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레인 May 18. 2018

여성이 성폭력 피해 경험을 말할 수 없는 이유

넷플릭스 <루머의 루머의 루머> 시즌1 페미니즘 리뷰 첫번째

※ <주의> 이 글에는 <루머의 루머의 루머> 시즌1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넷플릭스 <루머의 루머의 루머>는 해나가 자살한 이유 13가지를 보여주며 여성 청소년에게 폭력적인 학교 사회의 단면을 그린다. 그리고 해나가 성폭력 피해 경험을 말했더니 오히려 비난당한 이야기, 제시카가 자신의 피해 경험을 부정하는 이야를 통해 왜 우리 사회에서 여성이 성폭력을 말할 수 없는지를 잘 보여준다.


여성이 성폭력을 말할 수 없는 이유- 해나의 이야기

해나는 자신을 죽음에 이르게 한 사람 13명에게 테이프를 남긴다. 그리고 그중 13번째 사람은 다름 아닌 상담교사 포터다. 사실 12명에게 보낼 테이프를 만들었을 때까지만 해도 해나는 다시 살고 싶어 졌었다. '상처를 털어놓음'을 통해 조금이나마 후련해졌기 때문이다. 해나는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살아갈 의지를 얻기 위해 포터 선생님을 찾지만, 포터 선생님의 상담은 전문적이지 않았다.

  해나는 포터 선생님께 자신이 성폭력을 당했음을 말하고 그로 인해 자신이 힘들다는 것을 알리지만 돌아오는 대답은 하나다.

그만두라고 말했니? 허락을 했다가 생각을 바꾼 건 아니고?
잊어버려라, 고소할 생각이 없다면.
그는 끊임없이 해나의 경험을 의심하고 부정한다.

  포터는 끊임없이 해나의 피해 경험을 의심하고 부정한다. "남자 친구랑 하기로 하고 결정을 바꾼 것이 아니냐, 그만두라고 말했냐, 고소할 생각이 없다면, 그냥 잊어버리고 살아라.. " 그의 3마디는 하나하나 틀렸다. 다음 문단에서 3마디가 틀린 이유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남자 친구랑 하기로 하고 결정을 바꾼 것이 아니냐" : 설사 남자친구랑 섹스를 하기로 하고 도중에 생각을 바꿨더라도, 자신의 동의 없이 이루어지는 것은 명백한 성폭력이다.

"그만두라고 말했냐" : 성폭력의 기준은 피해자가 얼마나 저항했는지 여부가 아니다. 가해자가 얼마나 동의를 물었는지이다. 따라서 포터는 피해자인 해나가 아니라 가해자 브라이스에게 동의를 구했냐고 물었어야 했다. 포터가 해나에게 '그만두라고 말했냐'라고 묻는 것은 성폭력의 원인을 여성으로 기인하는 성폭력 통념 사회에서 성폭력을 드러낼 것을 용기 낸 해나를 비난하는 것밖에 되지 않는다.

"그냥 잊어버리고 살아라" : 글쎄, 이 말의 의미를 독자 당신은 어떻게 생각했는가? 필자는 답답해서 글을 쓰기가 어렵다. 피해자인 해나에게 성폭력 피해 경험을 잊어버리고 살라는 것은, 그냥 묵인하라는 사실밖에 되지 않는다. 그리고 피해자가 침묵할수록 성폭력은 더욱더 재생산된다.


해나가 13번째 원인으로 지목했던 사람은 가해자 브라이스가 아니라 상담교사 포터였다. 상담교사 포터는 살아가고자 했던 해나에게 성폭력 피해가 너의 원인이 아니냐며 비난함으로써 그 의지를 꺾어버렸다. 그렇게 포터는 해나가 자살한 13번째 원인이 되었다. 사실 포터는 우리가 어디서나 볼 수 있는 평범한 사람이다. 그리고 언뜻 보기에 포터는 학생들에게 관심을 갖고 가정에서는 아내와 양육을 분담하려고 노력하는 선량한 남성이기도 하다. 그러나 평범하고 선량한 남성은 성폭력 피해자가 자살하는 마지막 이유가 되었다. 그 이유는 우리 모두가 안다. 성폭력 피해를 의심하고("남자 친구랑 하기로 하고 생각을 바꾼 게 아니냐") 성폭력 피해의 원인을 피해자에게 돌리고("그만두라고 말했냐") 성폭력 피해를 묵인하도록("잊고 살아라") 했기 때문이다. 한 여성을 죽음으로 내몰았던 성폭력 통념은, 그리고 성폭력을 묵인함으로써 강간문화(rape culture)를 재생산하는 기제는, 바로 이렇듯 평범하고 선량한 사람을 통해서 재생산된다. 그렇다면, 우리는 어떻게 해야 할까?


