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찬용 Jul 12. 2018

리마스터링 무라카미 하루키

<기사단장 죽이기>에 대해


나는 하루키 씨는 에세이보다 단편, 단편보다 장편, 구작보다 신작이라고 생각한다. 이 명제에 대입한다면 지금 가장 훌륭한 하루키 씨의 작품은 <기사단장 죽이기>다. 실로 그렇다. 이 소설은 잘 다듬어진 회고록이자 무라카미 하루키 씨가 좋아하는 주제를 한번 더 주장하는 선언문이자 (노벨 문학상을 노렸다면)노회한 전략의 결과물이다. 물론 아름다운 소설이고.


무라카미 하루키 소설을 원심분리기에 넣고 돌린다면 매번 비슷한 요소가 나올 것이다. 도시 남자의 여자가 사라진다. 이유는 모른다. 남자는 여자가 사라져서 궁금하고 고통스럽다. 고통에서 벗어나고 궁금증을 풀기 위해 남자는 여자를 찾아 떠난다. 길을 떠나 새로 머무른 곳에서 비현실적인 친구들이 나타나 비현실적인 일들로 주인공을 이끈다. 그 여정에서 교훈이 떠오른다. 교훈을 얻고 나니 여자까지 돌아와 있다. 여자의 실종, 남자의 이동, 비현실적 체험, 경험과 교훈. 


무라카미 하루키가 꼼 데 가르송 공장에 다녀와서 쓴 에세이가 있다. 거기서 그는 꼼 데 가르송의 옷을 '겉에서 보면 이상하게 생겼는데 입어보면 의외로 편하다'고 표현했다. 하루키 씨의 소설도 비슷하다. 비슷한 줄거리, 일견 유치한 초현실적 설정, 촌스러울 정도로 물건과 음악과 자동차에 의미를 많이 부여하는 습관. 하지만 읽다 보면 의외로 페이지가 잘 넘어간다. 하루키와 레이 카와쿠보는 공통점이 많다. 키가 작고 매체 노출을 싫어하는 게 전부가 아니다. 둘은 이야기와 옷의 기본 구조를 너무나 잘 안다. 구조를 건드리지 않은 채 껍질만 조금씩 비틀고 쪼개고 부풀린다. 결과적으로 겉보기엔 이상해도 막상 입거나 읽으면 편안하게 넘어가는 걸 완성시킨다. 하루키 씨의 아주 큰 문학적 기술이다.


하루키 씨는 본인의 소설을 패션 디자이너의 컬렉션처럼 운용한다. 스스로의 기본적 틀이 있다. 여자를 잃고 여행 갔다 돌아오는 남자. 거기에 매번 더해지는 본인만의 리듬이랄까 터치가 있다. 두 개의 달, 고양이의 말을 알아듣는 노인. 마지막으로 '시즌 컬러'라 할 만한 별도의 디테일이 붙는다. 이 셋이 붙어서 이번 시즌 하루키 씨 최신작이 완성된다. 


하루키 2017 S/S 컬렉션, 아니 <기사단장 죽이기>는 그의 최신작이다. 남자의 아내가 사라진다. 이유는 모른다(태엽 감는 새). 남자는 고통을 느끼며 낡은 푸조 207(하필 푸조 207)을 타고 전국을 운전(색채가 없는 다자키 츠쿠루와 그의 순례의 해)하며 돈다. 당연히 그 과정에서 여자와 잔다(거의 모든 소설). 처음 보는 동네에 가서 머무르다(해변의 카프카) 머리가 흰 사람(스푸트니크의 연인)을 만났는데 거기서 대단한 예술 작품(해변의 카프카)을 만나고 미지의 세계(거의 모든 소설)로 들어간다. 하루키의 하루키적 요소가 이래도 되나 싶을 정도로 반복된다. 


하루키의 소설을 한 줄로 세워두면 거의 비슷한 흐름이 보이지만 그 사이로 점차 두드러지는 게 있다. 하루키의 모국인 일본의 국적성이다. 그의 첫 소설 <바람의 노래를 들어라>에서는 일본이랄 게 전혀 안 나온다. 본인이 사는 도시의 이름도 없다. 등장인물의 이름도 쥐다. 그와 비교하면 <기사단장 죽이기>는 완연한 일제다. 하루키의 소설 중에서도 가장 일본색이 짙다. 제목이 된 <기사단장 죽이기> 자체가 일본식 그림의 이름이다. 이 그림의 화가는 서양화가로 시작해 동료 일본인보다 먼저 세계를 보고 온 후 돌아와 서양화를 접고 일본화를 그린 사람이다. 무라카미 하루키 씨 본인의 문학적 여정과 겹치기도 한다는 점에서 이 소설은 암시적 회고록일지도 모른다. 노벨 문학상을 노린다는 면에서도 좋다. 서양인들은 고향 이야기와 동양의 이야기를 좋아한다. 서양에서 고향의 정체성을 깨달은 동양인은 전략적으로 괜찮은 선택이다. 


이런 이야기와 별도로 <기사단장 죽이기>는 감동적인 이야기다. 이 소설은 사람에게 사랑이 어떤 의미인지 표현한다. 이야기를 더 알고 싶은 호기심이 인간의 가장 강력한 본성임을 묘사한다. 이야기를 만들어내는 힘이 사람의 가장 강력한 힘임을 간파한다. 좋은 이야기를 믿으며 전진할 때 인간은 가장 행복해질지도 모른다고 주장한다. <기사단장 죽이기>의 막판에 하루키 씨는 주인공의 입을 빌려 말한다. "이 세계에 확실한 건 아무것도 없는지 몰라. 하지만 적어도 무언가를 믿을 수는 있어." 나도 사랑과 이야기와 믿음의 힘을 믿는다. 이 셋의 가치를 쉬지 않고 말하는 하루키 씨를 좋아한다. 그는 마지막 문장까지 이렇게 맺는다. "너는 그걸 믿는 게 좋아."




<기사단장 죽이기>의 한국어판이 나왔을 때쯤 <얼루어>의 '내가 사랑한 하루키'에 보낸 글입니다. 하루키 씨를 사랑까지 하는지는 모르겠지만 훌륭한 작가라는 건 의심의 여지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와 내가 이런 기획의 일원으로 참여하게 되다니' 라고 감격하며 원고를 만들던 게 기억나네요. 다른 분들이 쓰신 게 더 재미있습니다.  1편과 2편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아무튼 저는 지금 하루키 씨의 노련미 역시 좋아합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너무 추운 날을 빼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