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Pseudonysmo Jun 18. 2022

임기제 리더십, 정년제 팔로워십

그리고 순환근무 한 꼬집을 넣으면 완성.

"이렇게 합시다."
"말씀은 공감하는데요, 먼저 A와, B와, C도 고려해 봐야 하고,.."
"간단한 것 하나를 처리하는 과정이 왜 이리 복잡한가요?"

일은 항상 상대방을 설득하는 과정이다. 유독 행정기관에서는 외부로의 설득보다도 내부에서의 설득이, 수평적인 방향으로의 설득보다도 수직적인 방향으로의 설득이 많아 피곤하다. 그리고 대부분의 설득은 크게 보면 잔잔한 바다 같은 공공부문 안에서 끊임없이 변화의 파도가 일고 있기 때문에 발생한다.

공공부문을 찬찬히 보면, 기관의 장이나 핵심 경영진(이사진)은 외부에서 오는 경우가 많다. 관련 분야의 경력이 많다거나 하는 이유로 임명된 이 분들은 일단 당연하게도, 자신이 생각한 기관의 운영 방향을 가진 채 부임한다. 자신들이 외부에서 보아 온 전체적인 산업 영역 내에서의 기관의 위치와 평가 상황을 기반으로 하여 어느 정도 기관에 대한 선입견을 가진 채 일을 착수하게 된다.

그리고 밖에서만 보아왔던 이곳이 생각보다 복잡했음을 깨닫는다.

기관은 생각보다 거대하고, 나름의 내홍이 있었으며, 안팎으로 요구되는 것 또한 많다. 처음 보는 사람들과 갑자기 일을 해야 되는 상황에서 어느 정도까지 이들을 신뢰해야 하는지 알 수 없으며 외부자로서 크게 중요도를 지니지 않았던 주관적인 자신의 판단에 갑자기 엄청난 무게와 많은 잡음들이 들어선다.

그리고 반대로, 소위 '정년을 받아놨다'고들 이야기하는 수많은 공공부문의 근로자들은 새로 온 높으신 분께 이곳이 어떠한 논리로 작동하는지, 그리고 어떠한 절차로 업무가 추진되어야 하는지를 또다시 설명해야 하는 상황에 놓인다. 다른 공공부문에서 온 분께는 기존에 그분이 가지고 있던 고정된 사고방식을 조정해야 하고(의외일 수도 있지만 모든 공공부문의 기관들은 죄다 다른 방식으로 작동하고 있다), 심지어 민간부문에서 오신 분들을 상대해야 할 때의 스트레스는 심각하다.

직원들 또한 어떻게 함께 일을 해야 할지 모르는 경우가 허다하다.

공공부문의 인력 구성에서 물론 가장 중요한 것은 전체적인 구성원이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최근 들어 이직 혹은 퇴사의 빈도가 높아지고는 있으나 여전히 정년까지 근무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렇기에 앞에서 말했듯 잔잔한 바다라고 보일 수도 있지만, 순환근무라는 특성 탓에 내부적으로는 끊임없이 변화의 파도가 일고 있다.

물론 유착 관계를 경계하는 목적이 가장 크지만, 공공부문은 여러 가지 이유로 순환근무를 원칙으로 운영되고 있다. 그리고 항상 공무원 사회 등에서 제기되는 순환근무를 떠받치기 위한 체계적인 시스템이 없다는 불만이 이 지점에서 발생한다. 이건 전문적인 OJT 교육을 통해 인력을 양성하기보다는 거대한 체계의 톱니바퀴 안에서 루틴화 된 업무를 하기 때문인 것 같지만, 비록 업무의 흐름을 숙지시키고 투입되더라도 업무 수행 과정에서 개인의 판단에 놓이는 변수들은 너무나 많다.

결국, 정해진 임기 내에 목표한 바를 성취해 내야 하는 리더십과, 순환근무로 끊임없이 휘둘리며 정년을 목표로 긴 호흡의 업무를 해야 하는 펠로우십이 만나는 과정에서, 리더는 올바르게 리딩 하지 못하고 구성원은 효율적으로 따르지 못해 서로 협력하지 못하는 비극적인 상황이 생긴다.
매거진의 이전글 독립 예술, 영화, 그리고 스트리밍 플랫폼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