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오늘의 꽃 옥시 페탈 룸, 루드베키아

비비드 한 색채의 꽃바구니


어릴 적엔 빨간 장미에 안개꽃을 동경하곤 했다. 빨간 장미 100송이를 받으면 얼마나 좋을까?

하얀 안개꽃을 한 아름 받는다면 참 행복하겠다. 그러나 지금은 빨간 장미가 촌스럽게 느껴지고 하얀 안개꽃은 가격도 너무 비싸고 비싼 값 주고 사도 일반 생화로는 오래 두고 볼 수가 없어서 메리트가 없다. 대신 프리져브드로 만들어서 더 비싼 값에 천일화로 광고되어 팔린다. 


조화는 별로야 너무 인위적이잖아!라는 생각을 쭉 가지고 있었는데 요즘 조화 너무 잘 나온다 완전 고퀄리티로 생화보다도 생화같이 나온다. 브리져브드도 생화가 가장 이쁠 때 따서 약품을 이용해 생화의 색소를 빼고 표백 후 다시 이쁜 색으로 물을 들여서 말린다. 그럼 촉감이 생화와 같고 색상도 더 선명한 꽃이 나온다. 습도 조절만 잘하면 3년에서 5년 정도 간다고 하니 꽃을 오래 보고 싶은 사람들에게는 너무 좋다. 


그래도 생화만 한 것이 있을까? 아름다움으로 생명의 절정을 보여주고 시드는 생화 항상 꽃을 보면 어쩜 이런 색이 나올 수 있는지 감탄스럽다.  꽃을 보면 마음이 풀어진다. 기분이 우울했다가도 가만히 꽃을 보고 있으면 기분이 동동 떠오름을 느낀다. 


앞으로 꽃 소개를 해볼까 한다. 

많은 분들이 꽃을 보고 힐링을 느꼈으면 좋겠다.


비비드 한 컬러의 꽃바구니

라탄 바구니 중간 사이즈에 붉은 장미와 노란색 누드베키아, 연한 핑크 장미 그린으로는 편백과 루스 커스, 사진에  앵두 비스름한 열매는 하이베리쿰 



오늘의 꽃은?

누드 베키아


누드 베키아 꽃말은 영원한 행복

쨍한 노란색이 너무 예쁘다.  홑겹인 것도 있고 이렇게 겹으로 핀 꽃도 있으며 가운데 갈색으로 그러데이션 되어 있는 것도 있는 꽃으로 종류가 많다. 생명력이 강해서 주변에서도 종종 볼 수 있는 꽃이다. 500원 동전 크기만 한 미니 누드베키아도 절화시장에 가면 볼 수 있다. 



다른 하나의 오늘의 꽃은?

옥시 페탈 룸


쌍떡잎식물 용담목 박주가리과의 식물로 블루스타라고도 불린다. 



바구니에 꽂지는 않았지만 꽃을 배우면서 처음 본 옥시 페탈 룸 너무 이쁘다.  파란색 꽃이 흔하지 않은데  옥시 페탈 룸은  주색이 파란색이다. 흰색으로 만 된 것도 있다.  사진의 꽃은 파란색이 주가 되면서 연두색과 보라색이 조화로운 꽃이다. 


여러 색이 혼재된 이유는 꽃색은 봉오리 때 핑크색을 띠다가 꽃이 벌어지면 푸른색으로 된다.  꽃이 다 핀 후에는 꽃색이 점점 짙어졌다가 핑크색으로 변하는 오묘한 꽃이다. 약간 털이 있는 질감으로 촉감은 좋은 편이나 줄기를 자르면 하얀색 끈끈한 진액이 나와서 손에 묻으면 풀처럼 끈적인다. 


줄기의 하얀색 진은 에틸렌 성분으로 다른 꽃들과 같이 두면 다른 꽃들이 금방 시들게 된다고 한다. 그래도 포인트 소재로 인기가 많은 꽃이다. 




말 나온 김에 에틸렌에 대해서도 알아보자. 

에틸렌이란?


에틸렌은 식물호르몬의 하나로 화학구조가 지극히 간단한 탄화수소이다. 다른 대부분의 식물호르몬들과 달리 에틸렌은 기체이다. 에틸렌은 식물의 여러 기관에서 생성되고, 대부분의 조직에서 소량으로 존재하면서 과일의 성숙, 개화, 잎의 탈리 등을 유도하거나 조절한다. 아미노산의 하나인 메티오닌으로부터 세 단계의 효소 반응을 통해 에틸렌이 생성된다.  


발견은

에틸렌은 고대 이집트인이 처음 이용하였는데, 이들은 과실의 숙성을 유도하기 위해 무화과에 상처를 내었다. 상처 처리는 식물 조직에서 에틸렌 생성을 촉진한다. 고대 중국인은 배의 숙성을 위해 밀폐된 방에서 향을 피웠다. 1864년에 가로등에서 나오는 가스가 식물의 성장을 방해하고 식물이 휘어서 성장하게 하며, 비정상적으로 줄기가 굵어지게 한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고, 1901년에 Dimitry Neljubow가 이 가스의 활성 성분이 에틸렌임을 규명하였다. 1934년, Sarah Doubt는 에틸렌이 잎의 탈리(abscission)를 유도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고, 이후 식물에서 에틸렌 생성과 관련된 유전자들이 규명되기 시작했다. 1935년에 Crocker가 에틸렌이 과일의 숙성과 영양 기관의 노화를 유도하는 식물호르몬임을 제시하였다.      

[네이버 지식백과] 에틸렌 [ethylene] (식물학 백과)


이래서 옥시 페탈 룸을 가지고 오면 꼭 따로 빼서 관리한다. 









매거진의 이전글 또르르 눈물한방울 몬스테라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