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매거진 Plusclovision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재성 작가 Jan 16. 2018

편지형 커뮤니케이션 vs 모바일형 커뮤니케이션

기성 세대와 젊은 세대의 커뮤니케이션은 왜 어려운가.

소위 말하는 ‘어른 세대’하고 왜 커뮤니케이션이 쉽지 않은가에 대해서 고민하다 내가 내린 결론은 '즉시성', ‘개인화 여부’ 그리고 ‘커뮤니케이션의 방향성’이 다르기 때문이라는 것.


과거, 휴대폰 메시지가 보급 되었을 때 이미 기성 세대였던 분들은 답변의 즉시성이 그 이전 편지보다 훨씬 빨라진 휴대전화 메시지에도 ‘아무에게나 할 수 있는 말’을 ‘통보’ 식으로 했다. 이건 그들이 무례하다거나 잘못된 것이 아니라 당시의 커뮤니케이션 특성상 당연한 것. 그들이 쓰던 커뮤니케이션 도구는 편지였고, 편지는 즉각 답변을 받을 수도 없거니와 상대방의 반응을 즉각적으로 받아낼 수 없다는 것에 대해 상호 암묵적 동의가 있다. 이런 환경 하에서는 당연하게도 자신의 이야기를 더 많이 담게 될 수 밖에 없다. 물어봐야 답변이 오려면 최소 며칠, 길면 몇달(국제 편지의 경우)도 걸리다 보니 상대방에게 물을 수 있는 것들은 극히 한정되고 자신의 현재 상태와 앞으로의 계획을 열심히 말하는 것으로 글의 주제가 집중 될 수 밖에 없기 때문.


그 과도기에 일어난 일들이 바로 '동보 문자' 이다. 불특정 다수에게 발송되고 있고 아직도 구태의연한 정치인들이 아무한테나 다 똑같은 메시지를 발송하는데 욕은 먹지만 왜 욕을 먹는지 정작 당사자들은 이해하지 못하는 그 문자. 그것이 바로 편지와 카톡으로 대변되는 모바일 메신저의 과도기적 현상인 것이다. 


문자 메시지와 현재 모바일 메시지는 즉시성이 담보되었다는 공통점을 지니지만 건 당 과금 vs 무제한 사용 가능 이라는 차이점이 있었다. 


따라서 문자 메시지를 보내던 시절에는 할 수 있는 모든 길이를 가득 채워 보내야 했다. 현재 ㅇㅈ? ㅇㅇ. 이런 류의 메시지는 '돈이 아까워서라도' 보낼 수가 없었다. 


즉 동보 문자는 편지세대가 휴대폰 세대로 넘어오면서 과거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그대로 차용했기 때문에 일어난 일이다. 그리고 사람은 자신에게 익숙한 방식을 선호하기 때문에 완전한 모바일 시대로 진입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기성세대는 여전히 과거의 '편지형 커뮤니케이션'을 활용하고 있는 것이다.


금속활자가 보급 되기 전에는 책 역시 같은 내용을 써 내려가더라도 다 일일이 적어내야 했다. 즉 '내용은 같지만, 다른 책' 이었던 것. 마찬가지로 편지를 쓸 때는 설령 이것이 같은 내용일지언정 일일이 작성되었다는 것을 서로가 안다. 따라서 내용을 달리 할 필요가 없었던 것. 그냥 그 결과물을 받는 것 자체가 '신경 쓴 결과물' '정성이 담긴 결과물'을 받은 것이니까.


그러나 디지털 세대로 진입하면서 동일한 내용은 복제하는 데에 수고가 거의 들지 않는다. 따라서 '내용이 달라야' 정성을 쏟은 것으로 자연스럽게 간주 된다. 


하지만 이것을 기성세대들은 과거에 했던 것처럼 같은 내용을 여러 사람들에게 보낸다. 하나도 고치지 않고. 받는 사람의 입장에서 '아무한테나 다 보낼 수 있는' 메시지를 받고 정성이 들어갔다고 생각을 하지는 않는다. 이건 받는 사람의 입장에서는 '성의가 정말 없는' 행동이거든.


지금 이 글을 보고 있는 분이 기성 세대 시라면, 상대방에게 연락을 할 때 자신의 할 말만 하지 말고 마지막엔 '상대방에게 특화된' '질문'을 덧붙이는 것 만으로도 훨씬 젊은 세대와의 교류가 쉬워질 것이다.


당신이 젊은 세대라면, 꼭 이야기를 나누어야 하는 어른이 있다면, 왜 상대방이 '나한테 할 말도 아닌 것 같은 말만 하고 아무것도 묻지 않는지'에 대해서 배경 정도는 이해해 둘 필요가 있다. 


모든 도구가 '개인화'라는 말이 나올 필요도 없이 아날로그였고, 생산과 수요가 1대 1로만 매칭될 수 밖에 없던 당시 도구들에는 자동적으로 '개인화'라는 것이 적용되어 있을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즉, 그들이 디지털에 익숙하지 않아 과거의 커뮤니케이션 방식을 그대로 활용하고 있을 뿐이라는 것을 알고 있으면 마음이 한결 편하다. '모두에게 똑같은 메시지를 통보식으로 보내는' 사람이 독단적이거나 자기 할 말만 하는 사람은 아니라는 것을 이해하고 먼저 '부드러운 한마디'로 상대방과 '개인적 대화'를 이끌어 낸다면 세대가 다르더라도 분명 이야기가 오고 갈 수 있을 것이다.


사람은 어느 시대에 태어났느냐에 따라 '더 익숙한 것'이 달라진다. 현재 젊은 세대인 사람들 역시 언젠가 나타나게 될 새로운 커뮤니케이션 방식에 현재 익숙한 방식을 본능적으로 그대로 적용하려 하고, 그 때의 젊은 세대들과 점차 커뮤니케이션이 어려워 질 것이다. 하지만, 배경을 조금만 되짚어 보면 그들의 방식 역시 그리 대단히 어려운 것이 아님을 알게 될 것이다.


방식의 차이점은 있을지언정,

우리는 적어도 현재는 같은 도구와 같은 언어를 사용해서 이야기를 나누고 있기에 :)


--------------------------------------------------------------------------------------------------------------------

필자 김재성 

어릴 적부터 프로그래머를 꿈꾼 끝에 서울대학교 컴퓨터 공학부를 간신히 진학했으나, 천재적인 주변 개발자들을 보며 씁쓸함을 삼키며 다른 길을 찾아 나섰다. 이후 프리젠테이션에 큰 관심을 보여 CISL을 만들며 활동을 계속 하더니, 경영 컨설턴트의 길을 7년간 걷다 현재는 미디어 전략 기획자로 일하고 있다. 프리젠테이션에 대한 미련을 버리지 못해 가끔씩 취미 삼아 프리젠테이션 강의를 하고 있으며, 이런 좌충우돌 지식들을 차곡차곡 정리하여 ‘퍼펙트 프리젠테이션', '퍼펙트 프리젠테이션 시즌 2'를 출간 했다.

구매 링크 바로 가기: 
교보문고: https://goo.gl/4uDh9H
Yes24: http://www.yes24.com/24/goods/56826125
알라딘: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temId=123483387
반디앤루니스: https://goo.gl/KDQJRF

매거진의 이전글 확률을 이기는 꿈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