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김선하 Mar 28. 2024

바른 질문에 해답이 있습니다

선하’s 후마니타스

  

성공과 해답. 

그 최단 거리를 찾으려 노하우를 수집하고 남을 모방합니다. 그러나 답은 어디에 있을까요?

진짜 질문이 무엇인지 알면 답을 알게 됩니다. 답을 낼 수 있는 문제를 생각해야 합니다. 


나를 만나는 사람이 던진 질문 안에 답이 있습니다. 내가 던지는 질문이, 나에게 향하는 질문이, 바로 지금 내 관심사이고 내 문제입니다.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너는 어떠니?" 보다는 "괜찮아!" "좋아, 해봐" 확인의 답을, 응원의 한마디를 기다리는 것입니다. 정답을 얻고자 하는 질문이 아닙니다. 나는 이 길을 갈 예정이니 응원해 달라는 겁니다.      

내가 책을 낼 때 의견을 묻는 것은 책을 낼까 말까 가 아니고 책을 낼 것이라는 나의 다짐을 말한 겁니다.      

책 표지가 어떠냐는 질문은 책이 곧 나올 것이며, 이 표지로 갈 예정이니 관심 가져 달라는 뜻입니다. 요즘 들어 책을 읽느냐는 질문은 책 한 권 사달라는 겁니다.      

책 읽었으니 질문 있어? 하는 것은 내 책을 읽어주어서 고마우니 밥 한 끼 먹자는 것입니다.      


질문은 답을 향하고 있고 용기와 응원의 박수를 보내 달라는 겁니다. 그러니 누가 물으면 최고의 답을 위해 너무 고심하지 않아도 됩니다. 가벼운 조언과 격려와 박수, 그도 아니면 그냥 밥 한 끼 하면 됩니다.          



질문에는 예상할 수 있는 답이 있습니다. 질문은 질문 자체만으로 질문하는 사람의 의도가 있습니다. 단순히 육하원칙에 의하지 않고서도 특정한 의문사 하나를 덧붙여서 원하는 답을 얻을 수 있는 질문이 있습니다.   

  

"너는 누구와 밥을 먹었니?" 나 말고 요즘 친하게 지내는 사람이 궁금해서 물을 수 있습니다.      

"언제가 편해? 밥 먹을 시간은 충분하지?" 한가한 시간이 언제인지 알 수 있습니다.      

"어디서 먹을래?" 어떤 분위기와 메뉴를 좋아하는지 궁금하고 배려하려는 소리입니다.     

"나와 밥 먹을래?" 특정 의문사를 쓰지 않고 단도직입적으로 묻는다면, 친해지고 싶으니 함께 시간을 보내고 싶어 정도로 알아들으면 될 것 같습니다.     

 

이런 질문이라면 정확한 답을 찾으려 애쓰지 않아도 됩니다. 질문의 의도를 파악하는 것이 우선입니다. 이것이 상대와 이야기를 주고받고 관계를 이어가는 길입니다.          



"이번 달은 일이 많지? 그래도 밥은 먹고 일해라. 네 사무실 근처에서 정할까?" 

"이번 주 마무리할 게 많네. 그래도 밥은 먹고 해야지? 상가에 맛집 오픈했더라."      

질문에 대한 내 대답은 그래 밥 먹자! 였습니다. 모임에 못 나올 것을 염려한 친구가 보낸 문자입니다. 바쁜 나를 염려한 친구의 마음이 고맙습니다.       


    

#월화수목금7:30

#책과강연기획자의아침생각

#동기부여자기계발비즈니스도

#결국은사람입니다

#선하’s후마니타스     


 더글러스 애덤스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   

  

아주 옛날, 깊은 생각이라는 컴퓨터에게 인간이 질문을 던집니다

“어떻게 살아야 해요?”

“그것을 답하려면 7백5십 만년을 계산해야 해”

사람들은 뭔가 있을 듯한 답을 기다렸고 그 시간이 왔습니다

“해답은 42야”

“답이 뭐 그래?”

“제대로 된 질문을 던지지 않아서 그래!”

“궁극적인 질문이잖아?”

“그게 뭘까?”

컴퓨터는 사람에게 다시 물었습니다

그러자 서로 얼굴 쳐다보면서 답합니다

“모든 것?”

“바로 그런 거야”     

작가의 이전글 꾸준함에 공로패를 받았습니다!!!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