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목요일그녀 Jan 30. 2022

글쓰기 동지가 늘어가는 기분

함께 쓰는 기쁨

단테 님은 글쓰기 모임 '우연'의 1기 멤버였다.

두근두근 모집 공고를 올리고 얼마 지나지 않아 '저요!' 하고 손 잡아주셨다.

 

이미지 출처 : pexels

문학 제도권 교육을 받았던 나의 '글쓰기 세계'는 교실 안, 스무 명 남짓의 동기들과 삥 둘러앉아(언제나 중심엔 교수님이 계시고) 그날 우리 앞에 놓인 학우의 작품에 대해 세 시간 남짓 쉼 없이 말과 말을 늘어놓는 세계였다.

글 쓰기 시간에 글 보다 '말'이 앞서는 경험은 오래도록 '합평'에 대한 두려움을 가지게 했다. 


"이 글엔 비문이 많습니다."

"이 글에서 글쓴이가 무엇을 말하려고 했는지 잘 모르겠어요."

"너무 깁니다."

"가독성이 떨어져요."

"정확하지 않은 표현이 많습니다" 

"너무 뻔한 주제 같아요."


지금 생각해보면 저런 말을 어떻게 아무렇지 않게 했을까 싶다.

그것도 글 쓴 사람을 앞에 두고. 둘러(좋게) 표현해보자면, 우리 모두는 그때 열정에 가득 차 있었다.

글 쓰는 사람이라는 자신만만함도 있었고, 누군가의 글에 대해 그렇게 말할 자격이 있는 줄 알았다.

(커리큘럼의 일부분이었으니까).


합평을 하다 보면 물론 그런 말들이 꼭 필요한 순간이 있다. 

그 순간 우리가 놓친 건 글과 작가를 분리하지 '못'하고 그 언저리를 맴돌았던 게 아닐까 싶다. 

(아니, 다른 학우들은 모르겠다. 내가 그랬던 같다.) 

내가 하는 말이 글에 대한 말인지, 글을 쓴 사람에게 했던 말인지 명확하지 않다는 게 합평 수업이 끝난 뒤 

늘 개운치 않은 감정을 가지게 했다. 


'글'을 '글과 말' 그리고 '마음'으로 나눌 때 진심이 느껴지고, 상처받지 않는다는 걸 글쓰기 모임을 하면서 알게 됐다. 


단테 님과 처음 쓴 글의 주제는 '페이크 에세이(Fake _ Essay)'였다.

글쓰기 모임 '우연 1기'의 첫 글이었다. 모르는 사람들과 처음 만나 자기소개를 해야 하는 일은 때론 글쓰기보다 괴로움에 가까울 수도 있어서 생각해 낸 방법이었다. 자기 글인 듯, 지어낸 이야기인 듯 쓰기.


그때 단테 님이 쓴 글은

'끝이자 새로운 시작이었다. 

그날 밤 처음으로 마주한 대도시의 밤은 더 큰 세상을 보라며 나를 재촉하고 있었다.'로 마무리되었다. 


국경을 넘는 가족의 이야기는 에세이인 듯 소설인 듯 서정적인 분위기를 풍겼다.  글의 분위기도 좋았고, 나라면 생각하지 못했을 스토리라서 읽으면서 내내 즐거웠다.


글을 읽고 어떤 피드백을 드려야 할지 고민했다. 고민 끝에 내가 쓴 문장은 '중간에 이야기가 생략된 것 같아 아쉬웠어요.'였다. 세상에. 결국 교실 안에서 동기들과 할 때 하던 말을 그대로 쓰고 말다니.

물론 좋았다는 말을 여러 번 덧붙였지만 끝내 아쉬웠다.


그 후 우리는 4주 동안 함께 글을 썼고,  다음 글도 그다음 글도 단테 님의 글을 읽는 일이 즐거웠다.

첫 모임이 끝나고 오래 연락을 주고받지 못했는데 얼마 전 반가운 연락이 왔다.

쓴 글들을 모아 출판한 책 한 권과, 메시지와 함께. 

목요일 그녀님, 안녕하세요. 
저 기억하세요?
글쓰기 모임이 끝나고 해 주신 말씀이 아직도 기억에 남아요.
쓰는 일은 분명 저를 단단하게 만들어 줄 거라는 말씀이오!
다시 와서 생각해 보면 정말 그런 것 같아요. 
글을 쓰면서 제가 좋아하는 게 뭔지 알게 되었고, 글을 쓰고 고치고 고민하는 취미를 일상으로 만들게 되었거든요. (중략) 
제가 글을 꾸준히 쓰고 남들에게 보여주는 재미를 알게 된 게 '우연'을 통해서라서 목요일 그녀님은 개인적으로 저에게 너무 감사한 분이세요... (하략) 


연락을 주고받지 않는 사이에도 단테 님은 단테 님 자리에서, 나는 내 자리에서 계속 쓰고 있었다.

그 결과물을 받고 뭉클했다. 결과물이 있어서가 아니라 그 결과물을 만들어 내기까지 단테 님이 쓰느라 보냈을 무수히 많은 낮과 밤이 떠올라서. 내가 쓰고 싶었던 글감 앞에서 명확하지 않은 문장들과 씨름하느라 괴로워 했던 그 시간이 떠올라서.


나는 내가 했던 말 중, 혹시 상처받았을까 걱정했던 부분만 기억하고 있었는데

단테 님은 내가 전했던 말 중 본인에게 필요했던 말을 기억하고 계셨다. 

어쩌면 우리는 알고 있었는지도 모르겠다. 서로의 작품을 앞에 두고 말과 글로 오가는 동안, 상처인 줄 알았던 그 순간이 실은 진짜 스스로에게 필요한 경험이었다는 걸. 


오래전,  합평 시간 경험했던 날카로웠던 기억들이 지금의 내게 좋은 영향으로 남은 거라고, 이제는 말할 수 있을 것 같다. 


글을 쓰기 시작하면 멈출 수 없게 되는 순간이 있다. 쓰지 않고도 잘 살았는데 쓰다 보니 쓰지 않으면 안 될 것 같은 순간을 만난다. 나는 그 순간이 바로 진짜 글쓰기가 시작되는 지점이 아닐까 싶다.


글쓰기 모임 우연의 1기부터 7기까지 진행하면서 지금도 함께 하는 분이 있고, 한 번의 모임 이후 함께 하지 않는 분도 있다. 함께 하든, 함께 하지 않든 우리는 글로 연결되어 있다. 각자의 자리에서 자기만의 이야기를 만들어내고 있을 거라는 것도 이제 확실히 알 것 같다. 


새로운 사람을 만나고, 다시 헤어지는 과정들을 거치면서 글 쓰는 동지들이 늘어가는 기분을 느낀다. 

그리고 그 기분은 묘하게 짜릿하다. 든든하다. 


글 쓰기 동지를 만나는 기분, 그 짜릿함을 경험하고 나니 글쓰기 모임을 멈출 수가 없다.

어디서든 쓰고 있을 우리의  동지들, 새해에는 다시 열심히 쓰리라 다짐하고 있을 그들의 글을 계속 만나고 싶다. 






작가의 이전글 글쓰기로 채우는 시간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