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이선주 Jun 18. 2023

[책 리뷰] 프로덕트 매니지먼트

프로덕트를 이해하는 자가 프로덕트를 지배한다.


프로덕트와

프로젝트의 차이는?


우린 습관적으로 프로젝트라는 말을 쓴다. 살 빼기 프로젝트, 스터디 프로젝트,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프로젝트. 프로젝트라는 말의 의미나 정의를 알지 못해도 쉽게 사용한다.

회사에서 프로젝트라는 말은 그리 어렵지 않게 쓴다. 별다른 추가 지식 없이 프로젝트를 시작해서 프로덕트를 만든다. 여기까지는 별 문제가 없다.


하지만 PM은 어떨까? 이 PM은 프로젝트 매니저일까? 프로덕트 매니저일까? 그렇다면 관리, 매니지먼트의 대상이 왜 프로젝트와 프로덕트로 나눠지는 걸까? 어떤 부분이 다르고, 어떤 부분이 같을지 생각해 보면, 점점 더 주제에서 멀어진다. 주변에 누군가에 물어보면, 이건 관습적으로 쓰는 거라고 어깨를 으쓱할 수도 있다.


프로덕트 매니지먼트(김영욱 지음)은 이런 부분에 있어서 명확한 정의를 내려준다.



프로덕트
매니지먼트란 책이 필요한 사람


IT와 컴퓨터에 대한 책은 사례를 나열하여 설명하는 책과 정의에 대해 알려주는 책으로 나뉜다. '프로덕트 매니지먼트'는 정의를 알려주는 책에 속한다.


사례를 알려주는 책의 경우는 대략적으로 윤곽을 이해할 수 있고, 이야기를 통해서 예제를 배울 수 있다. 정의를 알려주는 책은 다소 딱딱하지만, 활용하기는 더 쉽다. '프로덕트 매니먼트'는 경험을 압축해서 꼭 필요한 구분을 지을 수 있는 정의를 알려준다. 기본이 궁금한 사람이라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구분이란 일의 경계를 결정하는데 도움이 된다. PM이 할 일을 아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프로덕트 매니저는 제품의 구상에서 구현, 출시까지 모든 영역의 일을 해야 한다. 또 함께 일하는 사람들은 각자 분야의 전문가이다. 그래서 각각의 팀원이 최대의 효율을 내려면, 협업해야 하는 부분과 책임져야 하는 부분의 구분이 필요하다.


좀 더 쉽게 설명을 하면, 이 책을 가장 잘 활용할 사람은 이제 막 프로덕트를 만드는 사람이 아니라, 한 두 번의 프로젝트와 프로덕트 제작의 성공과 실패를 경험하고, 회고할 수 있는 수준의 경험을 가진 사람이다.


얻을 수 있는 해결책은 다음과 같다.


1. 프로덕트 제작에 참여하는 사람들의 역할 구분

2. 프로덕트가 시작되는 지점과 목적

3. 프로덕트가 제작되는 과정에서 어떤 도구를 써야 하는지

4. 제작이 완료된 후에 챙겨야 하는 일들

5. 이 모든 과정에서 PM이 내리는 선택과 결정에 대한 팁


다섯 가지 해결책 중에서 이 책에서 강조하는 부분은 PM이 내리는 선택이다.

그래서 PM이라는 자리가 처음이라면 이 책은 최소 2~3년 차의 경험을 더 해주고, 이미 PM으로 프로덕트 제작을 충분히 경험했다면, 더 적합한 프로세스를 만들고 운영하며 전문성을 높여 주는데 큰 도움을 줄 것이다.



이 책을
추천하는 이유


IT나 스타트업에 대한 책을 다시 구분해 보겠다.


첫 번째는 독자가 사용할 수 있는 도구를 1번부터 100번까지 나열한 책이다.

두 번째는 독자가 응용할 수 있는 지혜를 1페이지부터 100페이지까지 쓴 책이다.


첫 번째와 두 번째의 장단점은 분명하다. 첫 번째는 어디에 어떻게가 없다. 두 번째는 바로 쓸 수 있는 한 문장을 찾기 어렵고, 듣기 좋은 말만 많다.


이 책은 처음부터 끝까지 프로덕트와 매니지먼트에 대해 이야기하고, 프로덕트를 만들면서 겪을 수 있는 선택과 문제에 대해 다루고 있다. IT나 스타트업은 빠르게 성장하기 때문에 모두가 최신 기법을 사랑한다. 그리고 맹종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도구의 약점을 생각하지 않고, 성공한 회사나 성공한 프로덕트의 사례를 무분별하게 도입한다.


실리콘밸리의 루키나 그루가 만든 새로운 도구는 약점은 없고, 장점만 있는 것처럼 보이는 상태로 내 일터로 들어온다. 책을 한 권 읽고, 방법을 도입한다. 그리고 다음 프로젝트나 프로덕트에는 또 입맛에 맞는 도구를 도입한다.


우리가 하나의 도구를 잘게 나누어 각 부분을 나열하고 이름을 붙이고 기능과 형태를 나누는 것은 각각의 부분을 개선하여 전체 도구의 쓰임을 더 좋게 만들기 위해서다.


하지만 빠른 도입은 이해의 과정을 건너뛰고, 사용부터 한다. 이해를 위해서는 경험이 필요한데, 보통 한 회사에서만 일하다 보면 경험의 질이 균일한 경우가 많다. 다양한 사례를 경험하기 위해서는 다른 일들이 필요하다. '프로덕트 매니먼트'는 부족한 부분의 경험을 보완해 준다.


예를 들어, 전략과 전술은 무슨 차이가 있을까? KPI와 OKR은 어떤 차이가 있고, 어떤 결과를 낼까? 지표 측정은 어떻게 할까? 이 프로덕트를 뭐라고 설명할까?


경험하지 않고, 미리 책으로 공부한다면, 프로덕트의 모든 것을 설명하기 위해서 너무 많은 책을 읽고, 정리해야 한다. 브런치나 블로그에서 정리 글을 찾을 수 있겠지만, 프로덕트 제작 단계가 변하면, 또 구글링을 해야 한다. 모든 것을 알기는 너무 어렵다. 아마 기본적인 정의나 주의점을 알려줄 만한 시니어가 있는 회사는 매우 드물 것이다.


책의 후반부에서 PM이 빠질 수 있는 편향과 오류에 대해 설명하는 부분은 그래서 더 값진 것 같다.



결론


모든 책이 장점만 있는 것은 아니다. 이 책의 가장 큰 약점은 경험을 보완하는 부분인데, 경험이 없으면, 이 책의 담긴 지식이 얕게 보일 수 있다. 설명을 이해하기 위해서 배경지식이 많이 필요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예시와 목적의 관계를 잘 이해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기법과 정의, 도구는 별도의 책을 찾을 수 있다. NPS 설문조사, 칸반, OKR, 심리적인 편향 모두 추가적인 정보를 추적하여 공부하면 더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적어도 최근 5년간 나온 대부분의 방법에 대한 안내를 받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이 책만으로 프로덕트를 제작하려는 건 좋은 생각은 아니다. 프로덕트 매니지먼트에 대한 책의 기준으로 잡고 부족했던 지식이나 대강 알고 있던 일을 보완하는 것을 추천한다.


"한빛미디어에서 책을 제공받아 작성된 서평입니다."


매거진의 이전글 ChatGPT와 미드저니와 UI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