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순만 Apr 13. 2023

조선의 시간

조선시대 시계는?

돌에 세겨진 의미는?

  자오묘유에서 자는 밤 11:30-12:30분에 해당한다. 이런 식으로 자정은 밤 12시, 정오는 낮 12시이며 정오를 기준으로 오전과 오후로 나뉜다.

  이런 식으로 가설을 하면 밤 12시가 자시이니 자전과 자후로 나누겠으나 이런 말을 쓰지 않는다. A.M.이 ante meridium이고 P.M.이 post meridium의 약자 abbreviation이다. 

  영어는 in the morning, in the afternoon, in the evening이다.  아침에, 오후에, 저녁에 그러면 밤 12시부터 새벽 6시 까지도 아침이라 할 수 있는데 영어에서는 새벽 4시도 in the morning이라고 쓰는데 in the early morning이 더 맞는 표현이다.


  그럼 아침은 무엇이지?

  나무 위키에서 [날이 샌 후 오전 시간대를 뜻하는 순우리말. 주로 오전 6시 ~ 10시를 뜻한다. 넓게는 오전 5시 ~ 오후 12시까지를 뜻한다.]라는 뜻이다.

  

  아침은 날이 샌 이후이지 새벽이 아니다.

  [원래 새벽이란 일출이 가까운 밤의 끝자락, 먼동이 터올 즈음을 가리킨다. 그러나 현대 한국에서는 흔히 자정으로부터 오전 06시 사이까지, 특히 시간을 말할 때 '새벽 시'라고 표현하는 경우가 잦다.] 즉 새벽은 밤 12시에서 6시까지 시간이다. 영어에서는 at dawn 단어를 쓴다.


  사극에서 보면 가끔 시간에 관한 언급이 나온다.

<조선시대 시간 용어에는 시(時)와 경(更), 점(點), 각(刻) 등이 있었다. 당시는 하루를 24시가 아니라 12지로 나누었는데, 두 시간 중 첫 절반의 시간을 따로 초(初)를 붙여 자초시(밤11시~12시), 축초사 (밤 2시~3시) 등으로 불렀다. 시의 차위개념으로 각(刻)이 있었으며, 각은 1시간을 8로 나눈 시각단 위로 15분의 시간이 된다. 즉 일각(15분), 이각(30분), 삼각(45분), 반각(=1시간, 정시), 오각(75분), 육각(90분), 칠각(105분), 정각(120분)이 되며 '정각'은 현재도 사용되고 있다.

 또 다른 용어 경(更)은 해가 지는 일몰부터 해가 뜨는 일출까지의 밤시간을 5 등분한 것으로 1경의 길 이는 시와 비슷한 2시간 정도이지만, 밤 시간만을 지칭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으며 술시(저녁 7시)부터 신시(새벽 5시)까지를 말한다.


  초경은 저녁 7~9시, 2경은 9~11시, 3경은 11~새벽 1시, 4경은 1 ~3시, 5경은 3~5시이다. 경의 하위 단위는 점(點)으로 1경을 5 등분한 것이며 그 길이는 오늘날의 시 간으로 환산하면 약 28분 정도 된다.>
자료출처: https://m.blog.naver.com/youjin1387/220936642852


  자오묘유는 밤 12시 즉 0시가 자시, 낮 12시는 오시, 묘는 새벽 6시, 유는 저녁 6시이다. 자는 쥐를 뜻하는데 병자은 빨간 쥐, 임자는 검은 쥐, 경자는 하얀 쥐를 뜻하며, 갑자는 초록 혹은 파란 쥐를 뜻한다.  빨간 쥐나 파란 쥐에서 빨간 것은 남쪽을 뜻하는 병과 파란 것은 동쪽을 뜻하는 갑인데 계묘년이 검은 토끼처럼 천간의 색과 방향을 12지지에 대입한 것이다.


  (자유와 묘오는 파격에도 해당하는데 닭과 쥐, 토끼와 말은 그리 깨지는 형이며 자오와 묘유는 충이어서 서로 부딪힘이 많음을 의미한다.)


Retrieved from pixabay

시공은 시간과 공간이다. 시간은 통시적 diachronic이고 공간은 공시적 synchronic이다.  

  어떤 관념에서 음력은 옛날 사람이 쓰고 양력은 요즘 사람들이 쓴다는 말이 나온 것인지 출처도 불분명하다.

  '성덕왕 17년(718) 6월에 처음 물시계(漏刻)를 만들었고, 역시 같은 시기에 漏刻典이란 관청을 둔 것으로 되어 있다(출처 우리역사넷).'


  이론적으로 농사를 짓는데 달을 보고 농사를 짓은다면 윤달이 있으면 13개월을 어떻게 달을 기준하여 농사를 지을 수 있었다는 것인지.


  결국 태양력(solar calendar)은 책력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24 절기도 양력을 근거한 것임에도 오인하는 사람이 많다.

  조선시대에 자정이라는 말이 아니라 삼경이라는 말을 사용했으므로 다양한 조선시대의 언어적 정돈이 필요하다.

작가의 이전글 시간에 따라 느낌도 다르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