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원한 맛이 일품인엄마가 알려준 맛, 단호박 백김치를 만들었다김장배추가 나오면서부터몇 번을 만들어 먹는다단호박이 들어간 백김치는 의외로 모르는 사람들이 많고 '호박을 김치에 넣어요'라고 반문하는 사람도 있다 단호박 백김치를 먹어보면 기억에 남는 맛이라서조금이라도요리에관심을 두는 사람에게는내가아는 만큼잘알려주고 싶은 마음이다
김장철에 나오는 배추는 사계절 배추중에서 가장 풍미가 있고 맛있다 육질이 단단하고 맛이 좋아서 물김치를 담아 놓으면 쉽게 물러지지 않고,아삭하게 씹히는 청량감이 일품이다김장철에 담아 놓고 김치냉장고에 넣어 두고 먹으면 한겨울 푸짐하게 먹을 수가 있고 김치부자가 될 수 있다위에 사진에서도 보듯이 급하게 손님이 오시거나 할 때,백김치에 들어있는 배춧잎을 야채와 돌돌 말아서 차려내면 색다른 쌈 요리가 된다
요즘은 김장 배추를 농가에서 저장해 두고판매를 하고 있어서 내년 초여름까지 나온다 조금만 요령을 익히면 꼭 김장철이 아니어도 수시로 시원하게 담아 먹으면 된다
백김치는 갈증이 싹 가실정도로 그 시원한 맛이 최고다요즘음식이 모두가 양념이 강하다 맵고 짜고 달다그런 양념이 강한 음식을 먹을 때 생각나는 것이 단호박 백김치다 통닭을 시켜 먹을 때, 피자를 먹을 때, 라면과 고구마랑 먹을 때도 백김치 한 모금, 국물을 들이켜면 시원함이 배가 되고,배추잎과 함께 먹으면소화도잘되고 의외로아주 잘 어울리는 음식 궁합이다
종갓집 종부 엄마에게 배운 단호박 백김치는 내게 좀 특별하게 다가왔다 아주 꼬마였던 어린 시절 감기로 몸살을 앓았을 때 노란 맛 국물과 과자와 약을 먹었던 기억이 난다 그 노란 맛이 단호박 백김치였던 것, 그때는 단호박이 아닌 늙은 호박을 가지고 만들어서 빛깔은 지금 단호박보다는 덜 화려했지만 엄마의 수려한 손맛 때문에 늘 겨울 밥상에 있었고 그 맛을 늘먹고 자랐다
백김치에 노란단호박이 들어가서 고급스러운 맛을 더하고,눈으로도 먹음직스러운고급진 빛깔이 예술이다지금 나오는 김장배추로 만들어야 제맛을 낼 수 있다
그 옛날 엄마는 커다란 항아리 독에 여러 개를 담을 정도로 많이 만드셨다항아리 안에서 재료들이 서로 어우어져 곰삭으면 맛있게 익어간다하얀 눈이 소복이 내리는 날 꺼내먹으면 살얼음이 살짝 얼어서 이가 시릴 만큼 알싸하고 속이 다 시원할 만큼맛있다
큰 항아리에서 대량으로 백김치를 많이 만들면, 들어간 재료들이 서로 중화되어 말로 표현을 할 수 없을 만큼 고급스러운 맛이 된다 시원한 사이다 맛 같은 청량감은먹어 본 사람만이 아는 맛이다추운 겨울에 꺼내 먹으면 제대로 시원한 맛을 맛볼 수 있다
(단호박 백김치 만드는 법)
배추를 소금에 절인다 짜지 않게 절인다
황태, 디포리, 건멸치, 다시마, 건새우, 양파, 대파... 육수를 만든다
청고추, 홍고추, 양파, 무, 배... 배춧잎 사이에 넣을 재료들을 적당한 크기로 썰어 둔다
단호박을 쪄서 식혀 놓는다
새우젓, 멸치액젓, 마늘, 생강, 단호박을 믹서기에 갈아서 배보자기에 걸러서 맑은 국물을 사용한다 단호박과 배가 들어가면 따로 단맛을 넣지 않아도 된다
일반 백김치와 똑같이 담으면 되는데 종갓집 종부 엄마요리와 다른 것은 단호박을 적당히 넣어서 빛깔이 예쁠 만큼만 넣어야 하는 것과, 육수물을 맛있게 내야 한다는 것, 육수와 젓갈이 엄마 손맛의 요리포인트
주부들은 요리에 관심이 있든 없든 다들 모든 요리에 귀를 쫑긋 세운다 가정에서 음식을 만드는 주부들은 누구나가 잔잔한 부담이 있다 매일 반복적으로 밥상을 차려내는 것도 적잖은 수고로움인 것이다
'다른 이가 차려준 밥상이 최고 맛있다'고 주부들이 말하는 것은 스트레스가 그만큼 많다는 것이다
다행히 나는 요리하는 것이 재미있고 귀찮아하지 않고 흥미가 많다 브런치에종갓집 종부 엄마가 하시던 그대로간단하게 알려 주려는 의도였는데 과분하게관심을 주어서 깜짝 놀랐다지금은 구독자 630분이 되었고 조회수가 23만이 넘었다다음 메인에 연일 소개되어감사한 마음이다 나의 브런치 요리 글에 반응은 요리는 누구나 관심 일 수밖에 없는 반증일 것이다 엄마가 요리가 멈추지 않은 것 같아서 다행이고 많은 사람들이 호응해 주어서 감사하다
삶은 어느 날의 현상이 아닌,살아온 모습이 그대로 녹아들어서 자연스레나타나는 것이다
눈에 확연하게 보이지 않지만 '보고 배운 것의 이어짐' 같은 것이 아닐까 싶다 엄마가 고민하셨던 것을 보고 자라고, 어느새 딸은 엄마 모습을 하고 있는 삶은 그렇게 연으로이어지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