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지금 Nov 08. 2024

이제는 진짜  '나 자신을 알자'  아니 알아가자

자기 객관화의 물동이

'좋다'은 주관적인 단어다. 살아갈수록 더욱 그렇게 느껴진다. 언젠가 A가 B에 대해 '나쁜 사람이야'라고 나에게 말했었는데 막상 만나보니 괜찮은 사람이던 경험이 있다. 반대로 A가 B에 대해 '정말 사람 괜찮더라. 참 좋은 사람이야'라고 말했는데 막상 만나보니 나에게는 별로였던 기억도 있다. '좋다'의 개념은 주관적이다. 그럼에도 우리는 나에게 좋은 것이 너에게도 좋은 것이라고 자연스럽게 생각한다.


주변사람


주변사람의 범주에는 가족도 포함되고, 친구도 포함되고, 지인도 포함되고, 동네주민, 아파트 주민들도 포함된다. 그런데 이 글에서 말하는 주변사람은 조금 더 친밀하게 개인적인 관계를 맺는 사람들을 말한다. 굳이 '좋다'에 대한 생각을 이야기한 이유는 각자에게 좋은 사람은 따로 있기 때문이다. 능력 있고 친절한 사람이 누구에게나 좋은 사람일 것 같지만 열등감을 해소하지 못한 사람에게는 열등감을 자극하는 기폭제가 되기도 한다. 그럼 열등감이 있는 사람은 능력 있고 친절한 사람이랑 친해질 수 없다고 생각하냐고 묻냐면 그건 아니다. 그냥 그 사람의 존재가 지금 나에게는 잠시 해로울 수 있다고 판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나의 경우 그랬다. 이런 상황에 내가 가장 빨리 중심을 잡을 수 있는 방법은 '내가 지금 열등감이 있구나' 하고 알아차리는 것이었다. 그래서 볼 때마다 불편한 그 사람과 잠시 거리를 두었다. 그리고 불편한 감정은 '나의 것'이라고 스스로에게 알려주었다. 내 열등감을 그 사람에게 투사하기 싫었던 이유는 '타산지석'의 효과다. A가 B에게 자신의 마음을 투사해서 B를 나쁘게 몰아가는 걸 질리게 보았다. 직장이라는 공간이 그렇다. 보기 싫은 걸 계속 봐야 한다. 그걸 오래도록 보고 나니 무서워졌다. 닮아갈까 봐. 그래서 경계한다. 그런 마음은 연기처럼 스며들어서 어느 순간 내 마음에 자리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이다.


자기 객관화는 아프다


그러나 '내가 지금 열등감을 느끼고 있구나'라고 생각하는 자기 객관화는 아프다. 아픈 이유는 받아들이는 상태가 영원할 것 같다고 생각해서라고 생각한다. 그런데 상태는 늘 변한다. 나는 자기 객관화로 나의 오류를 발견하는 순간이 그 상태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순간이라고 생각한다. 그래서 내가 모르는 부족한 나를 발견하는 것이 즐겁고 반갑다. 지난 시간 동안 독서를 하고 그것을 적용하면서 실험과 연습을 많이 했다. 내 마음을 실험하며 느낀 것 중 하나는 직면하는 순간 해결되는 문제들도 많다는 것이다. '내가 이런 생각을 하는 사람이었구나!'라고 자각하는 동시에 그 문제에서 빠져나오는 경험을 했다. 입에 쓴 약이 몸에 좋은 것처럼 자기 객관화는 쓰지만 나에게 도움이 된다. 자기를 판단하는 형벌 같지만 내가 차고 있는 마음의 족쇄를 풀어주는 열쇠다. 그래서 자기 객관화를 하려고 노력하면서 처음에는 아팠지만 나중에는 오히려 자유로워졌다.


자가진단문답법의 오류


자가진단문답법은 조금의 오류를 동반한다고 생각한다. 자신이 생각하는 자기인데 사람마다 자기 객관화의 능력이 다 다르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자기 객관화의 물동이를 가득 채우기 위해서는 자기 자신을 관찰하되 그 관찰한 내용을 내 '주변사람'에게 피드백받야 생각한다. 자기 객관화의 방법에 대해서는 아주 개인적인 경험을 이야기해보려고 한다.


