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흔세 번째 이야기
학부모님께 들려주고픈 자녀 교육의 비밀
- 아흔세 번째 이야기
선생님이란 직업으로 살아가다 보면
분명 내가 어른이고
녀석들은 어른이 되기 전인데!
저보다 훨씬 어른스럽게 느껴지는
그런 친구들을 종종 보게 됩니다.
뭔가 저도 모르게 몸이 움츠러들고
고개를 숙..고개를 숙이지는 않았습니다만!
여하튼 참 보고 배울 게 많은 친구들이죠.
한 친구를 소개해드리려 합니다.
이 친구는 사실
1학년 땐 도드라지는 모습을 보였던 건 아니었습니다.
평범하다고 할 수는 없었지만
특별하다고도 할 수 없는,
평균보단 높지만 최상위는 아닌,
그런 친구였습니다.
2학년, 3학년을 거치면서
조금씩 선생님들 사이에서
이 학생의 이름이 거론되기 시작했죠.
(바른 생활 태도는 기본이니 넘어가고)
수업 태도도 좋았고
성적도, 많이 올랐습니다.
특히 교내에서 가장 큰 권위를 자랑하는
토론한마당에서의 성과가
사람들의 이목을 끌기에 충분했습니다.
무엇보다 이 친구가 자주 거론되었던 이유는
이 친구가 ‘미쳤기’ 때문이었습니다.
정신이 나갔다는 말이 아닙니다.
정말 한 가지 분야에 꽂혀서,
미친 상태였다는 말이죠.
이 친구가 주목한 것은
‘알츠하이머’였습니다.
생활기록부 전체가 알츠하이머로 도배되어 있었습니다.
신약개발연구원이 되어
알츠하이머 치료제를 개발해내겠다는 포부를 가지고
유의미한 활동들을 했던 것입니다.
교과목 세부능력 특기사항이나
다른 창의체험활동에서
모두 알츠하이머란 키워드를 발견할 수 있었죠.
여기서 오해가 생길듯하여 미리 말씀드리지만,
도배되는 것이 좋다는 의미가 아닙니다.
이 친구는, ‘진심으로’ 미쳐있었거든요.
그래서 어떤 활동을 하든
‘이유’가 있었다는 게 중요한 포인트입니다!
‘봉사활동? 아, 이래서 했구나’,
‘주문형 강좌? 아, 이래서 들었구나’,
와 같은 연결고리가 형성될 수 있었고,
그래서 대입에서도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었습니다.
전교과 내신이 2등급이었음에도
당당히 일반전형 수시모집에서 S대에 합격하는 쾌거를 이뤄냈죠.
목표를 대학에만 두면
동기부여가 떨어질 수밖에 없습니다.
대학 이후의 삶을 그리는 친구들이
늘 대학도 잘 갑니다.
웃긴 급훈으로 유행하던 것 중에
‘SEE FAR’라는 문구가 있습니다.
발음 때문에 웃음을 유발하는 내용이긴 하지만
의미는 정말 좋은 듯합니다.
‘멀리 보라.’
아이들이 멀리 내다보고 큰 그림을 그릴 수 있도록,
우린 대학을 위해 살고있는 것이 아니라
삶을, 살아내고 있음을 깨우치도록
어른들이 많이 도와주어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