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바람

by 메타인터뷰 Jan 05. 2025

인디언 보호구역. 애리조나 카엔타 외곽 황야 속 외딴 흙집에 나바호족 노부부가 살고 있었다. 그 옆 버려진 먼지 수북히 쌓인 작은 트레일러에서 한 동안 머물렀다. 그때 가지고 갔던 책은 딱 한 권이었다. 해가 뜨면 황야를 걷고 바라보고 일출과 노을을 보고 책을 읽었다. 해가 지면 잠자리에 들었다. 새벽 4시에 잠에서 깨어 쏟아지는 별을 바라보며 해가 뜨길 기다렸다. LA 친구집에서 가져간 책 제목은 ‘종소리‘였다. 저자는 임의진이라는 사람이었다. 인디언 보호구역 중에서도 오지 중의 오지였던 그 곳에 머무는 동안 그 책을 10번도 넘게 보았던 것 같다. 그때 임의진 목사를 좋아하게 되었다. 독선과 오만이 느껴져 한국 교회나 목사를 별로 좋아하지 않았지만, 좋아하는 목사가 두 명 있다고 말하곤 했는데, 한 명은 이현주목사, 한 명은 임의진목사였다. 내 기준에 그들은 갈라치기로 자신의 이익을 도모하지 않는 참 기독교인 같았다. 귀국 후 7년쯤 후 2010년쯤 지나는 길에 임의진 목사가 있다는 강진의 남녘교회에 갔다. 얼굴 한 번 보고 싶었다. 하지만 다른 사람이 그곳을 지키고 있었다. 임목사는 광주인가로 갔다는 말을 들었다. 만날 인연이 아니구나 싶었다. 그 뒤로 점점 잊혀졌다.


지난 1월 1일 무안공항에 들러 합동분향소에 조문을 드렸다. 줄이 무척 길었다. 2시간은 기다려야 한다고 했다. 자원 봉사자들이 돌아다니며 기다리는 사람들에게 핫팩과 생수, 먹을 것을 나눠주었다. 분향소 관계자들은 긴 줄을 서서 공항 바깥에서 기다리는 조문객들을 해지기 전에 입장시켜야 한다 생각한 것 같았다. 줄 이동이 빨라졌다. 20명 넘게 한꺼번에 조문을 하는 방식으로 바뀐 것이었다. 덕분에 1시간 정도만 기다리고 조문을 할 수 있었다. 공항 안에는 유가족 텐트가 크레타 섬 미코노스 궁전의 미로처럼 가득했다. 입을 꾹 다물고 유가족 텐트가 있는 공항 내부를 두 바퀴 둘러보았다. 다음 날 우연히 이번 참사의 한 유가족 이름을 보았다. ’임의진‘이었다. 글을 읽어보니 그의 누나부부와 여동생이 그 비행기를 타고 있었고 모두 돌아가셨단다. 그는 모두가 꺼리는 유가족 텐트 번호였던 44번에 머물고 있다는 소식이었다. 한 때 보고 싶었던 사람, 만나러 갔으나 만나지 못한 사람, 그 사람이 그곳 빼곡히 들어선 텐트 어느 구석에 앉아 있었을 거다. 그 상황이 계속 생각난다. 5.18, 세월호 유가족들을 위로하며 곁에 앉아 있던 그가 이번에는 유가족이 되어 앉아 있다. 그에게 위로받던 세월호 유가족들이 그를 찾아 위로했다고 들었다. 세상은 왜 이렇게 돌아가는지 모르겠다. 알려 할수록 모름이 더욱 커진다. 이해하려고 몸부림칠수록 ‘아는 것이 없다’는 사실만 점점 커진다. 바람은 하나다. 착한 사람은 잘 살고, 나쁜 인간은 벌을 받는 나라가 되길 바란다. 무엇이 착하고 무엇이 나쁜가는 그가 가진 권력, 재력, 영향력으로 판단되지 않기를.

작가의 이전글 국회의원과 교육

브런치 로그인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