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노콩 Jan 21. 2022

육아의 가치는 '행복'이 아니더라고요.

 결혼하기 전, 결혼한 친구나 선배에게 아이를 키우면 뭐가 좋냐고 물어본 적이 있다. 대부분 ‘행복’이라고 대답했던 것 같다. 육아는 정말 헬(hell)이지만 아이가 웃거나 예쁜 짓을 하면 행복을 느낀다고. 그런데 막상 내가 결혼을 해서 육아를 해보니 꼭 그런 것만은 아니었다. 아이가 예쁜 건 그냥 예쁜 것이고, 내 노동이 힘든 건 그냥 힘든 것이었다. 그 예쁨으로 내 희생과 힘듦이 보상되지 않았다.


 이 말은 아이가 예쁘지 않다는 뜻이 아니다. 혹은 아이를 키우며 행복을 느끼지 않는다는 뜻도 아니다. 나는 우리 아이들이 정말 예쁘다. 아침에 일어나 내복 바람으로 멋진 포즈를 취하며 ‘엄마 나 일어났어.’라는 제스처를 취할 때도 예쁘고, 두 녀석이 머리를 맞대고 간식을 먹고 있을 때 그 모습을 바라보는 것도 행복하다.

 다만 나의 노동, 번뇌, 희생은 행복, 예쁨, 만족감에 얽혀서 손실되고 보상되는 관계가 아니더라는 뜻이다. 두 부류는 서로 별개의 것이었다. 힘든 건 힘든 거고 예쁜 건 예쁜 것이다.


 그렇다면 육아는 그저 고통스럽기만 한 것인가. 가치 없이 나를 깎아 먹는 고된 일인가? ‘아이의 밝은 미래 = 온전한 엄마의 희생’이 성립되는가?


 그 질문에도 나는 ‘아니’라고 답한다. 육아를 하는 사람들과 대화를 나누며 “내가 아이를 키우지 않았다면 이건 정말 몰랐을 거야.”라는 말을 자주 하니까.


 나는 아이를 키우며 ‘사람에 대한 이해’가 깊어졌다. 그 ‘사람’에는 타인도 있고, 우리 아이도 있고, 내 친정 부모나 남편도 있고, 바로 내 자신도 있다. 아이의 행동과 생각을 통해 나는 사람에 대한 통찰을 얻는다. 한 인간의 탄생부터 시작해서 한 해, 두 해 나이 먹어 가며 달라지는 모습을 이렇게 가까이서 지켜볼 수 있는 일이 또 있겠는가. 그래서 나는 육아가 가치 있다고 생각한다. 인간에 대한 관심을, 인생에 대한 생각을 멈추지 않고 계속 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이다.

 

'내면'이라는 키워드로 찾은 pixabay 이미지 (출처: 픽사베이)


 얼마 전 있었던 일인데 첫째와 수학 문제를 풀면서 아이 머리가 과부하 된 적이 있었다. 문제도 어려웠고 양도 많았던 모양이다. 그래서 내가 좀 쉬라고 했더니 아이가 영어 숙제를 하겠다고 했다. 그 머리로는 더 공부해도 공부가 되지 않으니 TV를 보든, 장난감으로 놀든 쉬라고 했지만 아이는 굳이 굳이 영어책을 펼쳤다. 이런 모습이 대견해 보였을까? 나는 안쓰러웠다. ‘왜 이럴까?’ 이해되지 않는 마음이 첫 번째, ‘지금 공부 많이 시켰다고 나한테 반항하나?’ 하는 마음이 두 번째였다. 그런데 아이는 이렇게 대답을 했다.


 “할 게 있으면 마음이 계속 힘들 단 말이야.”


