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생각공장 Feb 21. 2018

<리틀 포레스트>를 실존주의 동화로 감상하기

그 숲의 향과 색이 그리운 바람은 다시 돌아올 수 있을까?






남들이 사는 대로


주인공 혜원은 남들처럼 학교를 마치고 공무원 시험을 준비한다. 아르바이트하면서, 힘겨운 도시 생활을 해 나간다. 그러다 팍팍해진 삶을 정리하고 시골로 돌아온다. 친구들이 남아 있는 고향에 돌아온 혜원은 스스로 기른 재료로 요리를 해 먹으며 여러 계절을 난다. 또래의 사람들이 거쳐가는 경로에서 잠시 벗어나 자신의 삶과 여러 욕망에 관해 생각할 시간을 갖게 된다. 혜원은 시골 살이를 통해 자신이 살아온, 그리고 앞으로 살아갈, 그 정해진 것 같은 인생의 경로가 자신에게도 맞는지, 자신을 행복하게 할 것인지를 묻는다. <리틀 포레스트>는 영화 내내 등장하는 제철 요리와 시골 풍경을 배경으로 주인공의 이런 실존적 고민을 잘 담아냈다. 주인공 혜원과 같이 이런 실존적인 고민을 하지 못한 채 하루하루를 힘겹게 살아내는 수많은 이들에게 내가 쓴 동화를 말해주고 싶다. 아래 쓴 동화로 이 영화가 전하려는 메시지를 표현해 봤다. 그리고 이 이야기로 내 영화 리뷰를 대신하겠다.


어느 숲에 아카시아, 밤나무, 소나무, 느티나무, 사과나무, 감나무, 참나무, 배나무, 벚나무가 살았다. 다들 햇빛, 흙, 물, 공기로 생명을 얻어 자기만의 색깔과 모양으로 자신을 맘껏 드러냈다. 햇빛, 흙, 물, 공기, 그리고 친구의 영혼이 함께 연출한 대로 자기 때에 맞춰 숲에 나타나, 싹, 잎, 꽃, 열매를 맺다 다시 흙으로 돌아갔다. 아카시아는 밤나무를 부러워하지 않았고, 사과나무는 벚나무가 되려 하지 않았다. 물론 소나무도 벚나무처럼 꽃을 피우려 애쓰지 않는다. 다들 자기만의 모양과 색, 열매 그리고 향기를 갖고 살았다. 그래서 모든 나무가 행복했고, 행복한 나무가 모인 그 숲도 다채로운 색과 향기로 가득했다.




어느 순간 콘크리트가 이 숲이 있던 곳을 덮어버렸다. 이어 천둥과 같은 굉음이 울리고, 먼지가 날리더니 길을 따라 가지런히 가로수가 늘어서게 되었다. 그러자 가로수 옆 화단으로 아카시아를 시작으로, 은행나무, 느티나무 등이 자리 잡았다. 콘크리트가 숲을 덮는 순간 모든 나무는 마치 '가로수처럼 살아!'란 명령을 받은 것처럼, 가로수를 닮기 위해 앞다투어 노력했다. 그러자 마지막까지 버티던 소나무, 참나무도 바뀐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가로수처럼 살기로 마지못해 결심했다. 어쩔 수 없었다. 그럴 수밖에 없었던 것은 콘크리트가 흙을 덮으면서 가로수처럼 사는 것이 생존에 유리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나머지 나무도 같은 생각을 했었는지 이런 대세에 합류했다. 자기를 잃어가는 것 같아 불편했지만 다들 이렇게 사는 게 최선이라고 말해 다수를 따르기로 선택했다. 아카시아가 가장 빠르게 가로수를 닮아갔다. 그래서 예전처럼 여름에 꽃을 피울 수 있었다. 예전에 숲을 가득 채웠던 그 향은 결코 아니었다. 하지만 이걸 본 밤나무 사과나무도 마치 경쟁하듯 가로수를 닮아갔다. 벚나무와 감나무도 늦었지만, 뼈를 깎는 노력으로 콘크리트 생활에 적응해 갔다. 하지만 느티나무는 흙을 잊지 못해 콘크리트 위에서 말라죽었다. 다들 안타까웠지만 살아남는 것이 최우선 과제였기에 돌아볼 겨를이 없었다.



그리고 봄, 여름, 가을, 겨울이 한 번 지나갔다. 모두 이제 그럭저럭 새로운 환경에 익숙해졌다. 두 해가 더 지나자 모두 숲을 잊고 콘크리트 위가 마치 자기들의 고향인 것처럼 느끼며 살게 되었다. 아카시아, 밤나무, 소나무 모두 가로수처럼 사는 데 익숙해졌고, 나머지는 힘겹게 콘크리트 위에서 버텨내고 있었다. 모두 다채롭고 향기로웠던 숲을 잊을 무렵 몇 해 전에 숲에서 쉬어갔던 바람이 다시 찾아왔다. 바람은 숲이 콘크리트가 된 것을 보고 깜짝 놀랐다. 바람은 모두 가로수처럼 행세하는 숲의 친구들을 보고 더 깜짝 놀랐다. 한동안 바람은 말이 없이 있다가 아카시아에 인사했다. 아카시아에 넌 가로수가 아니고 여름에 달콤한 꽃을 피우는 아카시아라고 말해 주었다. 바람은 도로 옆에서 만나는 친구마다 가로수가 아니고 밤나무, 소나무, 벚나무라고 말해주었다. 바람은 모두에게 너만의 시간에 맞게, 너의 색깔과 모양으로 살았던 그때가 아름다웠다고 말했다. 하지만 대부분 바람의 말을 믿지 않았고, 일부만 진정한 자기를 가까스로 기억해냈다. 하지만 자기를 발견한 나무들도 과거의 자신으로 돌아가는 것이 두려웠다. 그래서 아카시아와 밤나무는 이내 포기하고 믿지 않았던 사과나무처럼 계속 가로수로 살기로 선택했다. 감나무와 벚나무도 예전처럼 열매와 꽃을 뽐내며 자신을 드러내는 것이 행복하다는 걸 알았지만 가로수처럼 사는 게 익숙하고 편했기에 본래의 자신을 감추거나 묻은 채 살기로 했다.






바람은 모두에게 '너는 가로수가 아냐, 너 본래의 모양과 색깔, 꽃, 열매를 맺으며 너답게 살아!'라고 얘기했지만 외면당했다. 자신을 잃어버린 채 환경이 강요한 대로 사는 옛 친구를 보며 바람은 슬프게 울었다. 숲에서 살던 원래 자신을 찾는 데에 어렵고 용기 있는 선택이 필요하단 걸 이해하지만, 바람은 그래도 슬펐다. 바람은 참 많은 색깔과 향을 한때 가졌던 그 숲을 떠나려 한다. 바람마저 떠나면 모두가 자신을 잊은 채 콘크리트 위에서 살아갈 텐데. 그래도 이제 떠날 때가 되었다. 이젠 바람이 다시 돌아 올 숲마저 사라져 버린 거다.          



<리틀 포레스트>는 힐링이 필요한 사람들이 보면 좋을 거 같다. 특히, ‘될 필요도 없는 사람이 되려다, 어쩌면 될 수도 없는 사람’이 되기 위해 애쓰다 지친 사람들에게 이 영화를 권하고 싶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