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장소월 Dec 27. 2020

페미니즘 역사 쉽게 이해하기

본 글에서는 페미니즘 1세대, 2세대, 3세대를 쉽고 간단하게 설명하겠다.




일단 페미니즘 1세대 2세대 3세대는 페미니즘 1물결 2물결 3물결과 대응된다.


1물결

참정권 운동을 목표로 한 여성주의를 의미한다. 대표적인 예시로 영국의 서프레제트 운동이 있다. 영화도 나왔으니 한번 보면 1세대의 목표가 무엇인지 알 수 있을 것이다. 참정권이 대표적이고 그 외에는 여성의 공적 참여와 복장 자유 등이 있다. 공적 참여는 (참정권과도 연결된지만) 여성은 언제나 가사노동을 담당하고 일을 할 수 없는 사회구조를 비판한다. 복장 자유는 말 그대로 복장에 대한 자유다. 페미니즘 1물결 당시에는 여성의 의복이 제한되어 있었다. 얼마 전에 국회의원 류호정이 원피스를 입고 왔다고 한국 사회가 잠시 난리가 난 것처럼 말이다.


2물결

68 혁명 이후 유럽과 미국에서 주도적으로 생겨난 여성운동을 말한다. 보부아르와 파이어스톤 등등 많은 유명한 페미니스트가 이때 등장했다. 논의도 너무나 넓고 다양해서 2물결은 한 단어로 설명하기 어렵다. 성매매, 가정 내의 성차별, 언어, 특성, 정신분석, 구성주의, 래디컬, 문화주의 등등. 가장 유명한 문구는 "개인적인 것이 정치적이다." 즉, 그전까지 1물결이 공적인 참여만을 놓고 페미니즘 운동을 전개했다면, 2물결은 개인적이라고 생각했던 모든 것이 알고 보니 성차별을 담고 있었다는 깨달음을 바탕으로 많은 분야에서 운동을 전개한 것이다.


3물결

80년대 후반 90년대 초반 버틀러와 세즈윅, 콜린스 등의 페미니스트 학자들에 의해 나온 흐름이다. 3물결이 가장 중시하는 것은 "여성은 단일한 주체가 아니라 수많은 교차성을 경유하는 정체성"이라는 것이다. 즉, 이전까지 2물결에서는 가부장제가 여성을 억압한다, 모든 여성이여 단결하여 싸우자!라고 했다면, 3물결에서는 모든 여성이라면서 왜 백인 여성을 위한 페미니즘만 중요시함? 왜 흑인 여성 페미니즘은 무시함? 왜 제3세계 여성 페미니즘은 무시함? 왜 퀴어 여성 페미니즘은 무시함? 왜 장애 여성 페미니즘은 무시함? 정말 모든 여성이라는 개념 안에 모든 여성이 포함된 것 맞음?라고 의문을 던지면서 시작했다. 3세대는 2물결의 생물학적 본질주의 입장을 가장 많이 비판한다.


여기서 버틀러의 두 가지 개념이 중요시된다.

1. 섹스는 언제나 젠더였다.

2. 수행성 이론


1.은 생물학적 섹스와 문화적인 젠더의 이분법은 허상이고 섹스조차도 언제나 젠더였다는 것을 뜻한다. 그러니까 세상은 남성과 여성이 존재하는 게 아니라, 남성과 여성 두 가지 성만 존재한다고 착각하는 믿음이 있다는 것이다. 이것을 이해하지 못하면 3물결이 와 닿지 않는다. 그리고 버틀러의 이 이론은 성이 두 가지만 있다고 믿는 사람에게 너무나 거북하여 받아들이기 쉽지 않다.

2.는 젠더는 곧 수행성이라는 것. 행위 뒤에 행위자 없다는 니체의 말을 빌려온 개념으로, 나의 정체성이 있어서 내가 이성애자가 아니라 내가 이성애자처럼 행동하기에 내 정체성이 이성애자로 환원된다는 것이다. 이 이론으로 젠더/섹스 이분법에 대항하며, 드랙과 복장 전환에 대한 이해를 할 수 있다.



결론

1세대는 참정권, 2세대는 폭발적인 페미니즘 논의의 스타뜨, 3세대는 교차성이라고 보면 된다.



매거진의 이전글 오프라인에서는 남페미를 본 적이 없어요.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