 하는 것마다 잘 되는 사람이 있으면 하는 것마다 그저 지지부진한 사람도 있어야 한다.


그래도 뭐 어떻게 먹고는 살고 있다. 엊그제는 아기에게 장난감도 사 주었다. 아기는 그 장난감을 매우 좋아한다. 그러면 된 거다. 장난감 사줄 돈이 있다면, 사랑하는 사람을 웃게 해줄 정도의 능력이 있다면 하찮아도 꽤 괜찮은 인생인 거다.

매거진의 이전글 나의 글을 쓴다는 것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