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태현 Jan 11. 2020

'안준생'

단어 하나

"아버지는 나라의 영웅이었지만, 가족에겐 재앙이었고, 나는 나라의 재앙이었지만, 가족에겐 영웅이었다"


근현대사를 공부할 때, 약지를 자른 안중근 의사의 장인이 내 가슴속에 강한 울림을 주었다. 이토 히로부미를 저격하고 일본군에 체포되어 의연히 죽음을 택한 안중근. 그래서 궁금했다. 그 숭고한 정신을 이어받은 그의 자녀는 과연 어떨 삶을 살았을지. 무척 기대도 되었다. 그래서 선생님께 물어보았다. 그러나 내 질문에 선생님은 머뭇머뭇하며 말꼬리를 흐렸다.


설마 안중 의사가 결혼조차 하지 않았을까? 아니면, 자녀에 대해 알려진 게 없나? 그런 생각을 하며 찾았다. 그러나 정말 쉽게 찾았다. 그리고 실망스러웠고 화가 났었다. 안준생, 안중근 의사의 차남. 일본 총독의 양자가 되어 일본 전역을 돌아다니아버지의 죄를 사죄하며 다닌 아들...


내 질문의 난감한 표정을 지은 선생님의 마음이 이해가 되었다. 오죽하면 백범 김구가 안준생의 처단을 원했을까 이해가 되었다. 아버지의 얼굴에 먹칠을 한 아들. 그렇게 나에게 안준생은 호부에 견자가 없다는 말의 예외가 되었다.


분명 그렇게 생각하고 말았던 인물이었다. 그러다 어느 날 안준생을 삶이 나온 연극을 보았다.(물론 안중근 의사의 삶을 그린 연극이었지만) 호부견자라고 조롱받던 안준생, 죽지 않기 위해 발버둥 쳤지만 그 자체가 지탄받았던 안준생의 삶. 영웅의 가족이었지만 아무도 그와 그 가족에게 손을 내밀지 않았던 그때. 나에게 안준생의 선택과 그의 삶을 욕할 자격이 있을까?


안준생과 그 가족 친일을 하지 않고 굶주림 속에 여기저기 떠돌다 죽었어야 맞는 것일까? 돌아오는 길, 분명 안중근의 고귀한 삶이 주된 연극을 보았건만 나는 안준생에 대한 생각으로 가득 차 있었다. 그는 일제에 비굴하게 무릎을 꿇었지만, 그 덕에 그의 가족은 살아남았다. 나는 나라에는 재앙이지만, 나의 가족에게는 영웅이라던 안준생의 항변이 내 가슴을 흔드는 건 왜일까?


그를 변절자라 욕할 수 없는 나는 나쁜 놈일까... 만약 하늘에서 안중근이 안준생을 보았다면 자신의 뜻을 잇지 못한 자식을 욕했을까? 어쩌면, 어쩌면 안중근 의사는 안준생을 보며 욕하지 않고 가엽다며 눈물 흘리진 않았을까...


내가 안준생이었다면... 그랬다면 나는 어떤 사람이 되었을까...



작가의 이전글 '달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