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달리 Dec 26. 2021

우리는 얼마나 인간일까

44. 연여름 - 「리시안셔스」(161매)

역사가 기록된 이래로 한 인간이 다른 인간을 합법적으로 소유하고 거래하는 일은 그리 드문 사례가 아니었습니다. 어느 시대, 어느 지역에서나 흔히 있었던 일이지요. 그건 곧 인간의 존재 양식과 그 의미를 선천적으로 규정하는 일이 당대의 윤리규범에 크게 어긋나지 않았다는 뜻이 됩니다. 그것도 수천 년 동안이나요. 이는 분명 보편 인권에 대한 믿음을 기반으로 작동하는 현대 국가의 윤리에 부합하지 않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신분제에 귀속되어 있었던 근대 이전의 인간들과 본질적으로 다른 존재가 되었다고 말할 수 있을까요. 아니면 인간이라는 동일선 상에서 조금씩 진보하고 있다고 말해야 할까요.


이 물음에 어떤 식으로든 답하기 위해서 우리는 인간과 인간성에 대해 먼저 고민해보아야 합니다. 현재의 인간이 과거의 인간보다 '더 인간적'이라는 명제가 성립 가능하다면, 지금의 우리 역시 인간성이라는 스펙트럼 위 어딘가에 놓인 미완의 존재일 수밖에 없지요. 이전의 인간과 지금의 우리 사이를 가로지르는 경계선은 어디에 그어져 있을까요. 우리는 지금 얼마나 인간이고, 미래에 얼마나 더 인간적으로 변해갈 수 있을까요. 「리시안셔스」는 바로 그 점을 찌르는 날카로운 창끝 같은 작품입니다.


「리시안셔스」에서 존재 양식은 '인간'과 '미등록'으로 차갑게 양분됩니다. 둘은 외형적으로 크게 다르지 않아서 독자의 눈에는 같은 인간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이야기 속 세계관에서 '등록'되지 않은 삶들은 인간으로 명명되지 않아요. 인간이 되려면, 단지 같은 종으로 태어나는 것만으론 부족합니다. 향상된 인공 신체를 가지고 150년 간 '요새' 안에서 인류 차원의 계획을 위해 복무할 자격을 갖춘 자로 등록되어야만 하죠. 독자는 낯선 미래 속에서 새롭게 규정된 인간의 정의에 먼저 익숙해져야 합니다.


당연히 이곳에서 통용되는 법과 윤리는 현실의 그것과 같지 않습니다. 인간과 미등록은 삶의 모든 영역에서 철저히 분리되어 있습니다. '요새'는 둘 사이를 단순하고도 효과적인 방식으로 구분 짓는 가시화된 장벽이지요. 인간과 미등록은 모두 자신의 의지로 생명을 자가 종료할 수 있는데, 누릴 수 있는 평균 수명에서는 큰 차이가 납니다. 요새 안의 인간은 150년을 살지만 요새 밖 미등록의 평균 수명은 고작 22년 남짓이죠. 그런 미등록이 운 좋게 가질 수 있는 최고의 지위는 '공생인'입니다. 작중에서는 'A11'이라는 이름의 공생인이 비중 있게 등장하는데, 기본적으로 공생인의 역할은 요새 안에서 인간을 위한 잡무를 처리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미등록이 가질 수 있는 또 하나의 지위가 바로 주인공 '진'에게 허락되는 '반려인'이지요. 반려인의 존재 의미는 우리에게 익숙한 반려동물과 같습니다.


미등록이 공생인이나 반려인이 되어 요새 안으로 편입되었다는 것은 곧 그들이 인간에게 필요한 존재로 거듭났다는 뜻입니다. 태생적으로 주어진 열악한 평균 수명보다 더 오래 살 수 있게 되었다는 뜻이기도 하고요. 이렇듯 이야기는 누군가의 기본권이 타인의 선의에 전적으로 좌우되는 현상을 의도적으로 구축해냅니다. 다시 말해 공생인과 반려인이 갖게 되는 추가 수명은 인간이 지닌 선의의 유효 기간과 같다고 할 수 있는 것이죠. 주목할 점은 공생인과 반려인의 쓸모가 완전히 다르다는 데에 있습니다. 공생인은 반드시 인간 사회에 도움이 되어야 하지만, 반려인은 존재 자체로 의미를 갖습니다. 이 작품에서 인간 '규희'가 반려인 '진'을 대하는 태도는 현실 속 인간이 제 반려동물을 대하는 모습에 그대로 포개어집니다. 그렇다면 주인과 대가 없이 사랑을 주고받는 ―또는 그렇다고 간주되는― 반려인의 시점에서 쓰인 이 이야기가 말하고자 하는 바는 무엇일까요. 바로 여기서부터 이야기는 인간과 반려동물이 공존하는 현실의 은유로 접어듭니다.


규희는 현대의 인간 군상을 폭넓게 아우르는 상징적 인물입니다. (실은 이 이야기에 비중 있게 등장하는 세 인물 모두가 상징적이죠.) 인간은 다른 종에 조건 없는 사랑을 베풀 능력이 있으면서도, 한편으로는 학대와 착취를 일삼는 종차별의 주체이기도 합니다. 규희는 인간의 그러한 양면성을 적나라하게 보여주는 인물이에요. 이야기의 중반까지 규희는 오갈 데 없는 한 반려인을 책임지고 보살피는 선한 인간으로 그려집니다. 하지만 차츰 드러나는 진실은 규희의 선함이 거의 전적으로 인간 중심적 사고에 기대고 있음을 보여주지요. 예컨대 규희를 포함한 이 세계의 인간들은 다음과 같은 질문에 진정성 있게 답할 의지도 능력도 부족해 보입니다.


'만약 당신의 소중한 반려인이 당신과 완전히 동등한 지위를 누리고자 한다면 어떻게 하겠는가.'


* 소설과 리뷰 전문은 아래 링크를 이용해주세요.



소설 - 「리시안셔스」

리뷰 - 「우리는 얼마나 인간일까」


매거진의 이전글 오래된 미래, 오지 않은 미래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