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runch

You can make anything
by writing

C.S.Lewis

by 제이 May 05. 2020

딸, 좋아하는 것만 하고 살수는 없어

그래서 내가 좋아하는 것에 대해 쓰기로 한다

"우리 딸은 좋아하는 것도, 싫어하는 것도 참 많아서 좋겠다."라고 엄마는 늘 말했다. 하고 싶은 것도, 먹고 싶은 것도, 갖고 싶은 것도, 가고 싶은 곳도 많은 딸이 무럭무럭 자라 엄마 눈에만 번듯한 직장인이 된 지 딱 3년 차, 그 딸이 퇴사 노래를 부르기 시작했을 때 엄마는 말했다.

"제이야, 좋아하는 것만 하고 살 수는 없어."

"길 가는 사람 아무나 붙잡고 물어봐. 저 좋은 일만 하고 산다는 사람 있는지. 좋아하는 것만 하고 살 수는 없어. 좋아하는 것을 하기 위해서 억지로 해야 하는 일도 있는 거야. 그냥 딱 그렇게 사는 거야"



퇴사하기 세 달 전쯤이었던 것 같다. 나는 내가 무엇을 위해 어디에서 뭘 하고 있는지 모르겠다는 생각을 했다. 혼자 다른 대륙을 겁 없이 뛰어다닐 때에도, 네 뼘짜리 책상에서 20시간을 보내던 학교에서도, 대학에서도 난 늘 내가 어디에 있는지, 여기서 무엇을 하고 있는지, 이건 무엇을 위함인지를 마음 깊숙이 알았다. 내가 좋아하는 것을 쫓아다녔고, 그 덕에 행복해서 주먹으로 가슴을 쿵쿵 치는 날이 많았다.


퇴사하기 한 달 전쯤에는 넌 뭘 좋아하냐는 직장 상사의 질문에 바보 같은 답변을 했다. 좋아하는 것이라, 난 좋아하는 게 참 많지. 그런데 여기에서는 따뜻한 바닐라 라테 한 잔과 점심으로 먹는 마라탕 빼고는 하루 종일 좋은 것이 하나도 없었다. 이 순간, 이 물건이, 이 행동이 너무 좋아서 손가락 끝 마디마디가 찌릿한 적이 언제였던가, 마음이 정말이지 정말 정말 많이 서글펐다. 그래서 퇴사를 했다.


'콜미 바이 유어 네임 영화 속 같은 이탈리아 어느 도시로 가서 한 달을 보내야지. 자전거와 바다 수영, 밤낮 없는 와인, 우연처럼 운명처럼 만날 사람들, 내가 좋아해 마지않는 것들 속에서 긍정과 낙관을 충전해와야지.'라는 나의 계획 없는 계획은 코로나 19로 불가능해졌다. 코로나 시대, 서울 한 켠의 작은 공간에 사는, 27살의 여자에게 별다른 뾰족한 수는 없었다. 새로운 직장으로 출근할 수밖에.



새로운 직장을 다닌 지 한 달이 조금 지난 지금, 좋아하는 것만 하고 살 수는 없다는 엄마의 말을 이해하기 시작한다. 경력을 인정받으며 이직한다는 건 그간 돈을 받으며 해왔던 일을 앞으로도 돈을 벌기 위해 해야 한다는 뜻이고, 그건 어느 정도의 지루함과 지겨움을 감내해야 한다는 거다.

주변인들보다 많은 곳을 여행하고, 많은 책을 읽고, 지구의 온갖 문제에 더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다고 해도 나는 인생의 대부분의 시간 공부를 했고 그리하여 직장인이 되었다는 것은, 좋아하는 것만 하고 살 수는 없다는 거다.

좋아하는 것을 하기 위해서 억지로 해야 하는 일도 있는 거라는 엄마의 말을 받아들이게 된 것이 내가 '참 어른'이 되고 있다는 것일지, 내가 절대 되기 싫었던 '그냥 어른'이 되고 있다는 것일지는 아직 잘 모르겠다. 하지만 아무튼 내가 좋아하는 것에 대해서 쓰기로 한다.


언젠가 혹은 조만간의 내가  '나는 누구? 여긴 어디?'라는 질문을 다시 또 스스로 하게 되었을 때의 답변을 미리 준비하기 위해서. 좋아하는 것만 하고 살 수는 없는 세상에서 내가 좋아하는 것들을, 나는 절대, 잊지 않기 위해서. '넌 이런 걸 좋아하는 애야.'라는 걸 그 누구도 말해주지도, 세상은 딱히 궁금해하지도 않는다는 걸 너무나도 잘 알아버린 나는, 어쨌든 엉망진창 얼렁뚱땅 내 세상의 주인인 나는 나에게 계속 알려주어야 하니까. 그냥 그러기로 한다.

작가의 이전글 엄마에게 브런치 계정을 만들어 준 이유

작품 선택

키워드 선택 0 / 3 0

댓글여부

afliean
브런치는 최신 브라우저에 최적화 되어있습니다. IE chrome safar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