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시절, 내가 사용할 돈은 직접 벌어가며 살아보고 싶었다.
식당 뒷 주방부터 뷔페, 행사장 프로모션 관리까지 여러 일을 경험해봤지만
가장 오랜 시간 해본 것은 카페 알바였다.
일의 경중을 떠나서 커피를 직접 만들어볼 수 있다는 게 참 좋았다.
하면 할수록 만들 수 있는 메뉴가 늘어났다.
아메리카노부터 스팀을 활용한 라떼 종류, 더 나아가 핸드드립까지 사장님께 배울 수 있었다.
그 당시에만 해도 어디 가서 커피에 대해 아는 체 좀 할 수 있겠다 싶었다.
시간이 좀 더 흘러 직장인이 된 지금, 바쁜 업무 속에서 몇 가지 위안이 되는 것이 있다.
그중 하나는 회사 근처 정말 맛있는 스페셜티 카페들이 즐비해 있다는 점이다.
점심시간의 여유가 있다면 무조건 필터 커피를 주문해 마셨고
독특한 향과 맛을 가진 원두들을 맛보면서
이제 어느 정도의 식견을 갖추었다고 다시금 속으로 되뇌고 있었다.
그런데 얼마 전, 왓챠에서 '커피 한 잔 할까요?'라는 드라마를 보게 되었다.
규모는 작지만 좋은 맛을 만들어내는 카페에서
어느 날, 사장님은 일을 시작한 지 얼마 안 된 바리스타에게 따뜻한 에스프레소를 한 잔 건네준다.
멋진 커피맛과 따스한 분위기 속에서 나누는 담소도 잠시,
사장님은 갑작스레 에스프레소와 그라인더에 설정되어 있는 값을 모두 초기화시킨 뒤,
방금 맛 본 에스프레소의 맛을 다시 구현하라는 미션을 선사한다.
일을 많이 해보지도 않은 신입 바리스타에겐 어려운 일인 것이 분명해 보였다.
그러나 그는 포기하지 않고 맛을 찾기 위한 여정을 떠난다.
압력, 물 온도, 원두 그람 수, 원두 입자, 레벨링, 템핑, 추출 시간, 추출량 등
제대로 된 에스프레소를 뽑기 위해서 고려해야 할 경우의 수는 수없이 많았다.
기본 정석대로 정량을 맞춘다고 해서 완성되는 것도 아니었다.
정확한 숫자를 지키면서도 미묘한 느낌이 필요한 부분이 공존했기에
커피를 내리는 동안 온몸의 촉각을 곤두 세우며 몰두했다.
일련의 과정을 거치고 난 뒤, 끝내 신입 바리스타는
수많은 불확정성의 변수들을 통제 가능한 확실성으로 변화시키면서
원래의 에스프레소 맛을 구현해내었다.
커피를 많이 만들어보기도 했고 좀 마셔도 봤다 생각한 나에게는 꽤나 충격적이었다.
그동안 에스프레소 샷은 버튼 하나 누르면 간단하게 쏟아져 나오는 거라 생각했지만
기저에는 망망대해 속에서 원하는 맛을 찾아내기 위해 거행했던 피나는 노력이 숨겨져 있었다.
그것을 모른 채 만들고 마시고 있었던 나는 아직 커피에 대해서 겉핥기만 하고 있던 것이었다.
알게 모르게 씁쓸했지만 이는 왠지 내가 지금 하고 있는 일에 대한 고민과도 맞닿는 지점이 있어 보였다.
마치 커피를 직접 만들어보고 좋은 원두의 커피들을 마셨던 것처럼
직장인이 되고 난 뒤, 어느 정도 시간이 흐르면서 일에 대한 경험을 했고
좋은 레퍼런스들도 많이 보면서 지식을 늘렸다 생각했다.
'이 정도면 꽤 알고 있는 거 아닌가?' 싶은 생각이 들었지만
아직까지 퍼포먼스의 비약적인 성장이 보이지 않는 것이 답답했다.
가시화되지 않는 성장의 원인을 괜히 회사에, 팀에 돌리곤 했다.
그러나 이런 식의 마인드는 끝내 나의 일에 대해서 겉핥기만 지속하는 것이었다.
잠시 위안이 될지는 몰라도 해답이 되진 않았다.
그러다 우연히 이 드라마를 보고 알게 되었다.
성장의 동력은 오직 나에게 있다는 것을
드라마 속 신입 바리스타처럼 좋은 결과물을 만들기까지 있는
수많은 변수의 불확실성을 내 식대로 통제 가능하게 변모시켜야만 한다.
이를 위한 편도는 없다.
단련하고 경험하고 부딪혀보면서 결과물을 내는
나만의 방법과 느낌을 터득하는 수밖에 없다.
불확실성을 확실성으로 구체화하는
나만의 방법을 찾아야한다.
내일부터는 누군가가 치열하게 고민하여 만든 에스프레소의 한 방울을 느끼며
내가 만든 결과물을 맛 볼 누군가도 나의 뜨거운 고찰을 맛있게 음미할 수 있게 제작해 보려 한다.