나는 엉뚱한 면이 있어서 실제로 주변사람들에게 나에 대해 자주 물어보았다. 친구들과의 단톡에 뜬금없이 나에 대한 이미지를 투표하기도 했다. 예를 들어 나 김보람은 1. 주관적이다. 2. 객관적이다. 두 문항을 적어놓고 친구들이 투표를 하도록 했다. 워낙 엉뚱하니 친구들도 그러려니 하며 투표를 해주었다. 여행 가서 친구들끼리 롤링페이퍼에 각자 이름을 적고 객관적으로 느껴지는 이 친구의 성격과 하고 싶은 말을 적는 이벤트도 진행했다. 친구들과 지낸 지 약 7년 정도되었으니 이런 객관화가 각자 사회생활할 때 도움이 될 거라는 취지에서 진행했다. 물론 나 자신이 궁금해서 시작된 이벤트이기도 하다. 친구들은 황당해하면서도 정성스럽게 이벤트에 참여해주었다. 이 과정은 나에게 꽤 도움이 되었다. 그래서 자기 객관화를 해봐야겠다고 생각한다면 스스로에 대해 성찰한 후에는 주변사람들에게 자신이 성찰한 내용을 되물어보라고 권하고 싶다. 단, 스스로 부정적인 피드백을 잘 수용하는 사람인지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 만약 지금의 내가 부정적인 피드백을 수용하기 어려운 사람이라면 따뜻한 시선의 물동이를 가득 채우고 시도 해보길 바란다.


나는 주변사람들에게 나에 대해 물어보는 방법으로 '내 행동의 의도'와 '타인이 받아들이는 의도'의 간극을 관찰했다. 표현이 서툰 20대 시절에는 내 의도와 표현이 일치되지 않는 경험이 종종 있었기 때문이다. 사람관계에서 종종 일어나는 이런 오해는 상대의 몫일 때도 있지만 내 몫일 때도 있다. 그래서 내 생각 50%, 주변사람의 생각 50% 로 반영하며 스스로에 대해 성찰했다. 왜 이렇게까지 하냐고 묻는다면 잘 모르겠다. 그냥 하고 싶어서 했다. 인터넷에 보면 하워드 가드너의 다중지능검사를 무료로 해볼 수 있다. 그 검사를 할 때마다 가장 높은 지능이 '자기 성찰지능'으로 나왔다. 이상하게 들릴지 모르겠지만 나는 자기 성찰이 즐거운 사람이다. 나를 알아가는 것은 새로운 분야를 알아가는 것 못지않게 흥미롭다. 누군가는 자신을 반성할 시간에 앞으로 나아가라고 말한다. 어떤 면에서는 맞지만, 나에게는 틀린 말이다. 어떤 좋은 말이든 내 안에 자연스럽게 스며드는 것은 받아들이고 아니면 흘려보내면 된다. 나의 경우, 반성을 통해 나를 개선해 나가는 것이 마음공부의 가장 빠른 지름길이었다.


자기 객관화가 중요한 이유


자기 객관화를 위한 노력은 오히려 나를 편안하게 만들어주었다. 여기서 더 중요한 건 나와 함께하는 사람들 또한 편안해졌다는 것이다. 내가 아무리 행복한 상태라도 나와 함께하는 사람들이 불행하다면 나는 그것을 불행이라고 정의한다. 주관적이고 감정적이던 내가, 마음을 스스로 돌아보고 공부하며 컨트롤 할 수 있게된 것도 자기객관화 덕분이다. 난 요즘 내 감정을 남편에게 강요하지 않는다. 남편은 나의 이 변화를 가장 가까이서 지켜본 사람이다. 그리고 가장 먼저 인정해 준 사람이기도 하다. 자기객관화가 되지  않은 사람은 자신이 떼를 부리고 있다는 걸 인지하지 못한다. 자기 객관화가 되지 않은 사람은 자꾸 자신의 결점을 옆 사람에게 전가한다. 자주 보는 가족에게도 마찬가지다. 그래서 상대를 불행하게 만든다. 자연스럽게 타고난 천성이나 습관을 '의도가 있는 나쁜 행동'으로 정의하기도 한다. 자신의 렌즈가 삐뚤어진 것을 인식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자신이 어떤 해석을 하는지,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를 관찰한다면 상대의 의도를 상상하는 일은 줄어든다. 예를 들어 "내는 경험하지 못한 부분에 대한 이해도가 부족하니 상대가 하는 말이 지금  불편하게 느껴지는구나"를 알면 대화가 조금은 편해진다. 그러면 상대에게 화내는 대신 이렇게 말할 수 있다. "나는 이런 부분이 조금 불편하게 느껴지거든. 조금 더 설명해줘"라고 말이다. 이렇게 말할 때 진짜 대화가 시작된다.


