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프리츠 Oct 22. 2023

‘성숙’의 의미

성숙은 다른 사람과의 관계 속에 있다

성숙이란 모든 사람에게 그들이 받을 만한 것을 받을 만한 때에 주는 능력이라고 표현할 수도 있겠다. 또 자신에게 속하고 또 거기서 끝내야 할 감정과 나중에 나타난 죄 없는 사람이 아니라 감정을 촉발시킨 사람에게 즉시 표현해야 할 감정을 구분하는 능력이라고 말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우리는 성숙하게 굴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p. 169)


알랭 드 보통의 글은 이런 점이 좋다. 내가 어렴풋이 갖고 있던 개념을 명확한 언어로 표현을 해준다는 점 말이다.


만 4세의 아들을 키우면서 답답하게 되는 순간이 한두 번이 아니다. 다행인 것은 그런 순간이 점점 같은 패턴을 보인다는 점인데, 위의 '성숙'의 의미에서 아직 성숙하지 못한 어린이의 특성을 드러낼 때가 그 순간이다. 쉬운 표현으로 '떼를 쓴다'라고 표현하는 바로 그것이다.


유치원 하원을 한 뒤 집에서 저녁 먹기 전까지 그렇게 피곤하고 졸린가 보다. 온갖 떼를 쓰게 되는데 놀아주지 않아서, 뭐 안 해줘서, 지금 이걸 엄마아빠가 해줬으면 좋겠는데 안 해줘서, 지금은 다른 걸 해야 하고 저녁 먹고 나서 하자고 해도 막무가내로 울어 젖히고 엄마아빠를 그렇게 비난해 댄다. 도통 말이 통하지 않는 단계에 이르는 것이다. 그리고 맘에 들지 않는다고 손에 쥔 장난감을 던지기도 하고, 아빠를 주먹으로 톡 때리기도 한다.


처음에는 울고 불고 하면 못내 져주면서 아이의 욕구를 채워주기도 했지만, 이제는 조금 더 '성숙'해질 필요가 있다고 생각해서 울어도 말 들어주지 않을 거라고 말하며 무대응으로 일관해보고 있다. 그리고 실제로 효과를 보고 있는 중이다. 물론 그 울음을 그치는 시간까지 참을 인자를 열 번도 넘게 써야 하는 인내심은 필수지만.


아들은 아직 어린이이므로 성숙하지 못한 것이 합당하다. 자기가 졸리다는 것을 쉽게 인정하지 못하고, 또 자기가 졸려서 나빠진 기분("자신에게 속하고 또 거기서 끝내야 할 감정")이 든다고 해서 엄마아빠에게 떼쓸 게 아니라("나중에 나타난 죄 없는 사람이 아니라")는 것을 알지 못한다. 자기가 기분이 나쁜 것을 아빠 탓으로 돌리는 것은 부당하다는 것도 아직 잘 이해하지 못한다. 그냥 졸리면 조금 쉬든지, 잠을 깨기 위해 스스로 노력해 보면 될 일이다.


회사에 보면 가끔 어린이들이 보인다. 나이만 든 '어린이'다. 앞서 쓴 글 <키보드 소리의 법칙>의 듣기 싫은 소리 주인들도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스스로는 남들보다 더 중요한 업무를 맡고 있기 때문에 뛰어나며 회사 생활의 돌아가는 상황을 더 잘 파악하는, 그래서 소위 회사 생활 잘하고, 일 잘한다고 생각하며 성숙한 직장인이라고 느낄 게 분명하다.


하지만 알랭 드 보통이 정의해 준 '성숙'은 혼자만 스스로를 잘났다고 생각해서 얻어지는 타이틀이 아니다. 타인과의 관계에서 어떻게 행동하느냐가 핵심인 개념이다. 자기 일이 바쁘고 힘들면 자기 혼자 풀고, 또 합당한 방식으로 표출(상급자와 면담, 스트레스 해소를 위한 취미 활동 등)을 하면 되는 것이다. 굳이 남들도 알아 달라는 식으로 티 낼 필요가 없다. "자신에게 속하고 또 거기서 끝내야 할 감정과 나중에 나타난 죄 없는 사람"에게 표출하는 미성숙의 형태이기 때문이다.


그러고 보면 성숙이라는 단어보다 더 익숙한 단어들이 있다. 매너, 예의 같은 것들. 어른으로서 조금 더 매너 있고, 예의 있게 자기의 선을 지켜가며 회사 생활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성숙한 직장인이 되는 방법이 아닌가 한다. 물론 나도 계속 노력 중이다.



* 참고 문헌

알랭 드 보통, 왜 나는 너를 사랑하는가 (정영목 역, 도서출판 청미래, 2007)



매거진의 이전글 직장인의 본질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