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엔틸드 Aug 23. 2020

우리 사이에 (among us)
무엇이 있나요?

인싸와 아싸 그리고 절대적 환대

Innersloth 게임사에서 개발한 마피아 게임, among us




얼마 전 유튜브에서 우연히 한 영상을 발견했습니다. 은 요즘 핫하다는 인싸 게임 among us 플레이 영상이었습니다. 재밌겠다 싶어 주변 사람들을 꼬드겨볼까 궁리하던 차, 마침 이 게임을 같이 해보지 않겠냐는 제안에 선뜻 응하고는 시간 가는 줄 모르고 재밌게 게임을 했습니다. 많게는 7~8명, 적게는 5명이 참여해 마피아 게임의 마피아인 임포스터를 색출해냈죠.


게임을 마치고 함께 플레이한 사람들과 여담을 잠깐 나누었는데, 그 중 한 분이 이런 말을 했습니다.


"사람이 많아야 할 수 있어서 인싸겜이라고 불린대요."




인싸와 아싸는 짧게 반짝였다 사라지는 유행어들 사이에서도 년째 사라지지 않는 유행어입니다.

인사이더 Insider 와 아웃사이더 Outsider라는 영어 단어에서 파생된 인싸와 아싸는 말 그대로 "안에 속한 자", "바깥에 있는 자"를 뜻합니다.


생각해보면, 90년대만 하더라도 "아웃사이더"라는 제목의 노래가 있을 정도로 아웃사이더임을 자처하는 것이 하나의 "멋"으로 여겨졌습니다. 모두가 주류적이고 평범한 삶, 공부하고 대학을 졸업한 뒤 회사에 들어가 결혼을 하고 출산과 양육을 거쳐 편안한 노후를 준비하는, 지금도 여전히 유니콘처럼 사람들 마음 어딘가에 박혀 자리잡고 있는 환상을 좇을 때, 그런 삶을 과감히 포기하고 내 멋대로 살겠다는 선언은 그 자체로 한국 사회에서 센세이션이었고 "간지"였습니다. 그런데 그로부터 20여년이 지난 한국 사회의 구성원들은 다시금 인싸가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인싸/아싸의 구분짓기에 열중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오늘 among us를 플레이한 후 "인싸겜"이라는 단어를 만나고는 말할 수 없는 어색함과 어떤 깨달음을 얻었습니다. 왜냐하면 저는 "인싸"라는 말과 어울리지 않는 사람인데, "인싸겜을 하는 사람"이 되었기 때문이죠.


학창시절에는 키도 작고 허약해보이는데다 내성적이어서, 대학시절에는 술도 안먹고 누구와 어울려 지내길 좋아하지 않아서 늘 수업이나 듣고 책이나 읽다가 소수의 친한 친구들만 사귀던 아싸의 전형이 바로 저였습니다. 점점 그것과는 반대 성향이 개발되며 어느 정도 균형을 잡기는 했지만, 그 이후에도 인생의 경로는 늘 아싸인 사람이었습니다. 쉽게 말해 "인스타 갬성"과는 거리가 먼 삶을 살았죠.


그런 제가, 같이 among us를 할 수 있는 사람들이 있다는 이유 하나만으로 인싸로 분류되는 느낌을 받으니, 그 인싸와 아싸라는 게 담고 있는 내용이 무엇인지 문득 궁금해졌습니다. 근데 아무리 생각해도, 학창시절 교과서로 배우고 몸으로 체험했던 "또래집단의 구성원"이라는 설명 밖에는 떠오르는 게 없었습니다.


무엇이 유행을 하든, 어떤 스타일이 힙하든, 중요한 건 "그렇다더라"는 어떤 것을 그대로 복제하고 수행함으로써 "안"에 속하는 것입니다. 그러면 경계 안의 사람으로서, 시민으로서, 국민으로서, 사람으로서 인정을 받고 상호작용할 수 있습니다. 인류역사를 간단하게 요약하자면 아마 이러한 안과 밖의 끊임없는 직조와 변주의 연속일 것입니다.