또 자기 객관화 과정을 통해 스스로의 부족한 점을 알고 나면 상대의 부족한 점을 쉽게 지적하기 어렵게 된다. 알고보면 상대의 모든 실수가 내가 했던 실수였기 때문이다. 그래서 상대의 실수를 보아도 웬만하면 넘어간다. 나는 이것을 남편과 살면서 느꼈다. 서로 다른 사람이 만나 같이 살다 보면 남편의 요모조모가 마음에 들지 않을 때가 있다. 남편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럴 때마다 '나도 이럴 때가 있겠지' 생각하며 웬만한 건 그냥 넘기려 한다. 그러나 천성이 마음이 넓은 편은 아니라서 10번을 참고 나면 10번째에 내가 어떤 걸 그냥 넘어갔는지 조목조목 설명해준다. (10번정도 참았다며..) 남편도 그 설명을 듣고 나면 나의 잔소리를 이해해 주는 효과도 있다. 10번 참았다가 이야기를 한 것이기 때문이다.


사회화된 T


'사회화된 T'라는 용어가 있다. 나는 이 말이 딱 나를 설명하는 단어라는 생각이 들었다. 다른 사람의 부정적인 피드백을 두려워하고, 내 감정에 공감해주지 않으면 섭섭해하던 나였다. 그러나 사회생활을 하면서 사회의 차가움을 배우고 (물론 따뜻함도 공존했다) 스스로를 보려고 노력하니 길러지는 게 T력(力)이었다. 자기 객관화를 하기 위해 노력한 것을 돌이켜보니 태생이 F인 사람이 T가 되기 위해 노력한 것이었다. 이것이 MBTI의 활용법이라 생각한다. 내가 어디로 치우쳤는지를 진단해 보고 반대성향을 조금 더 계발해 나가는 것 말이다. 그래서 남편과 지금까지 평화롭게 산다. 가끔 개그로 서로의 열등감을 개그로 삼을 정도로 나의 부족한 점, 허점에 대해 알아가는 것이 힘들지는 않다. (다른 사람과는 하기 힘든, 부부 만의 개그다)


자기 객관화의 물동이


가정은 독재가 가능한 공간이다. 그래서 아이가 어릴수록 부모가 정한 것이 답이 되는 공간이다. 엄마가 스스로 파워 J라는 것을 깊게 인식하지 않으면 아이가 P성향일 때 아이가 틀린 사람이 된다. 자신이 J라는 것을 머리로 알면 '제가 J인데 아이가 P라서 힘들어요'라고 말한다. 그러나 내가 J라는 것을 깊게 인식하고 마음으로 성찰한 사람은 자신의 성향이 아이를 판단하는데 쓰이지 않도록 조심한다. 불쑥불쑥 자연스럽게 말이 튀어나오더라도 금세 알아차리고 그 후에 두세 번은 또 참아본다. 자기 객관화의 물동이를 채워나가면 스스로 노력해야 더 마음이 편안해진다. 내 판단으로 아이의 마음에 상처를 주고난 후에 엄마의 마음이 훨씬 아프다는 걸 느껴보았기 때문이다. 사실 엄마라서 해야 할 게 많은 건 피곤한 일이다. 낳고 기르는 것도 힘든 일이었는데 이것저것 이유를 붙여 성장하라고 하는 건 정말 매몰찬 일이다. 그럴 때는 나를 인정하고 이해해 주는 물동이, 따뜻한 시선의 물동이를 더 채워줘야 한다. 이럴 땐 아이를 먹이고, 씻기고, 재우는 일만으로도 벅차다.


그런데 정말 재미있는 건, 많은 전문가들이 아이는 아이대로 잘 자란다고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문제는 엄마가 자주, 많이 개입해서 아이가 잘 자라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고 한다. 그런 의미에서 본다면 부모가 무언갈 더 하려는 마음을 누르는 것, 잔소리를 줄이는 것,  나의 에고를 극복하는 것이 아이를 잘 키우는 방법인지도 모른다. 이 것을 하기 위해 채워야 하는 것이 자기 객관화의 물동이다. 자기 객관화의 물동이에 물이 찰박찰박 차면 결국에는 나도, 아이도 자유로워진다.


나도 노력하지만.. 한참 멀었긴 하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