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DANA Aug 20. 2020

번역에서 가장 복병은...

용어 통일하기

 번역에 여러 가지 어려운 점이 있겠지만, 오늘 유난히 애를 먹은 부분은 어려운 용어도, 이상한 문장도 아닌 ‘용어 통일’이었다.

 출발어의 한 용어를 도착어의 한 용어로 통일하여 번역하는 것이 뭐가 어려워서 그러나 싶을 수 있지만, 생각만큼 간단하지 않다. 물론 용어 통일은 ‘찾기’-‘바꾸기’로 한꺼번에 하면 되지만, 문제는 어떤 용어로 통일을 할 것이냐 하는 것.

 텍스트에 어떤 용어가 처음 나왔을 때 AA라고 번역을 하고 있었는데, 점점 하다 보니 분위기가 쎄-해서 BB로 바꿨다. 물론 앞에 AA로 했던 것을 다 찾아 BB로 바꿨다. 그런데 좀 더 하다 보니 AA가 좀 더 어울리는 것 같기도? 또다시 전부다 AA로 바꾸려면 번거로우니 일단 이다음부터는 AA로 하고 BB로 남아 있는 부분은 윤문 할 때 통일하자고 생각하며 번역을 해나간다. 마지막까지 번역을 해보니 그냥 BB가 낫겠네... 하며 윤문 할 때 AA로 번역된 것을 모두 다시 BB로 수정한다. 물론 때에 따라서는 AA도, BB도 아닌 CC로 전부 바뀔 때도 있다.

 하... 이 상황에 질리고 만다. 윤문도 사실 용어 통일이 절반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한 텍스트 안에서도 원문 상의 같은 단어가 한국어로는 서로 다른 단어로 번역된 것이 자연스러울 때도 있지만, 텍스트에서 반복되는 명사 형태의 주요 용어는 한 번에 용어를 확정하기 어려운 경우가 꽤 있다. 차라리 전문 용어는 이런 경우가 별로 없다. 또 기술 번역에서 자주 있는 일인 것 같기도 하다.

 오늘도 이 용어 통일로 몇 번을 애먹으며 윤문을 마쳤다. 윤문이 끝나니 기운이 쭉 빠졌다. 정말 하얗게 불태운 것처럼 배고픔이 몰려왔다. 오늘도 밥값은 했구나... 싶기도.

 이것도 경험이 좀 더 쌓이면 좀 나아지려나... 아니면 경험이 많아질수록 번역 도중에 용어를 바꾸고 싶어도 일단 넘어가고 마지막에 그 용어에 대해서만 곰곰히 생각하고 통일하는 방식으로 바뀌게 될까... 왠지 이것도 성격 때문인 것 같다. 나는 번역 도중에도 폰트를 계속 맞추고 정리를 하며 가는 것을 좋아하기 때문에 초벌 번역에도 시간이 약간 걸리는 편이다. 경험이 쌓이면 이런 집착이 좀 사라질까...ㅎㅎ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