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은비령 Jan 24. 2023

사평역에서 - 곽재구

설원의 의미를 되새기며.

겨울이면 생각나는 곽재구 시인의 '사평역에서'

수능 공부를 하다가 이 시를 읽고 국어 교사가 되기로 결심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시 몇 편이 주는 울림과 감동의 힘은 대단했다.

짧은 글 속에서 울려퍼지는 잔향과, 머릿속을 맴도는 몇몇 잊혀지지 않는 구절들,

사전에도 없는 새롭고 함초롬한 시어들. 그리고 삶의 어떤 간절한 순간을 포착하는 시인의 시선.


시인이란 하잘 것 없는 일상과 알 수 없는 기다림을 이토록 간절한 그리움으로 말해주는 사람이구나.

늦은 밤 간이역에서 각자의 고된 일상에도 간절한 누군가를 기다리며

열차에 몸을 싣는 평범한 사람들을 아름답게 그려준 시인이 있어 행복했다.

이 시는 1981년 시인이 중앙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한 작품이기도 하다.

영화화되기도 했고, 많은 이들에게 회자되고 있지만 매년 겨울이면 또다시 생각나는 작품이다.



<사평(沙平)역에서>


막차는 좀처럼 오지 않았다.

대합실 밖에는 밤새 송이 눈이 쌓이고

흰 보라 수수꽃 눈 시린 유리창마다

톱밥난로가 지펴지고 있었다

그믐처럼 몇은 졸고

몇은 감기에 쿨럭이고

그리웠던 순간들을 생각하며 나는

한 줌의 톱밥을 불빛 속에 던져주었다

내면 깊숙이 할 말은 가득해도

청색의 손바닥을 불빛 속에 적셔두고

모두들 아무말도 하지 않았다.

산다는 것이 때론 술에 취한 듯

한 두름의 굴비 한 광주리의 사과를

만지작거리며 귀향하는 기분으로

침묵해야 한다는 것을

모두들 알고 있었다

오래 앓은 기침 소리와

쓴 약 같은 입술 담배 연기 속에서

싸륵싸륵 눈꽃은 쌓이고

그래 지금은 모두들

눈꽃의 화음에 귀를 적신다

자정 넘으면

낯설음도 뼈아픔도 다 설원인데

단풍잎 같은 몇 잎의 차창을 달고

밤열차는 또 어디로 흘러가는지

그리웠던 순간들을 호명하며 나는

한 줌의 눈물을 불빛 속에 던져주었다.




설날을 시샘이라도 하듯, 영하 20도의 강추위가 기승을 부리며 오른 난방비에 시름하는 서민들을 괴롭히고 있다. 춥고 서럽고 힘든 시기를 버티기 위해서는 '때로 술에 취한듯, 무언가에 홀린듯, 그리웠던 순간들을 추억하며 나를 기다리는 따스한 가족의 품으로 돌아가기 위한 기다림의 시간을 견뎌내는 시간'이 필요할 것이다.


시인은 낯설음도 뼈아픔도 모두 설원(雪園)이라 했다.

'낯설다'는 것은 익숙하지 않은 모든 것, 이제껏 가져보지 못했던 아련하고 두려운 대상이리라.

'뼈아프다'는 것은 내 안의 깊숙한 본질을 건드리는 듯한 치명적인 아픔, 한이 되어 서린 듯한 근원적인 서러움이리라.

아직 가보지 않아 두렵고 낯선 미래, 이미 지나와서 뼈가 시리도록 아픈 삶.

과거와 미래는 그렇게 눈 속에 잠겨 '설원'이 된다.

하얀 이불이라도 덮어준 듯, 삶에는 때로 눈처럼 깨끗한 '정화'가 필요한 순간이 있다.

그리고 모든 것이 깨끗하게 씻겨내려간 그 순간에도 잊지 말아야 할 '그리움의 순간'들도 있다.


'사평'이란 공간은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시골 공간이라 했다.

모래성과 같이 꿈 속에 존재하는 공간이지만, 어디에나 존재하는 우리의 삶의 공간이다.

어딘가에 있을 나만의 사평역을 찾아서, 삶의 여정은 멈추지 않고 계속된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