나중에 클레이는 말한다.

전 해나 말을 믿었어요 선생님도 그랬어야죠

그렇다. 우리가 할 수 있는 건 이것뿐이다. 피해자를 믿고 지지해주는 것. 그리고 이것이 세상을 바꿀 수 있다.



여성이 성폭력을 말할 수 없는 이유- 제시카의 이야기

<루머의 루머의 루머>에는 해나 말고도 또 다른 성폭력 피해자 제시카가 등장한다.  그러나 제시카의 행동이 좀 생각과는 다르다. 첫 번째로 제시카는 해나의 테이프가 거짓말이라고, 자신은 브라이스한테 성폭력 당한 것이 아니라 남자친구인 저스틴과 섹스를 했다며 성폭력 피해를 부정한다. 두 번째로 제시카는 평소와 다르게 학교에서 술을 마시고 브라이스와 어울린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성폭력 피해자와 다르지 않은가?  


피해의 경험은 시간의 연속선상에서 경합하고 경합한다.

제시카는 계속해서 자신이 겪은 성폭력이 성폭력이 아니었다고 부정한다. 성폭력을 목격한 것을 테이프에 남긴 해나가 거짓말한 것이라고 주장하고 그날 자신은 브라이스에게 강간당한 것이 아니라 남자친구인 저스틴과 섹스했다고 주장한다.

제시카는 자꾸 부정한다.

  하지만 어느 순간 들어 제시카는 자신의 성폭력 피해를 인정한다. 무엇보다 자신이 아프기 때문이다. 독한 술을 마시며 힘든 시간들을 견뎌내고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성폭력 피해자들은 왜 자신의 피해 경험을 부정하는 걸까?

  필자의 친구는 성폭력 피해자다. 17살 때 알바 사장에 의해 성폭력 피해를 겪었다. 그러나 그 사건에 대해 자신도 그 아저씨를 좋아했으며 성폭력이 아니었다고 주장한다. 나의 친구들은 친척 등에 의해 성추행을 겪었다. 그러나 친구들 또한 또한 성추행 경험을 부정하였다. 왜일까?  첫 번째로 그들은 '성폭력 피해자'라는 꼬리표를 거부하고자 한다. 다음 문단에서 설명하겠지만, 성폭력 피해자의 모습은 이러이러할 것이라는 통념이 강한 사회에서 '성폭력 피해자'라는 꼬리표가 너무나 버겁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 가해자가 아는 사람일 경우, 그를 계속 봐야 하기 때문이다. 나의 친구의 경우처럼 가해자가 가까운 가족이라 자주 봐야 할 경우, 자신의 피해 경험을 드러내서 성폭력임을 인정받고 사과받기보다는 그저 자신의 경험을 부정하여 없었던 일로 생각하기를 원한다.

  따라서 성폭력 피해 경험은 시간의 연속선상에서 경합하고 경합한다. 성폭력 피해 당시에는 "이게 뭐지, 내가 잘못 들은 건가" 생각하다 이후에는 성폭력이 아니라 나도 좋아했던 거라고 부정하다가 많은 시간이 지나 자신을 지지해주는 사람을 만났을 때, 또는 가해자를 더 이상 보지 않아도 되었을 때 그것이 성폭력이었다고 인정하게 된다. 만약 성폭력 가해자가 아는 사람이라도 우리 사회가 피해자를 지지하고 가해자를 처벌하는 사회였다면, 피해자는 혼자서 부인하는 시간을 겪지 않아도 됐을 것이다.



성폭력 피해자의 전형은 없다.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성폭력 피해자의 모습은 어떤 모습일까? 트라우마에 힘들어 괴로워하는 모습? 수동적이고 연약한 채 흐느껴 울기만 하는 모습? 그러나 분노하고 진취적인 모습은 없어 위협감은 전혀 없는 그런 모습?

