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장소월 Dec 30. 2020

페미니즘으로 프로이트 까기

더 이상 학계에서 프로이트를 인용하는 사람은 없다. 정신분석학을 이용하더라도 라깡을 인용하거나 또는 프로이트 비판을 경유하여 자신의 논지를 주장한다. 그러나 프로이트라는 유령은 21세기 커뮤니티나 가벼운 에세이류 책에서 여전히 떠돌고 있다. 


프로이트 이론을 많이 듣기는 하는데 정확히 뭐지? 그리고 무엇 때문에 그의 이론은 더 이상 쓰지 않는지? 를 살펴보자.






일단 오이디푸스 컴플렉스를 소개한다. 


오이디푸스 컴플렉스란? 아이가 자신과 반대인 성의 부모에게 애착을 갖고 같은 성의 부모에게는 증오를 품는 감정을 말한다. 남자아이로 가정한다면, 이 아이는 커서 엄마를 사랑하지만 아빠라는 자신보다 몸집이 크고 무서운 사람이 버티고 있기에 엄마를 포기하고 아빠를 수용하며 동일시한다. 즉 오이디푸스 컴플렉스는 커가면서 해소되지만 생애 전반에 걸쳐 무의식에 남는다. 그리고 성인의 신경증은 이 컴플렉스를 제대로 극복하지 못한 사람의 것이라고 프로이트는 말한다. 



조금 더 자세히 들어간다면, 


오이디푸스화의 핵심은 근친상간 금기다. 그리고 프로이트는 '아버지-어머니-나'라는 가족 구도에서 남아든 여아든 일차적인 사랑의 대상은 어머니라고 한다. 


남자아이는 일차적으로 어머니를 사랑하지만 아버지에게 거세될지 모른다는 거세불안을 겪고 어머니에 대한 욕망을 멈춘다. 남자아이는 아버지와 동일시하면서 언젠가 자신도 아버지처럼 여자를 차지할 수 있을 거라고 안심한다. 


여자아이 역시 일차적으로 어머니를 사랑하지만 이렇게 되면 동성애이기에 어머니에 대한 욕망을 멈추게 된다. 그리고 상대 성인 아버지를 욕망하지만 이것은 근친상간이기에 그만둔다. 여자아이는 다시 어머니에게 돌아와 동일시한다. 즉, 프로이트에 따르면 여자아이는 남자아이와 다르게 두 번의 좌절을 겪는데, 이것이 동성애 금지근친 상간 금지다.





여기까지 프로이트의 이론을 납작하게 정리해보았다. 


그렇다며 페미니즘으로 프로이트를 비판한다면 어떻게 될까?



1. 일단 아이는 어머니를 왜 일차적으로 욕망할까? 


왜냐하면 그 시대에 (지금도 그렇지만) 여성이 육아를 전담했으니까. 프로이트는 사회구조에 뿌리내려 있는 여성의 가사노동을 당연시한 결과 1차적인 욕망을 쉽게 여성이라고 단정 지었다. 어머니가 없는 아이라면? 아버지가 없는 아이라면? 그렇게 되면 프로이트는 이 사람이 특정 시기에 극복하지 못한 오이디푸스 컴플렉스 때문에 신경증이 만연할 것이라고 짐작했다. 물론 프로이트는 말년에 자신의 작업에서 여성의 여성성이 만들어진다고 말했으나 그의 이론 곳곳에 동의할 수 없는 논리가 가득하다. 



2. 남근 선망?


페미니스트는 프로이트 이론 중 남근 선망을 가장 비판한다. 그러니까 남자는 자신이 남근이 있어서 이것을 잃어(거세) 버릴까 봐 걱정하고 여자는 자신이 남근이 없어서 매번 불안을 느낀다고 한다. 남근이라니. 그러니까 남근은 왜 당연하게 대단한 것으로 치부되는가? 


프로이트 이론이 당시 유럽 중산층 백인 남성 위주의 작업이기 때문이다. 이는 중산층이 아닌 자, 인종이 다른 자, 남성이 아닌 자에게는 해당될 수 없는 이론이었다. 


여성들은 남근을 선망하는가? 이것에 대해 그렇다고 대답할 사람은 별로 없을 것이다. 



3. 이성애 전제


마지막은 이성애다. 프로이트는 이성애를 당연하게 전제했다. 그러니까 레즈비언 여성이라면 굳이 아버지를 욕망하지 않는다. 게이 남성이라면 어머니를 욕망하지 않는다. 


또한 프로이트 이론은 유아기에서부터 시작하는데 아이는 당연하게도 자신의 젠더를 인지하는가? 어릴 때부터 분홍색을 싫어하는 남자아이는 선천적으로 분홍색을 질색하는 것인가? 아니다. 그의 부모가 분홍색에 대한 편견을, 미디어가 분홍색에 대한 거리감을 남자아이에게 부여한 것이다. 


1973년에 미국 정신의학회는 동성애를 정신질환이 아니라고 인정했다. 그전까지 동성애는 병리화 되어 이렇게 쉽게 규범 이론에서 이탈한다. 




그럼에도 프로이트를, 정신분석학을 공부하는 이유는 이것으로 대변되는 사회 구조를 볼 수 있기 때문이 아닐까. 프로이트인지 라깡인지 사실 나의 큰 관심사가 아니어서 틀린 부분이 당연히 있을 수 있다. 그런 부분은 지적해주거나 알아서 잘 판단하길 바란다. 

매거진의 이전글 도태남 담론의 이면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