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선량 Feb 01. 2021

[단편소설] 복권 파는 집

1. 복권 가게의 복희

복권이가 나와 함께 살 게 된 건 순전히 우연이었다. 하늘 아래 우연은 없다고 믿는 나지만, 우연이라고 밖에 할 말이 없다. 필연이 되려면 필연을 성립할 수 있는 전제 조건이 필요하다. 하다못해 한 다리 건너 아는 사이라던지, 알고 보니 같은 학교 출신이라든지. 그것도 아니면 같은 동네 사람이라든지. 하지만 그런 사소한 것조차 하나도 해당되지 않았다. 아, 지금 언급하고 있는 건 복권이에 관한 말이 아니다. 그러니까, 정확히 말하자면 복권이의 부계 쪽 주인이라고 해야 할 것 같다. 그냥 복권이 할아버지라고 해야겠다. 

할아버지라고 하니 그가 마치 나이가 많은 노인처럼 들리지만, 외모만 봐서는 30대 중반처럼 보였다. 정확한 나이를 물어본 건 아니라서 그것도 정확하지 않았다. 40대이면서 동안인 사람도 있고, 결혼했지만 동안인 사람도 있으니까. 풍성한 머리숱과 늘씬한 배는 열 살은 족히 어려 보이게 만든다. 반대로 빈약한 머리숱과 불룩 튀어나온 배는 열 살은 족히 늙어 보이기도….



사실 그 가게는 엄마가 소일 삼아 운영하던 작은 복권 가게였다. 아빠가 살아계실 때는 편의점까지는 아니더라도 가게 다운 모습을 갖추고 있었지만, 아빠가 돌아가신 후에는 안 그래도 작은 가게를 더 작게 줄였다. 그리고 “만남 슈퍼”라는 간판을 때고 “복권 팝니다”는 간판을 걸었다. 왜 복권 가게를 차리고 싶었는지 엄마에게 딱 한 번 물어보았었다. 엄마의 대답은 생각보다 너무 간단해서 내가 더 당황스러웠다. 

“복권 당첨되면 좋으니까. 그게 누구든 말이야. 행복해 보이잖아. 그걸 보는 게 좋아서.”


좁은 가게 카운터에 앉아서 평생을 보낸 엄마의 세계는 딱 그만큼이었나 보다. 엄마는 그 세계를 벗어나 더 넓은 곳으로 한 걸은 내딛는 걸 극도로 두려워했다. 하지만 더 두려워했던 건, 가게를 접고 집구석에 틀어 박히는 일이었다. 엄마는 엄마가 가장 좋아하는 크기의 가게에 엄마가 가장 좋아하는 가게를 만들었다. 


그 가게에서 복권만 파는 건 아니다. 작은 테이블 두 개와 플라스틱 의자 여섯 개가 놓여있고, 자판기 커피와 음료수도 판다. 동네 사람들이 가게를 지나가다 복권을 사면서 그 의자에 앉아서 수다를 떨기도 하고, 즉석 복권을 산 후, 그 자리에서 당첨 여부를 확인하기도 하는 것이다. 엄마는 그런 사람들에게 커피를 한 잔 씩 뽑아주거나, FM 라디오를 들으며 알지도 못하는 사람들의 사연에 공감하거나 분노한다. 


그런 엄마가 언니의 산후조리를 위해 부산으로 떠났다. 그리고 그 가게를 잠시 나에게 맡겼다. 마침 나는 2년 계약직이 끝나 특별히 할 일이 없었다. 이력서를 다시 써서 경제 활동을 해야 했지만, 정규직 전환을 꿈꾸며 몸과 마음을 사리지 않고 2년 동안 일했더니, 만신창이가 되고 말았다. 정규직 전환을 꼭 시켜 주겠다던 팀장님은 요즘 경기가 좋지 않아 정규직 전환이 쉽지 않다는 말만 되풀이했다. 한 번이라도 경기가 좋았던 적이 있었던지 의문이 들었다. 애초에 그런 말을 하지 않았다면 기대도 하지 않았을 것이고, 몸과 마음을 다 주지도 않았을 텐데. 


엄마는 금요일 저녁에 규칙적으로 복권을 사 가는 사람들을 위해서라도 꼭 가게를 열어두어야 한다고 했다. 엄마를 따라 조카를 보러 가고 싶었지만, 신생아가 있는 집에 복희를 데리고 갈 수는 없었다. 결국 나는 엄마의 복권 가게와 복희를 잠시 맡게 되었다. 



 복권이에 대해 말하려면 우리 복희에 대해 먼저 말해야 할 것 같다. 복희는 복권 가게에서 기르고 있는 고양이다. 처음엔 우리 동네를 어슬렁거리던 고양이었는데, 비쩍 마른 모습이 안쓰러워 고양이 밥을 몇 번 주었더니 매일 찾아왔다. 

결국 복희는 복권 가게 안으로까지 들어왔고, 우리 식구가 되었다. 

정확히 말하면 엄마의 친구가 되었고, 복권 가게의 상징이 되고 말았다. 

작가의 이전글 5. 다섯, 취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