 아! 나는 머리를 한 대 맞은 것 같았다. 이건 내 모습이다. 너무 힘들고 녹초가 되어서 빨리 쉬고 싶은데도 눈앞에 빨랫거리가 보이면 ‘이것만 세탁기에 돌리고’, 설거지거리가 보이면 ‘몇 개 안 되니까 빨리 하고 쉬자.’ 하면서 또 몸을 움직였던, 그래서 완전히 방전이 되어 뻗어버렸던 내 모습 말이다. 회사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사실 조금 쉬거나, 미루거나 해도 되는데 앞으로 진행될 일이 눈앞에 보여서 꾸역꾸역 그 일을 했다. 내 일만 했나? 아무도 안 하는 새로 떨어지는 일도 내 일로 끌고 왔다. 그리고 퇴근을 하면 또 육아에 시달리고. 너무 지쳤다. 몸이 아팠다. 그래서 짜증을 내고 늘 화가 났다. 행복하지 않았다. 먹는 것, 자는 것, 배변, 기초적인 내 생활에도 지장을 받았다. 갑자기 아이의 미래가 보여지는 듯 했다. ‘우리 아이는 그렇게 살면 안 되는데.’ 그럼 그때부터 육아의 고민이 시작된다. 아이에게 소확행을 알려줄까, 느림의 가치를 알려줄까, 그래도 공부해야 할 시기니까 성실한 게 좋은 거라고 말할까, 내가 말한다고 달라지지 않을 텐데 그냥 둘까.


 처음엔 이런 성격도 내 육아 환경 때문인 줄 알았다. 내가 하는 걸 보고 배운 게 아닐까 싶었다. 그런데 우리 둘째를 보면 그런 것도 아니다. 둘째는 ‘나중에 해.’하면 딱 놓고 간다. 미련도 안 둔다. 그러니 육아 환경이 아니라 타고난 성격 탓이다.


 나의 둘째는 나와 정말 다르다. 어떻게 저런 생각을 하지, 왜 저렇게 행동을 하지 이해가 되지 않아 어릴 때는 키우기가 힘들었다. 그런데 지금은 아이한테서 많이 배운다. 내가 제일 취약한 것이 ‘타인’이다. 타인의 말과 평가, 행동에 상처를 자주 받는 편이다. 그리고 그 상황을 자꾸 복기하며 내가 뭘 잘못했나를 몇 번씩 되짚고, 괴로워하고, 또 억울해한다. 하지만 우리 둘째는 심플하다. 다른 사람의 이해하지 못 할 행동이나 말은 그냥 잊어버린다. 모르겠는 타인의 마음을 알려고 애쓰지 않는다. 그냥 내가 좋으면 좋은 것이고 싫으면 싫은 것이다. 심지어 자신을 비난해도 “난 괜찮은데 왜 그런 말을 하지?”라고 생각하는 편이다. 필요 없는 것에 에너지를 쓰지 않는다. 정말 부럽고 배우고 싶은 자세다.


(출처:픽사베이)


 이 모든 것이 아이를 낳아 기르지 않았다면 알지 못 했을 영역이다. 아이를 통해 나와 다른 것을 이해하고, 아이를 통해 나의 깊은 내면을 볼 수 있다. 내가 자란 양육 환경을 짐작하고, 남편의 양육 환경도 예측해 본다. 더 나아가 내 부모의 양육 환경도 어림해 본다. 이것이 타인에 대한 이해이고, 육아에 가치를 느끼는 중요한 부분이다.


 나는 아이 없이 사는 딩크족들을 너무나 이해한다. 그들의 선택이 때론 부럽기도 하다. 하지만 내 삶을 그들과 비교해 낮출 생각은 없다. 혹은 더 좋은 거라고 부추길 마음도 없다. 사람은 다 다르고, 선택도 다르고, 그 안에서 느끼는 것도 다른 것이니까. 다만 육아를 너무 힘들다 생각하지 않았으면 좋겠고, 그것을 가치 없는 허드렛일 정도로 치부하지 않았으면 좋겠다. 육아하는 엄마들을 제발 낮춰보지 않았으면 좋겠다. 그 안에서 가치와 즐거움을 찾는 그들의 삶을 그냥 동등한 시선으로 바라봐줬으면 좋겠다. A는 이렇게 살고, B는 이렇게 살고 그냥 그런 거 말이다.     

매거진의 이전글 엄마는 크리스마스 선물도 혼자 준비한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