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파랑 Feb 19. 2018

말하고 싶지 않아요

<100일 글쓰기> 33/100


  내향적인 성향에 집돌이 기질이 다분하다. 사람 많은 곳에선 기가 빨리고, 일주일에 하루는 반드시 집에서 쉴 수 있어야 한다.

  그럼에도 피할 수 없는 약속이나 자리가 생기면 굉장히 일찍부터 미리 걱정하고 스트레스를 받고, 힘들어하면서 수시로 '아, 가기 싫다. 하기 싫다.' 하고 생각한다. 막상 나가면 은근 적응도 잘 하고 굉장히 신나게 시간을 보내고, 기왕 나간 김에-라는 느낌으로 밀린 볼 일도 엄청나게 처리하고 집에 돌아오는 편이다. 그래서 입 밖으로 '가기 싫다. 부담스러워.' 같은 말을 할 때면 나를 잘 아는 사람들은 '너 그래도 막상 가면 되게 재밌게 있다가 올 거잖아.' 라고 혀를 끌끌 찬다. 물론 그런 말을 들으면 재미를 느끼는 것과 스트레스, 부담은 별개의 영역이라고 되받아치고 싶다.

  낯선 자리에 가거나 충분히 친밀하지 않은 관계의 사람과 있으려면 혼자 어색한 분위기를 견디지 못 하고 떠벌떠벌 아무말을 하거나 목소리가 커지곤 한다. 느낌적인 느낌으로 '아무도 안 나서잖아...!' 싶어 절망할 때가 딱 그러하다. 누가 시키는 것도 아닌데 혼자 부담을 느끼고 열심히 떠든다. 성향에 맞지 않는 짓을 몇 시간씩 하느라 진을 쪽 빼면서 (돌아보면 대개는 즐겁긴 했지만) 항상 힘들다. 너무 많이 떠들어서 목이 갈 때도 있고, 집에 돌아가서 내 입이 떠벌린 소리들을 기억 나는대로 줍다 보면 덮고 있던 이불을 하이킥하게 되는 것도 예사다.

  마가 뜨는 게 어색하지 않은 사이, 아니, 공백을 마가 뜬다고 의식하지 않아도 되는 사이나 자리라면 좋을텐데. 매번 맞지 않는 가면에 얼굴을 욱여넣고 있다 터덜터덜 집에 돌아올 때마다 생각한다.


이전 11화 횡단보도의 겁쟁이
brunch book
$magazine.title

현재 글은 이 브런치북에
소속되어 있습니다.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