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담파르크 Oct 23. 2017

홍수전, 태평천국을 꿈꾸다(하)

[허사로 끝난 태평천국의 꿈]

 신생국가 태평천국은 무섭게 세력을 확장했습니다.      


“청나라를 없애겠다, 변발을 없애고 남녀차별도 없애겠다. 청나라 관료와 지주들이 고집하는 전통 유교 관습도 일소하겠다. 인간은 평등하다, 그러니 땅도 평등하게 배분하겠다”는 주장을 합니다. 기득권에게 억압받고, 가난에 신음하던 민초들에게 태평천국이 너무나 달콤했을 것입니다. 너도 나도 없이 태평천국으로 달려갑니다.          



 태평천국군은 청나라 군대를 이곳저곳에서 격파하며 북상합니다. 청나라 군대는 백련교도들과 서구열강에게 이미 힘없는 모습을 보여줬습니다. 태평천국군이 연전연승하자 더욱 많은 사람들이 몰려들어 병력이 50만에 달합니다. 건국 2년만인 1853년에 남쪽의 거점도시였던 남경을 점령합니다. 홍수전은 남경을 천경(天京)이라고 이름 짓고 태평천국의 수도로 삼았습니다. 남경이라는 어마어마한 도시도 점령했겠다, 나라 구색을 제대로 갖춰갑니다.


 전통 중국 왕조처럼 태평천국만의 달력을 만들었습니다. 천력이라고 이름붙이죠. 관료들의 복장과 의례도 정비했습니다. 그리고 태평천국의 정치이념과 비전을 담은 천조천무제도(天朝田畝制度)라는 문건을 펴냅니다. 중국 전통적인 황제질서와 공산주의를 뒤섞은 듯한 재미난 내용이었습니다. 모든 땅은 상제의 소유로 성인남녀에게 공평하게 나눠줄 것이며, 모든 생산물은 국가가 관리해 분배하고 남은 것은 국고에 귀속한다고 명시했습니다.     


 이 천조천무제도에 민초은 열광적으로 환영합니다. 농민들은 자신의 땅을 가지고, 안정적으로 농사 지을 수 있다면 그들에겐 그곳이 태평천국이었겠죠. 하지만 태평천국의 이상은 오래가지 못합니다.      



    

 태평천국은 홍수전의 자살로 비참한 최후를 맞습니다. 무슨 이유로, 민초의 열광적인 지지를 받던 지상의 천국이 그렇게 빨리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져야만 했을까요.     


 첫째로, 지도층의 분열이 극심했습니다. 태평천국은 모든 백성이 쌍수를 들고 환영할 만큼 인기가 높았습니다. 군기가 엄해 감히 점령지의 백성을 약탈하거나 괴롭히지 않았습니다. 청나라보다 훨씬 치안이 좋았지요. 하지만 권력을 둘러싸고 홍수전의 측근들의 갈등이 점화됩니다. 서로서로 수 만 명의 군인과 백성을 학살합니다. 이런 행태에 민초들이 등을 돌리기 시작합니다. 학살과 숙청으로 군인 수가 줄어들고, 백성의 호감을 잃자 더 이상 입대하는 사람도 줄어듭니다.     


 둘째로, 기득권층의 반격이었습니다. 태평천국군은 유교를 배척했습니다. 가는 곳마다 공자묘를 불 질렀습니다. 일평생 유교와 전통만을 따르던 지방 신사층들은 크게 반발합니다. 더구나, 모든 땅을 상제의 것이라며 빼앗아가고 모든 사람에게 평등하게 나눠주겠다니 어이가 없었습니다. 기득권들은 자기 재산을 모두 잃을 지경이 된 것입니다. 이들은 자신의 돈을 아낌없이 풀어 군대를 조직해 태평천국에 맞서 싸웁니다. 태평천국군은 청나라 외에도 지방 곳곳에서 기득권들의 군대와 싸워야했습니다.     


 셋째로, 서구열강이 돌변합니다. 서구열강들은 처음엔 태평천국의 기세에 놀랍니다. 더구나 남경에서 국가로 성립되자 하나의 나라로 인정합니다. 그리곤 청과 태평천국이 전쟁을 벌일 때 무기를 팔며 이득을 챙깁니다. 하지만, 곧 청나라 편을 들기 시작합니다. 바로 배상제교 때문었습니다. 서구열강의 기독교를 따라하길래 처음엔 괜찮게 봤는데, 점점 그 왜곡이 심해지니 참을 수가 없던 것입니다. 그리고 분열하고 싸우기만 하는 태평천국 지도층을 보고 ‘곧 망하겠구나’라고 판단합니다. 태평천국이 아편까지 금지하자, 아예 청나라를 도와 태평천국을 진압하는 데까지 참여합니다.        

  

 결국 곳곳에 적이 많아지고, 내전으로 허약해진 태평천국은 1864년 홍수전의 죽음과 함께 막을 내리게 됩니다.      



 20년도 안 되는 짧은 시간이었지만 태평천국운동은 엄청난 규모의 혁명운동이었습니다. 중국 18개성 가운데 16개성에 영향력을 끼쳤고, 인명피해만도 2천 만을 훌쩍 넘어섭니다. 중국 사상이 아닌 바깥 세계의 기독교를 혁명 사상으로 활용한 것도 유래가 없던 일이었습니다. 또한 군 기강을 엄히 세워 농민을 위하고, 평등한 땅 분배를 원칙으로 내세운 것은 나중 중국공산당에도 큰 영향을 끼칩니다.     





팟캐스트 방송으로도 <역사를 걷는 밤>을 즐겨보세요:)

  http://www.podbbang.com/ch/14711


매거진의 이전글 홍수전, 태평천국을 꿈꾸다(상)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