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레알 Dec 27. 2020

현실을 부정하는 미로 게임

넷플릭스 <버닝> 리뷰 


사람과 사람은 어떻게 만나는가? 영화가 시작되면 우리는 카메라의 불안한 움직임을 따라가고 누군가가 힘겹게 짐을 옮기는 뒷모습을 바라보게 된다. 한쪽 어깨에 짐이 있어서 한쪽 어깨가 기울어진 채 걷는 이의 뒷모습을 따라가면 어수선한 거리를 본다. 건물 정면에서는 가게 오픈 행사에서 흔히 보는 행사 모델들이 마이크를 들고, 거리 풍경에서 도드라진 악센트를 만든다. 우리는 짐 나르는 이의 얼굴을 볼 수 없지만 행사 모델은 그의 주머니에 쪽지를 넣는다. 우리의 궁금증이 증폭한다.      



두 사람은 종수와 해미. 초등학교 동창이다. 해미는 종수를 한 번에 알아봤다. 해미는 누구에게나 스스럼없이 대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녀는 아프리카 여행을 떠났다가 만난 벤을 종수에게 소개한다. 언뜻 보면 러브 트라이앵글처럼 보이는 줄거리이지만, 그러기에는 벤이 종수에게 갖는 관심과 종수가 벤에게 갖는 호기심의 뿌리가 깊다. 우리는 벤과 종수가 서로에게 갖는 호기심의 뿌리를 추적하게 되고, 두 사람의 심리전이 스릴러란 장르를 만들어낸다.   


  

해미는 팬터마임을 배운다. 귤 먹는 걸 표한할 때 귤이 있다고 상상하는 게 아니라 귤이 없다는 걸 잊는 거라고 말한다. 그러면 진짜 입에서 침이 고이고 맛있다고. 벤은 집에 식사하자고 종수와 해미를 초대한다. 벤은 파스타를 만들면서 요리는 요리하는 사람 마음대로 만들 수 있고, 자신이 먹으니 요리는 곧 자신의 제물이라고 말한다. 세 사람은 무척 다른 환경과 성격을 지닌 거 같지만 어떤 면에서는 무척 닮아있기도 하다. 해미가 하는 말을 종수는 모두 믿고, 해미가 느끼는 감정에 대해 모두 진실이라고 생각한다. 벤은 타인의 감정만이 아니라 자신의 감정도 잘 느끼지 못하고, 모든 감정은 놀이일 뿐이라고 말한다. 대마초를 피우고 웃는 건 진짜 웃음이 아닌 것처럼.     



종수는 자신과 너무 다른 사회적 계급의 벤에게 끌리면서도 경계를 품는다. 경계심은 처음에는 해미를 향해 솟아나는 사랑 때문이었지만 나중에 해미는 벤과 종수를 이어주는 메타포일 뿐이었다. 사회, 경제적 계급 분류에서 다른 사다리에 있는 벤과 종수는 심리적, 무의식 계급 분류에서는 소시오패스 자리를 차지할 수도 있겠다.      


모든 미장센은 두 사람이 소시오패스라는 것을 증명하는 단서가 될 수 있다. 하지만 단서란 게 심증과 결합되어서 확증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나는 어느새 종수의 감정선과 심저을 따라간다. 종수가 벤을 소시오패스라고 내심 단정하고 정황을 파악하고 물증을 찾아내려고 하고 미행을 한다. 종수가 이리저리 뛰어다는 걸 보면서 벤에게 들킬까 봐 가슴이 두근두근한다. 사실 벤이 뭘 하고 있는지 관객은 알 수 없다. 그러면서 종수가 왜 벤에게 집착하는지, 종수의 정신적 균열이 서서히, 그리고 희미하게 보이기 시작한다.      



고집 세고 폭력적인 아버지는 폭행으로 재판을 받는 중이고, 어린 시절의 트라우마, 아버지의 폭행에 집을 나간 어머니, 그리고는 이십여 년 만에 만난 어머니가 돈이 필요하다는 말. 종수는 소설을 쓰는데 소설을 쓰는 행위는 해미가 팬터마임을 배우고, 벤이 요리를 하고 이따금 같은 부류의 친구들과 지루한 파티를 하는 것과 같은 맥락일 수 있다. 모두 현실 부정을 위한 자신만의 도피법이다.



영화 내내 사건은 실제로 일어나지 않고, 인물들의 실제 행동과 그 행동을 보여주는 카메라의 시선이 있을 뿐이다. 이 모든 것은 마지막 하나의 큰 사건을 위해 모두 수렴된다. 종수의 계획은 반은 계획적이고 반은 무의식적이다. 무의식이 수면으로 올라와 의식에 있는 계획과 만나면서 영화 내내 만들었던 긴장이 한꺼번에 꽝!하고 폭발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기다림 연극의 결말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