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생과 늦은 시간까지 소주를 마셨다. 올해가 교장 첫 발령이라 왕성한 의욕도 느껴진다. 그런데 기업과는 다른 학교라는 조직에서는 관리자의 리더십을 어떻게 발휘하는지 궁금해졌다. 일단 조직이 기업체와는 다른 특수성이 있어 보인다. 교사라는 직군은 일반 기업체와 달리 개인의 인사 조치에 제약이 많다. 교사 개인에게는 직업적 안정성이지만 관리자에게는 머리 아픈 조건일 수도 있다. 게다가 학창 시절 워낙 공부 잘했던 사람들이라 자존감도 높고 언변과 논리력이 뛰어날 것 같다. 성별로 보면 여성들이 월등히 많은 것도 특이하다. 그냥 인사 평점으로 관리하면 되지 않겠나 싶지만 승진 의욕이 없는 사람들도 꽤 있나 보다. 일반 기업들처럼 경영의 어려움을 들어 구조조정하는 것도 거의 불가능한 수준이다.
동생도 그런 교육계의 특수성을 인정하고 있었다. 여기에 교사들의 세대 차이도 상당한 것 같다. 사범대 졸업 후 100% 교사가 된 91년 이전에 비해 임용시험이라는 허들을 어렵게 넘은 교사들 사이의 간격은 분명 있을 것이다. 게다가 교사의 정년은 만 62세다. 이 때문에 승진 의욕이 없는 나이 든 교사들은 그냥 별 탈 없이 평교사로 정년을 맞으려는 성향이 남아있다.
결국 학교의 기피 업무나 자질구레한 일들은 젊은 교사들에게 몰리는 모양인데 그들에겐 이게 또 불만이다. 관리자는 대체 무엇으로 동기부여를 하는지 궁금했다. 대기업처럼 성과에 대해 보너스를 주는 구조도 아닐 것이고, 그렇다고 좌천이나 해고를 함부로 할 수 없는 조직이라면 흔히들 하는 말로 돈줄과 목줄로 직원을 관리할 수 없다는 말이다.
그렇다면 학교는 왜 필요한가에 대한 궁극적인 질문이 나온다. 대체 학교는 누구를 위한 기관인가? 아니 약간 질문을 뒤틀어 학교의 주인은 누구인가로 해보자. 내가 아는 주인을 알아보는 가장 간단한 방법이 있다. 그것이 사라졌을 때 가장 답답한 사람이 주인이다. 학교라는 제도가 없어진다면 누가 가장 답답할까? 아무리 생각해도 학생보다는 교사들일 것 같다. 교사들에 비해 학생들은 선택지가 많다.
나의 의문에 대해 동생의 답변은 명확했다. 학교는 공부의 비중보다는 공동체에서 함께 살아가는 체험을 하는 것이 더 중요한 곳이라고 했다. 그러면 어느 정도 이해가 된다. 지식은 인강이나 학원, 구글링이나 인공지능에게 물으면 금방 튀어나오지만 공동체에서 조화롭게 살려면 우선 그런 환경이 조성되어야 한다. 동생은 그런 교사들을 관리하는 방법은 결국 상대에 대한 존중과 교직에 대한 사명감을 고취하는 게 핵심이라고 했다. 이제 학교라는 조직도 구성원들이 다양해졌나 보다. 교사도 정규직, 비정규직이 있고 시설관리하는 인원들, 단기 임시직 등 말만 들어도 사회의 작은 축소판 같다.
나도 회사에서 관리직으로 일하며 사람들을 아울러 조직의 목표를 추구해 봤지만 학교라는 조직관리는 정말 쉽지 않겠다는 생각이 든다. 아무것도 않겠다고 작정하면 그만큼 편한 조직도 없다. 오후 4시에 퇴근하고 긴 방학의 여유도 누린다. 평균 연봉은 8,000-9,000만 원 수준이다.(구글 바드 인용). 하지만 교육에 대한 사명감을 지니고 정말 무언가를 하려고 드는 사람에겐 일거리가 참 많은 조직이겠다. 하지만 그런 사명감은 스스로 느끼는 것이기에 강제성이 없다.
학교는 왜 필요할까? 아이들이 공동체 생활을 사전 체험하고 연습하기 위해서. 그러면 학교의 주인은 누구일까? 그것이 사라지면 가장 답답한 사람들, 즉 교사들이다. 19세기 공장 노동자를 대량 공급하기 위해 만들어진 지금의 학교 제도를 21세기에 대체할 만한 대안은 없을까? 아무래도 주인들의 반대가 심할 것 같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