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마음 살이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박이로운 May 25. 2020

별안간 밑도 끝도 없이 억울한 기분이 들 때

체력과 정신력의 경계선 만들기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습니다.


‘친절도 밥 같다. 남에게 주는 것도 좋지만, 나도 최소한은 먹어야 한다. 그래야 내가 산다. 내가 일단 살아 있어야, 내 친절도 꾸준히 존재할 수 있는 것이다. 나는 내 에너지의 한계가 어디인지 분명히 확인하고, 일상생활 속에 적당한 경계선을 그어 놓고 살아야 한다. 그 경계선을 넘을 때마다 나는 과로하게 되고, 과로의 누적은 나의 붕괴를 초래하고, 붕괴된 나는 신경질적으로 변하거나 타인에게 이유 없이 분노할 수 있다. 일이 그렇게까지 돼 버리면, 나는 안 베푼 것만 못한 친절을 베푼 것이 된다. 좋은 걸 진짜 좋게 쓰려면, 나는 내 한계 안에서 움직여야 한다.’


내가 내 한계 안에서 움직이는 일. 그것은 부끄러운 일이 아니고, 야비한 일도 아닙니다. 세상 사람 전부가 그렇다고 말해도, 아닌 것은 아닌 것입니다. 계산적으로 마음을 쓰는 일이 너무 정 없게 보여 서늘한 기분을 느낄 수도 있지만, 최소한의 계산 없이 살아가다 보면 내가 지나치게 손상되고 맙니다. 그러면 그 복구와 관련된 긴긴 계산서를 받게 됩니다. 그렇게 따지면, 평소에 적당한 계산을 하며 지내는 쪽이 아무 계산 안 하고 지내는 쪽보다 난이도가 덜한 것 같습니다. 





스스로가 정직하고 열심히 살아가는 것에 내내 자부심을 느끼다가도, 한 번씩 밑도 끝도 없이 억울한 기분에 사로잡힐 때가 있습니다. 여기저기 퍼다 주느라 정작 내가 쓸 에너지가 없을 때 그렇습니다. 나는 내가 원해서 사람들에게 다정하게 굴어 놓고, 어느 순간, 내 배려를 받은 사람들을 ‘받기만 하는 괘씸한 사람’으로 몰았습니다. 


오히려 괘씸한 건 나였습니다. 보답받을 생각 전혀 없다며 유쾌하게 친절을 베풀어 놓고, 나중 되니 딴 소리를 하는 게. 


물론 친절을 베풀 당시에 나는 상대에게 보답을 바라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사람이 지치고 무기력해지면, 그 마음이 순식간에 간사해져요. 왜 저 사람들은 나한테 아무것도 해 주지 않는 거냐는 의문이 생깁니다. 보상 심리가 일어나는 것입니다.




이야기집 《내 뺨 옆에서 달이 뜨는데》에 수록되어 있는 글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밀착된 관계에서 벌어질 수 있는 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