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오세일 Mar 27. 2023

가난은 견딜 수 있지만,

사람 이야기


2011년 3월 11일 일본 혼슈의 북동쪽 해안에서 9.0의 강진이 발생해 쓰나미가 일본 해안지역을 휩쓸었지요. 24,500여 명이 사망 또는 실종됐고,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의 방사능이 유출되는 피해가 발생했습니다. 이웃 나라의 불행에 우리는 구원(舊怨)을 잠시 덮고 국가적 차원의 모금운동을 했지요. 이렇게까지 할 필요가 있을까 싶을 정도의 참여와 모금이 이어졌습니다. 어려운 누군가를 도왔을 때 느끼는 그 훈훈한 감정이 채 가시기도 전에 일본은 또다시 독도를 도발했습니다. 온 국민이 뒤통수를 세게 맞은 기분이었지요. 그때 깨달은 것, “민족성, 절대 안 변한다!” 그리고 “‘왜’란 참 모진 족속이다!”


가난할지라도 자존심은 지키며 살고 싶습니다. 생각이 다를 수 있다는 것 인정합니다. 국익이 최선이라 생각할 수 있습니다. 게다가 대통령이라면 그럴 수 있습니다. 그런데 정말 궁금한 게 있습니다. 국가 자존심을 포기하면서 회복한 한일관계가 정말 국익을 보장하기는 하는 건가요?


평생 검사였던 대통령은 대선 과정에서 평균 이하의 지적 능력을 보였습니다. 검사라는 울타리에 갇혀 산 세월 탓인지 일반 국민에겐 일상적인, 사회적 이해력이 결여돼 있었습니다. 그런 이유로 일본에 대한 굴욕적 외교가 치밀한 전략적 판단에서 비롯된 것이 아니라 대통령이 갖고 있는 선호도의 표출이 아닌가 의심됩니다.


다수의 국민감정에 반해 개인의 신념을 강행할 권한이 대통령에게 있나요? 적어도 국민을 설득해 동의를 구하는 절차가 선행되어야 하는 것 아닐까요? 가난한 대한민국의 국민일 수는 있어도 굴욕적인 나라의 국민이고 싶지는 않습니다.

작가의 이전글 캠프를 보면 후보가 보인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