그런데 우리는 보통, "인싸가 되는 것"에 몰두한 나머지 그것을 만드는 "또래집단"이 얼마나 다양할 수 있는지를 잊고 지나칩니다. 제가 아무리 아싸라 해도, 흔히 말하듯 "아싸 속의 인싸"일 수도 있고, "인싸 속의 아싸"가 될 수도 있습니다. 남자와 여자, 20대와 30대, 장애와 비장애, 취미, 거주지, 직업 등 우리는 잠재적 "또래집단"의 엉킨 실타래 속을 헤엄치지만 정작 그 사실을 알지 못합니다.


우리를 괴롭히는 착시는 여기에서 비롯됩니다. 우리가 들어갈 (Inside) 수 있는 집단을, 우리 스스로 만들 수 있음에도, 변치 않을 어딘가를 찾아 쉬지 않고 길을 떠납니다. 목이 말라 쓰러지기 전 눈 앞에 아른거리는 오아시스를 향해 남은 힘을 다해 달리지만, 결국 그것이 신기루임을 깨닫고 눈을 감으면, 그 모든 것이 꿈이었으며 결국 진정한 길은 내 안에서 시작됨을 알게 됩니다. 내가 좋아하는 것과 나를 행복하게 하는 것을 똑같이 즐기는 누군가를 발견하고, 그들과 관계를 맺어 상호작용하며 서로에게 들어가는 (Inside) 사건은 관계망으로 넘실대는 듯 하지만 정작 내가 접속할 수 있는 지점을 찾지 못하는 이들에게 한 줄기 깨달음이 됩니다.




그런데 이러한 '들어가기'가 건강하고 즐겁기 위해서는 한 가지 전제조건이 있습니다. 인류학자 김현경은 자신의 책 <사람, 장소, 환대>에서 그것을 '절대적 환대'라고 명명합니다. 절대적 환대는, 그 사람이 누구이든 이 지구상 어딘가, 사람 사이 어딘가에 그를 위한 장소를 남기는 것이며 그의 존재를 알아주고 포기하지 않는 것입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사람을 사람 그 자체로 대하는 것이죠.


"건강하고 즐거운 인싸됨"이란 게 있다면, 저는 이런 게 아닐까 생각합니다. 여러분이 자신의 욕구와 행복을 위한 조건들을 잘 파악하여 그것을 충족하고 서로 나눌만한 모임을 만들었다고 칩시다. 그런데 그 안에서 당신처럼 안정감과 소속감을 느낀 한 사람이 자신의 비이성애적인 성적 지향을 커밍아웃 했다고 하면, 당신은 어떤 반응을 보이겠습니까? 커밍 아웃 이후에도, 그것과 상관없이 그 사람은 이전처럼 당신의 즐거움과 행복을 돕고 함께 나눌 수 있는 '사람'인가요? 아니면 뭔가 계속 신경쓰이지만 그런 당신의 마음을 드러내고 싶지는 않은 '특별한 인간'인가요?




우리에게 먼저 필요한 건 인싸와 아싸라는 기준점은 늘 바뀔 수 있기에 어느 한 쪽을 좇는 건 어리석은 일이라는 자각일 겁니다. 인싸와 아싸라는 경계를 잘 이용해보려는 건 파도가 들락이는 백사장에 지워지지 않을 선을 긋는 일만큼이나 힘이 빠지는 노력입니다. 인싸와 아싸가 아니라 내가 원하는 것, 내가 행복할 수 있는 것에 집중하며 울타리를 만들었다면 그 안의 구성원들을 사람으로 인정하는 것, 사회적 성원권을 부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내가 만든 이 울타리 또한 언제든 그 모양과 크기가 변할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하고 울타리를 드나드는 모든 사람들을 '절대적으로 환대'할 때, 그 울타리가 튼튼할 수 있습니다. 그럴 수만 있다면, 너와 나 우리 모두에게 인싸와 아싸라는 이름표를 떼었다 붙였다 하는 수고는 더 이상 필요없어질지도 모릅니다. 자, 나와 당신, 우리 사이에는 among us 무엇이 있나요? 적어도 인싸와 아싸라는 표식은 이제는 없어졌으면 좋겠습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우리는 서로의 방패가 될 수 있을까?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