"강간당한 사람 같은 막 그런느낌"

  모두 틀렸다. 성폭력 피해자는 피해 경험 이후에도 잘살기도 하고 못살기도 한다. 흐느껴 울기도 하지만, 분노하기도 한다. 때로 좋은 일이 있을 때 웃기도 한다. 그들이 잘 못살고, 흐느껴 우는 것은 성폭력 통념에 의해 비난받고 부정당하고 낙인찍히기 때문이다. 문제는 성폭력 피해자는 연약하고 슬프기만 할 것이다라는 통념이 성폭력 피해자는 이래야 한다는 통념이 되어 피해자를 압박한다는 것이다. 때로, 연약하고 슬퍼 보이지 않는다는 이유로 성폭력 피해자가 아니지 않냐는 비난을 듣기도 한다. 실제로 성폭력 피해자가 모텔 사장으로부터 성폭력을 목격했다는 증언을 받아오자 수사관은 "내가 강간 피해자를 좀 아는데 너 같은 피해자를 본 적이 없다"라고 말했고 급기야 성폭력 수사를 엎고 무고죄 수사로 바꿔버렸다. 그렇게 그 피해자는 무고죄 가해자가 되어버렸다.


  제시카는 성폭력 피해 경험 이후에도 어떻게든 살아간다. 평소처럼 치어리딩을 하고 노는 친구들과 어울린다. 그런데 조금, 아주 조금 다르다. 일단 제시카는 엄청난 양의 술을 마시면서 자신의 고통을 견뎌낸다. 그리고 무엇보다 자신을 강간했던 브라이스와 어울린다. 그러나 사실 제시카는 이 과정을 통해 성폭력의 유일한 목격자였던 남자친구 저스틴으로부터 자신이 성폭력 당했던 것이 맞다는 자백을 유도한 것이었다.

브라이스와 저스틴.

  가난한 저스틴에게 부잣집 아들인 브라이스는 안식처이자 물주다. 엄마의 새 남자친구가 집에서 자신을 괴롭힐 때마다 찾아갈 수 있는 안식처이며 운동부 준비물을 살 수 없자 척척 사주는 물주다. 그리고 그렇게 브라이스가 퍼준 만큼 저스틴은 브라이스와의 관계에서 발언권을 잃는다. 브라이스는 바로 그것을 노리고 제시카가 술에 취했을 때, '어차피 니 여름 노리개(hooker)가 아니냐'며 성폭력을 시도한다. 제시카와 저스틴은 그날 밤 브라이스에 의해 강간이 이루어진 게 아니라 자신들이 자발적으로 섹스를 한 것이라며 성폭력 피해를 부정한다. 그러나 해나의 테이프를 통해 (제시카가 브라이스에게 성폭력 당하는 것을 목격한 해나가 테이프에 남겼다) 드러내자, 제시카는 저스틴의 자백을 얻기 위해 브라이스와 어울렸던 것이다. 누군가는 이런 제시카의 행동을 이해하지 못하고 그냥 경찰이나 학교에 신고하면 되지 않냐고 물을 수도 있다. 하지만 자신을 강간한 피해자에 대한 처벌 의지보다는 자신이 믿고 사랑했던 남자친구의 성폭력 묵인에 더 화가 날 수 있지 않을까? 또한 가해자가 사법적 처벌을 받도록 신고절차를 받기 전에, 믿었던 남자친구가 자신의 성폭력을 방조했다는 믿을 수 없는 사실을 확인하고 싶지 않았을까? 그리고 그것에 받은 상처를 표현하고 싶지 않았을까?

저스틴은 브라이스가 자신이 힘들 때 챙겨주었다며, 제시카로부터 성폭력을 묵인한 것을 이해받고자 한다. 하지만 정작 상처를 이해받아야 하는 것은 저스틴이 아니라 제시카이다.


여성의 경험을 믿지 않는 사회에서 '신고'는 쉽지 않다.

최근 서지현 검사가 검사 내 성추행 경험을 폭로하고 김지은 비서가 안희정의 성폭력 경험을 폭로하자, 일부 남성들이 보였던 반응은 이것이었다.

경찰에 신고하면 되지 않냐

그러나 여성의 성폭력 피해 경험을 끊임없이 부정하고 여성을 비난하는 사회에서 경찰에 신고함으로써 사법적 처벌을 기다리는 것은 힘든 일이다. 제시카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해나의 모습을 보지 않았어? 여자가 성폭력을 말하려면 경찰과 가족에게 말해야 하지만 아무도 믿어주지 않아" 해나와 제시카가 성폭력 피해 경험을 침묵할 수밖에 없었던 이유를 잘 보여주는 장면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넷플릭스 페미니즘 미드 추천 1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