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은석 Oct 09. 2020

따뜻한 사람이 되고 싶다


가을이 깊어져 가면서 생활에도 조금씩 변화가 있다.

아침 출근길에 짧은 팔의 옷을 꺼냈다가 금세 집어넣는다. 긴팔 셔츠를 입어야 한다.

한낮의 햇빛도 기운이 좀 약해졌다. 괜히 센 척하다가 감기라도 걸리면 낭패다.

이부자리도 바꾸었다. 얇은 홑이불을 걷어내고 도톰하게 부푼 놈으로 하나 장만을 했다. 그 속에 들어가면 포근하다는 생각이 저절로 든다. 아이들도 이불을 온몸에 칭 감고서 이 방에서 저 방으로 활보를 한다. 새 이불에서 풍기는 기운이 좋은가 보다.

새벽 냉기가 방으로 들어올라 창문을 닫고 보일러도 살짝 돌린다. 에너지 절약 이야기는 접어둔다. 따뜻하게 한숨 자는 것이 으스스하게 자는 것보다 몇 갑절이나 낫다. 잠이 보약이라고 하지 않는가? 조상들의 지혜가 담긴 온돌은 세계 최고의 난방 시스템이다.




열대지방에서야 별로 인정하지 않을 수도 있겠지만 따뜻한 것은 누구나 좋아한다.

따뜻한 집과 추운 집 중에서 택하라면 당연히 따뜻한 집이다. 따뜻한 사람과 차가운 사람에게서도 마찬가지다. 따뜻한 게 좋다.

감정이나 마음의 상태도 따뜻한 게 좋다.

삼척동자도 다 아는 이런 것을 꼭 실험을 해 보고 객관적인 수치를 기록하는 사람들도 있다. 학자들이 하는 일이 그렇다.


미국의 심리학자 해리 할로우(Harry Harlow) 박사는 젖먹이 아기 원숭이들을 대상으로 그런 실험을 했다.

아기 원숭이 앞에 인형 두 개를 설치해 두었는데 하나는 철사로 만든 인형이었고 또 하나는 부드러운 헝겊으로 만든 인형이었다.

철사인형에게는 우유병이 있었고 헝겊인형에게는 우유병이 없었다.

자, 이제 아기 원숭이는 어느 인형에게 갈까?




분명히 배가 고프니까 당연히 우유병이 있는 철사인형에게 가서 오래도록 있을 줄 알았다. 하지만 결과는 그러지 않았다.

아기 원숭이들은 줄곧 헝겊인형에게 안겼고 우유를 먹을 때만 잠깐 철사인형에게 다녀올 뿐이었다.

두 인형의 거리를 가까이하였더니 아예 헝겊인형에게 안긴 채 입만 철사인형에게 있는 우유병으로 향하였다.

실컷 놀다가도 갑자기 시끄럽거나 무서운 상황이 벌어지면 여지없이 헝겊인형에게 안겼다.


이 실험의 결과를 정리하여 해리 할로우 박사는 동물들도 따뜻하고 부드러운 것을 좋아한다는 ‘할로우의 법칙’을 발표하였다.

나는 실험을 하지 않아도 대번에 알아맞힐 수 있는 문제였는데 아깝다. 내가 먼저 생각해냈더라면 좋았을 것을. 나도 이런 쉬운 문제로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해 주고 싶다.




그런데 이런 것을 알고만 있으면 뭐하나? 실천하는 게 중요하지.

철사처럼 차갑고 날카로우면 가까이 왔다가도 흠칫 놀라고 섬뜩 무서워할 것 아닌가?

따뜻하고 부드럽게 살고 싶다. 언제든지 누구나 찾아와서 편히 쉬었다 가고 안겼다 가는 그런 사람이 되고 싶다. 어머니의 품처럼 언제든지 두 팔 벌려 반겨주는 사람, 지친 일상에 편안한 휴식처가 되어주는 사람, 꼭 한번 만나고 싶은 고향 친구 같은 사람, 그런 사람이 되고 싶다. 그리고 나도 그런 사람이 그립다. 그런 사람끼리 서로 만나면 반가워서 엄청 호들갑을 떨 것 같다.


윤동주의 <호주머니>라는 시가 떠오른다.

“넣을 것 없어 걱정이던 호주머니는 겨울만 되면 주먹 두 개 갑북갑북.”

사이좋게 갑북갑북거리는 두 주먹의 따사로움이, 두 주먹의 재잘거리는 행복에 겨운 소리가 고스란히 전해지는 것 같다.

따뜻함이 그리운 이 계절에 모두에게 따뜻한 사람이 되고 싶다.


작가의 이전글 쿰바야(Kumbaya)를 아시나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